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생생 동의보감

[생생동의보감] 사기(邪氣)도 비껴가는 심장

by 북드라망 2019. 8. 29.

사기(邪氣)도 비껴가는 심장



흐르는 12경맥


기분 좋은 날씨다. 따스하고 포근할 뿐 덥지는 않고 바람이 불지만 춥지는 않게 서늘한 기운이 살갗에 와 닿는다. 지금은 이 느낌만으로도 충만하다. 요즘의 절기는 입하. 아직 더워지기 전 여름으로 가는 입구에서 우주의 기운을 만난다. 이는 우주의 이치로 본다면 지구가 해의 둘레를 돌며 일어난 변화이리라. 그 변화는 매순간 다르겠지만 그걸 다 감지할 수는 없으니 몇 개의 마디로 끊어내어 그것에 이름을 붙인 것이 절기이다. 이처럼 우주가 일으키는 변화의 기운을 더 줄여서 우리는 간단히 기(氣)라고도 부른다.




기는 이 세상 만물에 내재해 있다. 우리가 일상에서 기운, 기력, 전기, 습기, 온기, 냉기, 화기, 한기 등의 말을 쓰는 것으로도 알 수 있다. 비록 눈으로는 볼 수 없지만 시각 이외의 다른 감각으로는 무시로 느낄 수 있다. 한의학에서는 이 기가 우리의 몸에서도 작동한다고 본다. 그것도 육장 육부와 음양오행이라는 척도에 맞추어 차서를 따라 길을 내며 흐른다. 일러 ‘경맥(經脈)’. 몸의 위아래를 관통하며 세로로 열 두 줄기로 흐른다고 하여 ‘12경맥’이라 한다. 그 이름에 흐름의 방향과 음양의 이치와 육장 육부와의 관계가 결합되어 있다.




수태음폐경, 수양명대장경, 족양명위경, 족태음비경, 수소음심경, 수태양소장경,

족태양방광경, 족소음신경, 수궐음심포경, 수소양삼초경, 족소양담경, 족궐음간경


예를 들어 수태음폐경은 가슴 부위에서 출발하여 대장과 연락하고 폐를 지난 뒤 목 중앙을 거쳐 어깨 안쪽과 팔 안쪽으로 엄지손가락 끝을 향해 흐르고 그 지맥은 둘째 손가락 안쪽으로 나온다. 손과 팔, 발과 다리의 안쪽은 음(陰)이고 바깥쪽은 양(陽)이다. 폐는 음(陰)의 장기인 만큼 경맥도 안쪽으로 흐르는 것이다.


수양명대장경은 수태음폐경이 끝나는 둘째손가락 안에서 방향을 반대로 하여 둘째손가락 바깥으로 바꾼다. 손등과 팔의 바깥쪽과 어깨 바깥쪽을 지나 가슴으로 가서 폐와 대장에 연락한 뒤 목을 타고 위로 올라가 콧마루로 간다. 대장은 양(陽)의 장기라서 손과 팔의 바깥쪽으로 흐른다.


수양명대장경이 끝나는 콧마루 옆에서 족양명위경은 시작된다. 코의 바깥쪽을 돌아 내려와 윗니 속으로 들어갔다가 아래턱으로 나오고 다시 뺨으로 올라가 이마까지 간 다음 다시 아래로 내려와 목을 지나 가슴의 횡격막을 뚫고 내려가 위에 속하고 비에 연락된다. 가슴 왼쪽으로 계속 흘러 허벅지 무릎을 지나 다리 앞쪽 발등으로 내려와 둘째 발가락 끝에 이른다. 그 구불구불함이 물줄기와 꼭 닮았다.


물은 한 줄기로만 흐르지 않는다. 지맥들이 또 있다. 정강이에서 갈라진 지맥, 발등에서 갈라진 지맥. 그것들은 또 엄지발가락 끝으로 흐른다. 여기가 다시 족태음비경이 시작되는 지점이다. 지금까지 다리 바깥쪽으로 흐르던 양경(陽經)인 족양명위경은 발에 도착하면 다시 방향을 반대로 바꾸어 발과 다리의 안쪽으로 흐르기 시작한다. 음경(陰經)인 족태음비경으로 변신하여 다리를 지나 몸통으로 향하는 것이다. 이처럼 손과 발에서 음양을 바꾸며 족궐음간경까지 이어진다.


경맥은 손에서 시작하여 몸통을 향하거나 몸통에서 시작하여 손을 향해 흐르고 발에서 시작하여 몸통을 향하거나 몸통에서 시작하여 발을 향해 흐른다. 이에 따라 이름에 수(手)나 족(足)이라는 명칭이 붙는다. 수태음폐경은 손을 향해 흐르기 때문에 명칭에 수(手)가 붙었고 족양명위경은 발을 향해 흐르기 때문 족(足)이 붙었다. 또한 수태음폐경과 수양명대장경은 오행 중 금(金)에 속하면서 음양으로 짝을 이루어 흐른다. 다른 경맥도 마찬가지다.



