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이 예술13 [한문이 예술] 질문의 힘을 가진 한자 질문의 힘을 가진 한자 동은(문탁 네트워크) 1. “하고 싶은 말 있어?” 은 2020년 하반기부터 시작했지만, 에는 훨씬 전부터 아이들과 함께 고전 원전을 읽는 프로그램이 있었다. 내가 처음 아이들과 한자로 만났던 건 2017년 겨울, 을 주제로 했던 수업에 보조로 참여했을 때였다. 사실 그때 까지만 해도 나는 고전 원문을 잘 읽는 것도 아니었고, 원문을 읽으며 큰 감흥을 느끼지도 못했다. 그럼에도 보조선생님이 될 수 있었던 건 에서 한자를 주제로 했던 예술 작업 덕분이었다. 내가 예술 작업에서 시도했던 것처럼, 수업에서도 아이들과 다양한 방법으로 한자를 이해하고 표현하며 자연스럽게 익힐 수 있을 것 같았기 때문이다. 무작정 한자를 외우기만 했던 내 어린시절의 경험 때문에 과연 아이들이 얼마나 한자에.. 2025. 9. 9. [한문이 예술] 돌아오는 시간과 반복되는 공간 속에서 돌아오는 시간과 반복되는 공간 속에서 동은(문탁 네트워크) 1. 봄은 왜 다시 돌아올까?라는 당연한 질문 코 끝이 빨개질 정도로 추운 어느 날, 목련나무 가지 끝에 도톰하게 올라온 꽃눈을 보고 곧 봄이 된다는 사실을 알았다. 계절을 지날 때면 어떤 방식으로든 다음 계절이 온다는 것을 알게 된다. 봄에는 습한 쥐똥나무 꽃내가, 여름에는 더위를 식히는 바람이, 가을에는 발에 채이는 낙엽이... 그리고 다시 땅에서 솟아나는 새싹으로 봄을 알아챈다. 바싹 마른 가지 끝의 꽃눈을 보고 감탄에 가까운 질문이 떠올랐다. ‘어떻게 겨울이 지나 봄이 올 수 있는 걸까?’ 그동안 겨울에는 날이 따뜻해지기를, 여름에는 시원해지기를 기다려보기만 했지, 이 당연한 사실에 대해 의문을 가질 일이 없었다. 이런 질문을 가지게 .. 2025. 7. 10. [한문이 예술] 기온이 아닌 기운으로 바라보는 세상 기온이 아닌 기운으로 바라보는 세상 1. 날씨라는 변수 나는 비오는 날이 싫다. 건강상의 이유가 있지만 비오는 날 뿐만 아니라 흐린 날에도 하루종일 컨디션이 저조하다. 반대로 날이 좋을 땐 무엇을 하든 의욕이 넘친다. 하루의 시작 자체가 다른 느낌이라고 해야 할까. 이렇게 날씨에 따라 컨디션에 영향을 많이 받다 보니 최근 기후위기로 시작된 변덕스런 기후가 난감하다. 특히 지난 여름 날씨는 굉장했다. 분명 해가 내리쬐었는데 고개만 돌리면 갑자기 하늘이 까매지고 땅을 뚫어버릴 기세로 비가 쏟아진다. 그럴 때면 하루가 다 어그러져버린 것만 같다. 그렇게 멍하니 내리는 비를 보고 있다보면 그러지 말라는 듯 갑자기 다시 햇볕이 쏟아진다. 덕분에 나도 어느 장단에 맞춰야 할지 혼란스럽다. 변덕스러운 날씨는 나에게 .. 2025. 5. 1. [한문이 예술] 어쩌면 곤란한 한자들 어쩌면 곤란한 한자들 1. 만들어지고 사라지는 말들 우리가 사용하는 언어와 문자는 우리의 생활을 반영하기 마련이다. 그래서 유행어로 사회를 분석하거나 사용하는 언어에 따라 세대를 구분할 수도 있다. 그리고 시기마다 많이 사용되거나 더이상 쓰이지 않는 말이 생기기도 한다. 이를테면 나는 80년대에 과외 금지로 비밀과외를 의미하던 ‘몰래바이트’, 못생긴 사람을 말하는 ‘옥떨메(옥상에 떨어진 메주)’같은 말을 해 본 적이 한 번도 없다. 모두 개인 휴대폰을 쓰게 되면서 ‘집전화’가 뭔지도 모르는 아이들도 많아졌다. 이렇듯 한자도 긴 세월동안 만들어지고 사라진 것들이 있다. 한 가지 예시로 ‘옥’이 있다. 초기 중국의 문화 집결지인 화북지방은 넓은 평원이어서 귀금속이 아주 적었다고 한다. 그나마 보석에 가까.. 2024. 8. 8.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