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111 고전평론가 고미숙 선생님의 고전 읽기―『곰숙씨가 사랑한 고전들: 고전과 인생 그리고 봄여름가을겨울』이 출간되었습니다! 고전평론가 고미숙 선생님의 고전 읽기 ―『곰숙씨가 사랑한 고전들: 고전과 인생 그리고 봄여름가을겨울』이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2022년 북드라망의 마지막 신간이 나왔습니다. 공교롭게 이번 책 역시 지난 신간인 『몸과 삶이 만나는 글 누드 글쓰기』에 이어 개정판입니다. 고전과 자연의 호응에 주목하여 고전 리뷰를 새롭게 배치한 책, 고전에 담긴 사계를 맛볼 수 있는책, 『곰숙씨가 사랑한 고전들: 고전과 인생 그리고 봄여름가을겨울』입니다. 『곰숙씨가 사랑한 고전들』(이하 『곰.사.전』)은 5년 전에 작은길출판사에서 ‘고전과 인생 그리고 봄여름가을겨울’이라는 제목으로 출간이 되었습니다. 그때와 지금 달라진 것은 우선 제목이 바뀌었지요. 제목에서 좀더 고미숙 선생님의 색깔이 드러나면 좋.. 2022. 12. 16. "군자의 도는 남김없이 드러나되, 은미하다" 費(비)와 隱(은)의 모순 “날아가는 화살은 날지 않는다”라고 했던 제논의 역설을 기억하시는지? 고대 그리스의 제논은 운동이 실재한다면 이런 어이없는 논리적 귀결에 도달한다는 것을 보임으로써, 운동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논증하려 했다. “날아가는 화살은 날지 않는다”라는 문장은 논리적으로는 모순율에 위배되기 때문이다. 자세한 이야기는 다섯 번째 연재를 읽어보시면 되지만 모르셔도 상관없다. 이 문장이 어이없다고 생각하신다면 이 글을 계속 읽을 수 있는 출발점은 된 것이다. 그래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시라. “날아가는 화살은 날지 않는다”라는 말을 받아들일 수 있으신가? 아마 안 되실 것이다. 그럼 됐다. 그런데 이런 말도 안 되는 문장이 중용(中庸)에 있다. 중용 12장, 첫 구절로 자왈(子曰)이 없.. 2016. 9. 1. 다가오는 가을을 풍성하게 해줄 강의들 소개 명리와 노자의 만남부터 니체랑 철학하기까지 ― 올 가을 꼭 들어야 할 강의들 사흘만 지나면 이제 ‘모기 입도 비뚤어진다’는 ‘처서’입니다. 올해가 참 더웠지만 저는 가장 더웠다는 1994년 여름을 (개인적 일들이 여러 개 겹치기도 한 때라) 생생하게 기억합니다! 그때 처서 무렵 정말 밤에 서늘한 바람을 맞으며 정신이 확 들었던 것도요! ”이전의 모순이 변증법적으로 해소되어 다음 단계로 가는 경우는 없다. 낮의 모순을 제대로 해소하기도 전에 문득 저녁이 오는 것처럼. 여름의 극점에서 문득 가을바람이 불어오는 것처럼.” - 고미숙, 『“바보야, 문제는 돈이 아니라니까”』, 북드라망, 2016, 35쪽 네, 갑자기 찬바람이 불면 문득 정신이 들면서 “내가 그동안 뭘 한 거지” 싶기도 하고, “뭘 좀 제대로 해.. 2016. 8. 19. 중용을 이루려는 노력을 멈출 수 없는 이유 중용, 그 불가능성의 힘 공자는 순임금을 위대한 지혜를 가지신 분이라 칭송했다. 순임금은 묻기를 좋아하고, 하찮은 말도 살피기를 좋아했으며, 악은 억누르고, 선은 드러내어 그 중 최선의 것을 백성에게 쓰고자 했기 때문이다. 그래서 순임금의 정치는 중용의 정치이고, 이런 정치적 장에서는 군주와 백성이 더 이상 지배와 피지배의 대립관계로 만나지 않는다. 중용은 서로 이질적이어서 적대가 되기 쉬운 힘들을 함께 살 수 있는 관계로 만드는 것이다. 이것은 단지 적대를 적당히 무마하는 것이 아니라, 차이 나는 힘들을 질적으로 통합함으로써 새로운 무언가를 낳게 하는 힘이다. 그래서 중용(中庸)은 중화(中和)에 다름 아니다. 중용의 정치 속에서 순임금과 백성의 관계는 지휘자와 오케스트라의 관계로 비유할 수 있을 것 같.. 2016. 8. 11. 이전 1 2 3 4 ··· 2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