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선생의 헤테로토피아14

[헤테로토피아] 야만성이 만들어내는 저항 야만성이 만들어내는 저항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5~76』, 김상운 옮김, 난장, 2015. 모든 관계는 변할거야 나는 오랜 시간 지속적으로 서로 좋은 관계를 유지하는 사람들을 단 한번도 본 적이 없다. 정말 본 적이 없다. 결국 그들은 싸우거나, 멀어지거나, 무심해진다. 내가 아마 사랑, 동지애 이런 영역에 대해 조금은 냉소적인 이유가 이런 것 때문인데, 아마 내가 늘 사람들에 대해서 한구석에 비관적인 게 있기 때문일 것이다. 그러다 보니 나는 내게 다소간 자기혐오 같은 것이 있다고 여겨왔다. 그래서 턱없이 자신감 넘치는 사람을 그리 믿지 않게 되었다. 그렇지만 이런 태도가 다른 효과를 낳는데, 어떤 관계든 변할 수 있다는 신념이 그 아래에 존재하게 된 것이다. 아.. 2022. 10. 21.
[헤테로토피아] 거짓말과 위장의 봉기 거짓말과 위장의 봉기 미셸 푸코, 『정신의학의 권력-콜레주드프랑스 강의 1973~74』, 오트르망(심세광, 전혜리) 옮김, 난장, 2014. 오래전 젊은 시절 나는 어떤 사람에게 다음과 같이 물어본 적이 있다. 혹시 사회 생활하면서 다른 사람처럼 행동해 본 적 있어? 나도 그래본 적이 있어서, 한창 취기가 오르고 비슷한 주제로 얘기하던 차라 단도직입적으로 물어보았다. 술을 마시며 물어봐서인지, 그는 웃으며 친구들과 어느 바에서 여자들에게 접근할 때 그래본 적이 있다고 조용히 이야기했다. 다니는 직장을 숨기고 마치 사업하는 사람인 척하며 서너 시간 대화해보았다고 한다. 그러고 헤어졌다고 하니, 아주 은밀하지만, 결론은 건전한 단막극 같았다. 그래, 그래서 그게 재미있었어? 응, 이게 말이지 은근 스릴이 있.. 2022. 9. 23.
[헤테로토피아] 르네 마그리트, 왕에 대항하는 왕 르네 마그리트, 왕에 대항하는 왕 미셸 푸코, 『이것은 파이프가 아니다』, 김현 옮김, 고려대학교출판부, 2010 요즘 나는 재즈를 열심히 듣는다. 어쩌다 그렇게 되었다. 차를 끌고 출근하다 아주 우연히 (Moanin’), (A Night In Tunisia)의 찢어지는 관악기 소리, 박진감 넘치는 북소리에 빠져서 잠깐 차를 멈추고 한동안 음악을 들었다. 어쩌지 못하여 빨려드는 느낌이 있었고, 그날 이후로 재즈만 찾아 듣는다. 그 많은 CD니 LP니 구매할 여력도 없고, 변변한 오디오 장치도 없어서 오로지 유튜브 뮤직으로만 곡을 찾아 듣는다. 재즈에는 스탠더드 넘버라는 게 있다. 수많은 연주가에 의해 애창되거나 또는 연주되어 온 곡인데, 가령 어느 영화에 삽입된 오리지널 재즈곡을 사람들이 계속 반복해 듣.. 2022. 8. 19.
[헤테로토피아] 계보학, 하찮은 것들에서 권력을 찾다 계보학, 하찮은 것들에서 권력을 찾다 미셸 푸코, 『감시와 처벌』, 오생근 옮김, 나남, 2003(재판). 루쉰의 『외침』 서문은 그 글이 사후적으로 소급해 쓴 글임을 고려하더라도, 그가 묘한 상황에 부닥쳐 있음을 어렴풋이 알게 해준다. 전당포에서 어렵사리 얻어온 돈으로 사기에 가까운 한의사 처방에 맡기다가 아버지가 죽고 집안은 밑바닥으로 추락한다. 그때 그는 “다른 길을 걸어 다른 곳으로 도망을 가 다르게 생긴 사람을 찾아”보려고 했다(루쉰전집 2권 22쪽). 센다이 의대에서 러일 전쟁 필름을 보다가 건장한 체격의 중국인이 구경꾼에 둘러싸여 조리돌림을 당하는 장면을 보고, 의학에서 문예 운동으로 탈주한다. 그때 만든 잡지 이름이 『신생』(新生). 그러나 그마저 물주가 달아나 실패한다. 그가 말했듯이 젊.. 2022. 6.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