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487

로버트 맥기,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 '이야기'를 만드는 것의 의미 로버트 맥기, 『시나리오 어떻게 쓸 것인가』 - '이야기'를 만드는 것의 의미 '허구는 인생에 형식을 부여한다', 모두가 아는 것처럼 '인생'은 통제불가능한 괴물과 같다. 내가 이렇게 하려고 하면, 저렇게 뛰고, 급히 따라가보면 어디로 갔는지 없어져 버린다. 겨우 손에 넣었다고 생각하고 살펴보면 내가 원했던 것이 아니다. 아무런 규칙이 없다. 어쩔 때는 경향마저도 있는지 없는지 모르겠다. '이야기'는 바로 거기에서 탄생한다. 이 무규칙성을 고스란히 받아들이기만 한다면, 아마도 '인간'은 인간이 될 수 없었으리라. 人間이 아니므로, 人生도 함께 사라진다. 말하자면, '이야기'는 '인생'의 다른 이름이다. 그래서, 인생을 '이야기'化 하는 일이 중요해진다. 인간으로 살아남으려면 말이다. 무언가 쓰거나, 말하.. 2020. 5. 15.
[연암을만나다] 하늘 ‘천’天에 담기지 못한 하늘을 그려라 하늘 ‘천’天에 담기지 못한 하늘을 그려라 연암의 글 중에는 ‘글쓰기’에 관한 글이 유독 많다. 자타가 공인하는 ‘명문장가’였으니 그럴 수도 있겠다 싶긴 하다. 헌데 그는 글쓰기 요령이라든지, 글쓰기 전략이라든지 하는 것들을 말하진 않는다. 비유와 상징, 원문의 예술적 배치까지 더해진 〈소단적치인〉을 예외로 두면 말이다. (물론 이 글은 차원이 다른 글쓰기 전술을 보여주고 있다.) 연암은 글이란 뜻을 그려내는 것이라고 말한다. 우리도 글을 쓸 때, 생각한 바를 드러내고, 마음에 들어온 이야기들을 풀어낸다. 무엇이, 어떤 지점이 나의 글과 연암의 글을 다르게 만드는 것일까? 마을의 어린애에게 『천자문』을 가르쳐주다가, 읽기를 싫어해서는 안 된다고 나무랐더니, 그 애가 하는 말이 “하늘을 보니 푸르고 푸른데.. 2020. 5. 14.
[나의삶과천개의고원] ‘보험’, 도대체 무엇을 위한 것인가 ‘보험’, 도대체 무엇을 위한 것인가 ‘하면 된다’라는 영화가 있다. 사업실패로 하루아침에 판자촌으로 쫓겨 가는 병환네 가족은 우연한 사고로 ‘보험’의 혜택을 받게 된다. 그 후, 그의 가족 네 명은 많은 보험에 가입하고, 자신들의 신체를 일부러 훼손하여 수십억의 보험금을 챙기는 ‘가족 보험 사기단’이 된다. 결국 그들은 보험금 때문에 서로의 목숨까지 노리게 되는데… 범행을 계획한 병환의 아들은 여행 도중 일부러 강에 차를 던진다. 그 결과 자신만 살고 가족은 모두 익사하게 된다. 가족들의 생명 보험금을 탈 수 있는 절호의 기회가 찾아오지만, 보험금을 노리는 친척들이 등장하면서 영화는 끝이 난다. 보험금에 눈이 멀어 가족까지 죽이다니… 코믹영화지만 실상은 너무나 끔찍하다. 보험이란 불의의 사고나 질병에 .. 2020. 5. 13.
[쿠바리포트] 말 너머의 세계(2) - 코로나바이러스, 할 말을 잃게 만드는 놈 말 너머의 세계(2)- 코로나바이러스, 할 말을 잃게 만드는 놈 바이러스는 어디 안 간다 누구는 이렇게 말한다. 과학 기술만 믿고 오만방자해진 인간에게 자연이 코로나를 통해 경고의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또, 반대로 말하는 사람들도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유행 따라 돌아오는 자연스러운 감기의 일종이며, 높지 않은 사망률 4% 앞에서 우리만 괜히 패닉하는 거라고. 그러나 코로나바이러스를 감기로 협소하게 정의한다 하더라도 그로 인한 배고픔과 죽음의 고립은 감기로 소급되지 않는다. (이것을 단순한 유행병이라고 서슴없이 말할 여유가 있는 사람은 이미 소수다. ‘죽음다운 죽음’을 보장할 의료체계와 충분한 식량을 보유한 공동체가 지구상에 소수이기 때문이다.) 또 코로나가 정말 자연의 메시지라 하더라도, 그래서 .. 2020. 5. 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