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지난 연재 ▽1024

[공동체, 지금만나러갑니다] <사이재>: 중고신입*들의 꽃도 보고 길도 잃기 : 중고신입*들의 꽃도 보고 길도 잃기 * 중고신입: 요즘 경력직이 새 회사에 신입으로 들어갈 때 ‘경력직 신입’ 대신 사용되는 단어다. 밈(meme)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그럴 땐 새로운 일을 하는데 이미 해본 것처럼 노련하게 일을 잘 해쳐가는 사람을 의미한다. 은 친구들이 낯익고 은 공간이 낯익었다면, 는 사람도 공간도 모두 낯설었다. 는 충무로에 있는 인문학 공간으로 지산씨가 큰 선생님으로 계시고, 그곳에서 공부하는 내 또래로 다영, 소담, 보겸이 있다. 이번 인터뷰의 인터뷰이인 청년 셋과 나는 에서 열렸던 공장식 축산업에 관련된 세미나와 에서 얼굴을 한두 번 본 적이 있었지만, 가까이에서 대화를 나눠보는 건 처음이었다. 공간에 가본 건 아예 처음이었는데 이전에 방문한 두 곳보다 규모는 작지만, .. 2023. 4. 14.
[청량리발영화이야기] 또다시, 새롭게 되풀이될 것이다 또다시, 새롭게 되풀이될 것이다 (1961) | 감독 : 신상옥 / 주연 : 최은희, 김진규 | 107분 1960년에 개봉한 유현목 감독의 처럼 전후 당시 메마르고 어려운 삶의 모습을 그대로 반영한 ‘네오리얼리즘’ 계열의 영화들이 있었고, 한편으로 힘든 삶에 약간의 판타지와 대리만족을 채워주는 영화도 있었다. 그런 면에서 신상옥 감독의 은 과는 정반대에 있는 영화라 할 수 있다. 한국영화가 양적으로 폭발했던 60년대. 신상옥 감독의 (1961)과 홍성기 감독의 (1961)이 같은 해 동시 개봉되면서 ‘핫이슈’가 됐었다. 상업영화에 관객평점이 중요한 건 변함이 없다. 두 감독 모두 ‘춘향전’으로 승부를 걸고, 고가의 ‘총천연색’ 필름으로 영화를 제작한다. 당시 흥행감독 ‘홍성기 프로덕션’과 ‘신예감독 신상.. 2023. 4. 11.
[요요와불교산책] 윤회는 있지만 윤회하는 자는 없다 윤회는 있지만 윤회하는 자는 없다 수행승들이여, 이 윤회는 시작을 알 수 없다. 무명에 덮인 뭇삶들은 갈애에 속박되어 유전하고 윤회하므로 그 최초의 시작을 알 수 없다. 『(쌍윳따니까야』 15장 『시작을 알 수 없는 것의 쌍윳따』) 수많은 어머니의 죽음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100일이 다 되어 간다. 지금도 어머니의 마지막 모습이 생생하다. 마치 잠을 자는 것처럼 편안한 어머니의 모습을 보았을 때 나도 모르게 깊은 안도의 한숨이 흘러 나왔다. 2년이 넘도록 어머니의 심신을 갉아 먹고 있었던 그 모든 고통이 끝난 것에 대한 안도였다. 그러나 그게 전부는 아니었다. 동시에 스스로도 주체할 수 없는 울음이 터져 나왔다. 어머니의 야윈 몸을 끌어안고 아직 온기가 남아있는 뺨에 얼굴을 비벼대며 마치 어린아이처럼 목.. 2023. 4. 10.
[공동체, 지금 만나러갑니다]2023 <남산강학원> 오인방의 따로, 또 같이 살림-공부하기 2023 오인방의 따로, 또 같이 살림-공부하기 오랜만에 에 방문했다. 20대 초반이었을 때 와 의 청년 멤버들이 중국 운남성으로 여행을 떠나는 프로젝트를 진행했었다. 그때 마침 내가 서울에서 자취를 하고 있었기 때문에 몇 달 동안 을 자주 드나들었던 기억이 있다. 내가 한창 왔을 때, 그때도 아주 새 것은 아니었지만, 밝은 조명과 하얀 벽을 보며 ‘역시 서울은 다르다’고 생각했던 기억이 난다. 오랜만에 들른 은 꽤 많이 달라져 있었다. 색이 바랜 벽지, 온갖 흔적이 가득한 책상, 조금 어두워진 조명에서 지나간 시간의 흔적이 보였다.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이곳을 드나드는지, 그 많은 사람들을 위해 공간에 얼마나 많은 정성이 쏟아지고 있는지가 곳곳에서 느껴졌다. 요즘 이곳을 꾸려가는 사람들은 누굴까? 내가.. 2023. 3.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