음양의 중첩, 병과 건강의 통로


경맥에는 음양이 여러 번 중첩되어 있다. 하나의 팔에, 하나의 다리에 안쪽과 바깥쪽으로 음양이 동시에 흐른다. 또한 안쪽으로 흐르는 음경은 손을 향해 흐르는데 손은 하늘로 뻗은 것을 전제한다. 그러므로 손을 향해 흐르는 것은 아래에서 위로 가는 것이며 이는 양(陽)의 방향이다. 안팎으로는 음이지만 위아래로는 양이다. 여기에서도 음양은 동시에 겹쳐진다.


손끝이나 발끝으로 갈수록 길은 좁아지면서 기가 응집되고 몸통으로 갈수록 길이 넓어지면서 기는 분산된다. 발끝과 손끝에서 음양은 교차되어 기의 응집과 분산은 교대로 반복된다.


이와 같은 음양의 중첩이나 음양의 전환은 그대로 우주와 우리 삶의 원리를 보여주는 게 아닐까? 상반되는 것들의 힘의 관계 속에서만 삶이 작동된다는 것을. 음은 양을, 양은 음을 이미 품고 있다는 것을. 그것은 두 개가 아니고 하나이니 우리는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있다는 것을.


수태음폐경에서 시작된 경맥은 족궐음간경까지 한 바퀴 돈다. 그러나 이는 끝이 아니다. 다시 수태음폐경으로 돌아오고 이 반복은 끝날 줄 모른다. 그러므로 처음도 처음이 아니고 끝도 끝이 아니다. 처음도 끝도 없이 계속 반복되는 원운동.


그러나 반복이긴 하지만 똑같은 반복은 아니다. 한 바퀴 돌 때의 수태음폐경과 두 바퀴 돌 때의 수태음폐경은 같지가 않다. 반복하되 늘 차이가 나게 계속되는 반복. 올해의 입하가 작년의 입하와 다르듯이. 아니 매번 다르기 때문에 흐를 수 있는 거지만 그것을 다 감지할 수는 없기 때문에 우리는 12개의 마디로 끊어내어 이름을 붙였을 뿐이다.


이처럼 매번 달라지는 순환이라면 또 끝없이 음양이 중중무진으로 겹쳐진다면 12경맥은 단순히 열 두 개가 아니라 수로는 셀 수 없는 무한의 그물망 같은 것이 아닌가 한다. 우리의 의식으로는 다 포착할 수 없지만 말이다. 우리가 사는 세상 또한 이렇지 않을까? 어느 경락 하나 그 어느 선을 미세하게 건드려도 그 경락의 장부와 통하고 다시 전체 경락의 망이 흔들리듯 나 하나의 삶이 세상의 경맥을 흔들지는 않을까?


경맥은 흐름이다. 이 흐름이 순조로울 때를 우리는 건강하다고 하며 그렇지 못하고 막혔을 때를 병이라 한다. 즉 통하면 아프지 않고 통하지 못하면 아프다. 통즉불통 불통즉통(通卽不痛 不通卽痛). 그러나 경락은 생명의 흐름이면서 동시에 병의 통로이기도 하다. 생과사가 겹치는 지점. 이 또한 음양의 이치이다.



심장을 수호하라




따라서 장부에 이상이 생기면 그 경락이 막히는 것이고 그 경락이 통하지 못하면 장부가 아프게 된다. 경락의 어느 줄기가 아프냐에 따라 어느 장부에 이상이 생겼는지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아팠을 때 직접 가슴을 열어 장부를 보지 않아도 경락이 흐르는 어느 지점을 진단하여 어느 정도 막혔는지를 알고 그 지점을 뚫어서 통하게 해주면 낫는다는 결론이 나온다. 수술하지 않고도 침으로 치료할 수 있는 것은 이 때문이다. 이때 경락에서 특별히 기가 모여 있는 마디를 한의학에서는 혈(穴)이라고 한다. 동시에 혈(穴)은 사기가 들어오는 구멍이기도 하다. 병과 치유는 하나이고 음양은 겹친다. 360여개의 혈자리가 모두 이러한 병과 치유, 삶과 사, 음과 양을 동시에 포함한다.


그런데 360여개의 혈중에서도 특히 기가 집중적으로 모여 있고 치료 효과가 좋은 혈자리를 각 경락마다 5개를 뽑아서 ‘수혈(輸血)’이라고 했다. 5개씩 뽑았기 때문에 ‘오수혈’이라고도 한다. 오수혈은 대개 팔목과 발목에 몰려 있다. 이 오수혈로 맥을 짚어 진단을 하고 병의 증상에 따라 5개의 혈자리 중 어느 혈자리에 침을 놓을지 결정하는 것이다.


그런데 『동의보감』에서는 『황제내경』을 인용하여 심장의 경락에는 수혈이 없다고 한다. 언뜻 이해가 가지 않는다. 심장은 가슴의 중앙에 자리 잡고 막중한 기능을 할 것 같은데 수혈이 없다니?


