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 ▽/소세키의 질문들14 [소세키의 질문들] 『태풍』 외톨이라도 괜찮아 『태풍』 외톨이라도 괜찮아세상과 섞이기 힘든 이유는 무엇일까? 품격이 다른 외톨이 여자가 혼자 식당에 가서 밥을 먹는다면? 거기다 소주까지 곁들인다면? 무슨 몹쓸 사연이라도 있는지 힐끔거리는 사람들의 눈길에 뒤통수가 뜨끈해지곤 했다. 예전과 달리 언제부터인가 혼자 밥을 먹으면서 찍은 사진들이 SNS에 올라오기 시작했다. 우아한 식당에서 고급스러운 음식을 놓고 시크하게 고독을 즐기는 설정 샷들은 혼자라서 여유 있고 행복하다고 과시하는 듯하다. 21세기의 달라진 풍속도로 꼽혔던 ‘혼밥’과 ‘혼술’은 어느덧 식상할 지경이 되었다. 사람들이 끝없이 페이스북과 유투브에 연출하는 멋진 나만의 삶은 외톨이가 되는 것이 두렵다는 웅얼거림으로 들린다. 사실 외톨이라는 말에는 평균적인 삶과 멀어지는 초조함과 외로움, 부적.. 2019. 10. 16. 소세키, 『풀베개』 연민으로 바라보는 광기의 시대 『풀베개』 연민으로 바라보는 광기의 시대국가가 원하는 인물이 될 수 있을까? 자연을 노래하면 예술이 되나 한 청년이 깊은 산 속 마을로 들어간다. 사방 천지에 꽃잎 떨어지는 소리만 들려온다. 세상사를 떠나 그림 그리기에 딱 알맞은 곳이다. 주인공은 화공이다. 서양화를 그린다. 산 속 온천장에 손님이라곤 화공 한 사람뿐이다. 인적 없는 자연을 바라보니 화공의 입에서 저절로 시가 흘러나온다. “마음은 왜 이리 그윽한지/ 한없이 넓어 옳고 그름을 잊었네./서른이 되어 나는 늙으려 하고,/ 봄날의 한가한 빛은 여전히 부드럽네./소요하며 만물의 유전(流傳)에 따라, 느긋하게 향기로운 꽃향기를 마주하네.” (나쓰메 소세키, 『풀베개』, 송태욱 역, 현암사, 2015년, 168쪽) 자연은 세속의 시시비비를 잊게 한다.. 2019. 9. 18. 소세키,『도련님』- 솔직함으로 대항하는 정공법 『도련님』 솔직함으로 대항하는 정공법위선적인 사회에서 어떻게 처신해야 하나? 햇병아리 교사가 마주친 현실 “부모에게서 물려받은 앞뒤 가리지 않는 성격 때문에 어렸을 때부터 나는 손해만 봐왔다.” 세상에, 앞뒤 가리지 않는 행동파 청년이라니 소세키의 소설에서 좀처럼 만나기 어려운 캐릭터이다. 소세키의 소설에는 더러 발랄하고 가벼운 인물이 나오긴 해도 조연급에 불과하지 대다수의 주연급은 고민은 많고 불안은 깊어서 내면의 심연으로 가라앉는다. 뭐니 뭐니 해도 소세키의 전문분야는 자의식에 시달리는 신경과민형 인간이다. 그동안 바닥이 보이지 않는 마음의 탐구에 질린 사람이라면 『도련님』을 읽으면서 모처럼 가벼운 기분을 맛볼 수 있다. 어느 시인은 유쾌, 상쾌, 통쾌라는 개념을 이렇게 정리했다. “유쾌한 사람은 상.. 2019. 9. 4. 『행인』 참을 수 없는 예민함 무엇이 부부 사이의 신뢰를 회복시킬까? 『행인』 참을 수 없는 예민함무엇이 부부 사이의 신뢰를 회복시킬까? 가족이라서 외로워 소세키의 소설 속 남자들에게 여자는 스쳐지나가는 행인처럼 낯선 존재이다. 아내나 연인이 어떤 사람인지, 무슨 생각을 하는지 짐작하지 못해 괴로워한다. 남자들은 동성인 친구나 스승과는 속 깊은 대화를 나누고 솔직한 마음을 토로하지만 여자와는 문제를 공유하지 못한다. 여자를 지적인 대화가 되지 않는 열등한 존재라고 생각해서일까? 오히려 여자를 두려움의 대상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남자들은 자신이 이해할 수 없는 여자에게 불안을 느낀다. 그렇다고 여자에게 무관심하거나 외면하지도 못한다. 내면에는 여자에게 다가가고 싶은 욕망이 출렁인다. 여자는 알 수 없기에 더 알고 싶은 목마름의 대상이다. 두려운 남자들이 선택하는 도피처는 .. 2019. 8. 21. 이전 1 2 3 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