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1024

[헤테로토피아] 새로운 광기가 나타났다 새로운 광기가 나타났다 미셸 푸코, 『광기의 역사』, 이규현 옮김, 오생근 감수, 나남, 2020(재판). 공룡의 고고학과 침묵의 고고학 푸코의 고고학적 저서들, 특히 『광기의 역사』, 『임상의학의 탄생』, 『말과 사물』 등을 읽으면, 어딘지 주제와 소재들이 난삽하게 분열되어 있고, 심한 경우 서로 아무런 관계없이 따로따로 전개되고 있다는 느낌을 받곤 한다. 예컨대 『임상의학의 탄생』에서 언어와 의학의 관계는 분명하게 와닿지도 않고, 그걸 설명하기 위해서 의학을 굳이 끌고 와야 할 이유를 알지 못하며, 『광기의 역사』에서는 광기가 정말 있긴 있는데 부당하게 다루고 있다는 것인지, 아니면 존재하지도 않는 것을 만들어 어처구니없게 억압하고 있다는 건지 헷갈린다. 또 『말과 사물』에 나오는 에피스테메 역시도 .. 2022. 3. 25.
[만드는사람입니다] 인간이라는 비틀린 재목에서 인간이라는 비틀린 재목에서 유명한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는 1784년에 쓴 코스모폴리스에서의 삶을 다룬 논문에서 일찍이 “인간이라는 비틀린 재목으로 올곧은 것이 만들어진 적이 없었다.”고 말했단다. 『짓기와 거주하기』의 저자 리처드 세넷은 칸트의 이러한 주장에 일견 동의하며, 도시계획에 대한 그의 생각을 담은 책을 시작한다. “인간이라는 비틀린 재목”에 대해서 말이다. 나도 그것에 대해 할 말이 많다. 맛도 없는 햄버거 드디어 일이 터졌다. 인테리어를 시작한 삼각지 현장은 처음부터 아슬아슬했다. 오래되고 춥고 조그만 건물. 공사 시작 전부터 수도 배관이 추운 날씨를 견디지 못하고 터졌다. 난 아직 공사가 시작되기 전이었기에 책임이 없었다. 현장에서 집이 멀고 각자의 업이 있었던 클라이언트들은 물이 터진 건.. 2022. 3. 8.
[지금동물병원에갑니다] 수의사, 한 마리 호모 사피엔스가 되다(下) 수의사, 한 마리 호모 사피엔스가 되다(下) 호모 사피엔스, 인간의 무게를 덜다 동물 복지의 최첨단에 위치하는 동물병원의 현장마저도 인간 중심적인 치료의 위험에서 벗어날 수는 없다. 그런데 동물병원을 찾아오는 동물들이란 거의 가족이다시피한 ‘반려’동물들이 아니던가. 때는 바야흐로 반려동물 천만 가구 시대. 도시에는 사람들이 넘쳐나고 인터넷을 통해 지구 반대편 사람들과도 교류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점차 많은 사람들이 사람보단 동물과 함께 살기를 선택하고 있다. 반려동물과의 관계란 이미 주위의 얄팍한 인간관계보다 더 큰 의미로 사람들에게 다가오고 있는 것이다. 동물을 단순히 제 만족으로 키우는 사람이 아니라면, 동물과의 관계를 조금이라도 진지하게 생각해 본 사람이라면 고민해보지 않았을 리 없다. 혹 동물에.. 2022. 2. 21.
[헤테로토피아] 비판, 통치당하지 않을 기술 비판, 통치당하지 않을 기술 『비판이란 무엇인가? 자기수양』, 미셸 푸코 지음, 오르트망 심세광·전혜리 옮김, 동녘, 2016. 68년 5월 이후 프랑스에서 격렬한 데모와 함께 전개된 소요 중에 많은 투사가 연행되고 투옥되었다. 투옥된 사람 중 일부 정치범들은 소요 중에 기물파손죄로 기소되어 투옥된 사람들이었다. 그러다 보니 정치범으로 분류되지 않고 다른 죄수들과는 같이 취급되었다. 그들은 자신들을 정치범으로 취급해달라고 단식투쟁을 한다. 그런 투쟁이 어느 정도 공감을 얻자 정부는 단식자들이 요구하는 완화조치를 검토할 위원회를 설치한다. 그런데 여기서 아주 다른 감각의 운동이 생성되기 시작했다. 투쟁 중이던 사람들이 자신들을 정치범으로 특별 대우해달라고 하는 요구가 문제가 있음을 의식한 것이다. 그들은 .. 2022. 2.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