수소음은 수혈이 없다.(手小陰無輸) ● 황제가 “수소음경맥(手少陰經脈)만이 유독 수혈(輸血)이 없는 것은 어째서입니까?”라고 물었다. 이에 기백(岐伯)이 말하기를 “수소음경은 심맥(心脈)입니다. 그런데 심장은 오장육부의 주재자로서 임금과 같은 정신(精神)이 머무르는 곳인 바 그 장기(臟器)가 견고하여 사기(邪氣)가 침범하는 것을 용납지 않습니다. 만약 사기가 침입하는 것을 용납한다면 심장을 상하게 하고 심장이 상하면 신기(神氣)가 흩어져서 곧 죽습니다. 따라서 각종 사기가 심장에 침입했다는 것은 모두 심포락(心包絡) 부위에 있는 것을 말합니다. 심포락은 심장이 주재하는 맥으로서 능히 심장을 대신하여 사기를 받습니다. 그러므로 소음에는 수혈이 없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황제(皇帝)가 “수소음경맥에는 수혈이 없으니 그 경맥과 심장에는 병이 생기지 않는다는 것입니까?“ 라고 물었다. 이에 기백(岐伯)이 말하기를 밖에 있는 수소음의 경혈에는 병이 생길 수 있지만 속에 있는 심장에는 병이 생기지 않습니다. 그래서 치료할 적에는 단지 그 경맥의 손바닥 뒤 뾰쪽한 뼈의 끝(곧 神門穴이다) 만을 취하는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내경편」 ‘심장’ 403쪽)


수소음경맥은 수소음심경을 말한다. 심장의 경맥이다. 황제가 왜 심장의 경맥에는 수혈이 없는가라고 묻자 기백은 심장의 군주의 기관이기 때문이라고 말한다. 심장은 오장육부의 하나이면서 동시에 오장육부를 주재한다. 그게 군주의 소임이다. 이는 심장이 오장육부와 연결되는 12경맥을 모두 통솔함을 뜻한다.


심장은 어떻게 12경락을 통솔할까? 심장이 한 번 박동하면 12경맥의 모든 실가지 냇물까지, 51억 가닥의 모세혈관까지 혈이 공급된다. 그것은 다시 심장으로 돌아오고 다시 박동하고. 이러기를 반복하는 것이다. 경락이 기의 무형의 흐름이라고 해서 기만 흐르는 것은 아니다. 기는 양(陽)이다. 기에는 음(陰)인 혈이 실려 12경맥으로 흐른다. 경락을 혈맥으로 볼 수도 있다. 이러한 심장의 물질적 작용인 기혈운동에서 사색, 판단, 감정 등의 정신작용도 나온다. 정신도 기혈이라는 물질적 토대위에서 생기는 것이다. 그러므로 심장에 이상이 생기면 몸과 정신 모두에 문제가 생기고 오장육부의 신기가 흩어져 죽기 때문에 심장에는 사기가 침범하지 못하도록 했다. 심장은 생명을 수호하는 최후의 보루인 셈이다. 죽을 때 마지막까지 운동하는 것이 심장인 이유이다. 그래서 수소음심경에는 아예 수혈이 없도록 했다. 살리는 혈자리는 다른 경락의 오수혈을 사용해도 되니까 사기만 막아내자는 것이다.


심장을 대신하여 사기를 막아주는 수비병은 ‘심포락’이다. 심장을 싸고 있는 막. 그러므로 심장에 문제가 생길 때는 심경락보다 심포경락 즉 수궐음심포경의 오수혈에 침을 놓으면 된다. 그렇더라도 굳이 심장 경락에 침을 놓고 싶다면? 기백은 심장경락의 오수혈중 하나인 신문혈을 추천한다. 신문혈은 정신이 드나드는 문이라서 이 문을 잘 단속하라는 의미이다. 하지만 실제로 심경의 오수혈은 있으며 의사들은 치료에 사용한다. 그럼에도 동의보감, 아니 황제내경에서는 시치미를 뚝 떼고 심경의 수혈은 없다고 하고 있으니 옛 의사들의 집필태도가 재미있고 따스하다. 심장을 얼마나 중시했으면 이처럼 있는 혈도 없다고 했을까?


심장은 가슴 중앙에 위치해 있지만 중심과 우두머리를 고수하지 않는다. 심장의 기는 물과 만나 혈이 되어 온 몸 구석까지 흘러가지 않은 곳이 없다. 흐르는 곳 어디든 심장 아닌 데가 없다. 중심을 벗어나 흐름으로 존재하는 장부. 우리가 관계하는 장마다 개입하여 기혈을 공급하며 정신줄을 놓지 않도록 의식을 잡아주는 심장. 그러면서도 그 자신이 12경맥의 흐름 안에 있어 그가 군주임을 아무도 의식하지도 못한다. 가슴 중앙에서 쿵쾅거리는 소리를 아무도 의식하지 못한다. 마치 요순의 백성들이 그랬던 것처럼. 사기도 비껴가는 심장, 바로 요·순 같은 임금이 아닐까?


글_박정복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