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505

블랑쇼,『문학의 공간』 - 모든 작품은 실패작 블랑쇼,『문학의 공간』 - 모든 작품은 실패작 세상에 완벽한 것은 무엇도 없다. 말인즉, 모든 것은 결국 어떤 '실패'를 안고 있는 셈이다. 각자 자기를 돌아보아도 좋다. 세상에 가장 불완전한 것이란 결국엔 '나'이다. 그것이 성공인가, 실패인가를 묻는 것으로는 아무것도 얻을 수가 없다. 오히려 '실패'가 작품을 완결짓는 것일지도 모른다. 말하자면, 어떤 예술(작품)은 '보이지 않'으며, '여기어 없는' 것을 이 자리로 소환하는 포트(port)와 같은 것이 아닐까? 거기에 어떤 '실패'가 없다면, 우리는 결코 이동할 수 없다. 실패 앞에서 '다시 한번', 그러니까 매번 다시 지하로 내려가고, 다시 올라와 실패하는 오르페우스의 일이다. 문학의 공간 - 모리스 블랑쇼 지음, 이달승 옮김/그린비 2019. 8. 13.
[동의보감과 요가] ‘기억(memory)’의 두 ​얼굴 (1) [동의보감과 요가]‘기억(memory)’의 두 ​얼굴 (1) ​‘기억’을 잃어버린 사나이 ​ 2008년에 사망한 헨리는 20대 후반까지 간질병을 앓던 환자였다. 헨리는 어린 시절에 시작된 간질 발작이 점점 심해지자 27살이던 1953년 ‘실험적인 뇌 절제 수술’을 받았다. 인간의 뇌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지 않았던 1950년대에는 간질발작에 대한 마지막 치료법으로 뇌의 옆부분을 잘라내는 수술을 받곤했다. 그 환자들 중 하나였던 헨리는 그의 뇌에서 해마 등을 포함한 양쪽 내측두엽 절제술을 받았다. 헨리의 간질 발작은 극적으로 감소했다. 하지만 수술 후 헨리는 오늘이 며칠인지, 아침에 무얼 먹었는지, 바로 몇 분 전에 무슨 대화를 나누었는지 기억하지 못했다. 그의 뇌에서 해마가 없어지면서 그는 새로운 기억을 .. 2019. 8. 8.
다케우치 요시미, 『루쉰』 -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다케우치 요시미, 『루쉰』 - 살아가지 않으면 안 된다. 그리고… '사는 일'은 대체로 암담한 것을 견디거나, 잊는 일인 경우가 많다. 대체로 즐겁게 살아가는 낙관주의자의 삶도 마찬가지다. 사는 일이 얼마나 힘들었으면 낙관주의자가 되었을까. 아니, 그런 말이 생겨났을까. 그럼에도 불구하고, 살아가지 않을 수 없다. 결국 삶은 어두운 곳에 간신히 불을 밝히는 일이다. 생각해보면 꽤 매력적인 일이다. 내내 밝은 것보다 어둠 걸 밝히는 일이 더 즐거우니까. 다케우치 요시미의 책에는 루쉰이 죽고서야 '청년들은 비로소 자신의 고독을 깨달았다'는 말이 나온다. 그에게는 죽음마저도 어떤 '쓰기'였던 셈이다. 인간의 삶, 죽음마저 포함하고 있는 그 삶이 도달할 수 있는 최대치가 여기에 있는 것 같다. 살아가고, 죽는 .. 2019. 8. 5.
『말하는 보르헤스』, 우리가 책을 펼치지 않는다면 책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책을 펼치지 않는다면 책은 무엇일까요? 우리가 책을 펼치지 않는다면 책은 무엇일까요? 그것은 페이지가 적힌 종이와 거죽으로 만들어진 육면체에 불과합니다. 그러나 책을 읽으면 이상한 현상이 일어납니다. 나는 그것이 읽을 때마다 바뀐다고 믿습니다.이미 수없이 말했듯이, 헤라클레이토스는 그 누구도 똑같은 강물에 몸을 두 번 적실 수 없다고 했습니다. 그것은 강물이 바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가장 끔찍한 것은 우리가 강물보다 유동적이지 않다는 사실입니다. 우리가 읽을 때마다 책은 바뀌고, 단어에 함축된 의미는 달라집니다. 뿐만 아니라 책에는 과거가 가득 담겨 있습니다. (......) 오래된 책을 읽는 것은 그 책이 쓰인 날로부터 우리가 읽은 날까지 흘러간 모든 시간을 읽는 것과 같습니다. _ 호르헤 루.. 2019. 8.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