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81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버내큘러, 내 삶에 대해 고민하는 태도 버내큘러, 내 삶에 대해 고민하는 태도 3등_서월석 코로나로 시작된 팬데믹은 우리를 전혀 다른 세상에 살게 했다. 아이들은 매일 가던 학교를 이제는 요일별로 나눠서 등교한다. 다행히도 우리 아이들이 다니는 시골의 작은 학교는 학생 수가 적어서 매일 전교생 등교가 가능하다. 도시 엄마들이 가장 부러워하는 부분이다. 매일 대면 수업이 가능하고 전교생 방과후수업이 가능해서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팬데믹에 최적화된 학교다. 이렇게 좋은 학교를 사춘기 큰아이는 가기 싫다고 한다. 내가 어릴 때 학교는 당연히 가야하는 곳이었고 가기 싫다는 생각조차 없었다. 하지만 요즘 아이들은 학교에 왜 가야하는지 의문을 갖는다. 덩달아 나도 학교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보게 되었다. 이제까지 믿어왔던 당연한 생각들은 『이반 일.. 2022. 5. 27.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리뷰 도서 : 이반 일리치 강의 리뷰 도서 : 이반 일리치 강의 3등_레토 일리치의 를 몇 년 전에 세미나에서 읽었습니다. 저에게 일리치는 너무 당연해져 버려 의심조차 하지 않았던 ‘학교는 가야한다’는 무의식적인 믿음에 대해 다시 생각해보게 했습니다. 권위적인 학교를 견디기 힘들어했던 저는 중학생 때 일찍 학교를 그만두었습니다. 그리고 그 후 몇 년 동안 저와 나이가 비슷한 친구들이 좋은 점수를 받기위해, 좋은 학교를 가기위해, 좋은 인생을 살기위해 노력하는 동안 저는 아무것하지 않는 것에 대해 불안해했습니다. 그러다 우연히 신청하게 된 세미나에서 또래 청소년들과 (그 중에는 학교에 다니는 사람도, 다니지 않는 사람도 있었습니다.) 『학교 없는 사회』를 만났습니다. 학교에 안간 지 오래되어서 내가 학교에 대해 나눌 말이 있을까 싶었지만.. 2022. 5. 27.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나의 처방약은 ‘연대’ 나의 처방약은 ‘연대’ 3등_박현정 “행복해지는 약 주세요.” “여기 있습니다.” 『인문약방』이라는 제목에 호기심이 생겨 약방문을 두드려보았다. 이 약 복용법은 책 속에 있는데 사람마다 복용법이 달라질 수 있다. 시중에서 파는 ‘한 알’ 만병통치약처럼 효과 빠른 약제를 알려주지는 않았다. 대신 느린 약방이다. 『인문약방』은 현직 약사가 들려주는 병과 삶, 앎에 관한 이야기책이다. 『인문약방』 제목처럼 사람(人)과 공부(文)에 관한 처방전이 많았다. 현대인의 병증 치료제로 ‘약을 대신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일까?’ 하는 궁금증도 커져갔다. 나는 요즘 주변 사람들에게서 걱정스럽게 듣는 말이 있다. 행복해 보이지 않다는 거다. 그래서 상담을 권유받아 심리상담도 받았다. 그러나 그 때 뿐이었다. 연말 연초를 지.. 2022. 5. 27. [한뼘리뷰대회 당선작] ‘앓다’에서 몸과 마음의 ‘만남’으로 ‘앓다’에서 몸과 마음의 ‘만남’으로 3등 - 탁금란 『아파서 살았다』는 ‘류머티즘과 함께한 40년의 이야기’라는 부제를 달고 있다. 제목만 보면 오창희 작가의 투병기로 착각할 만하다. 5부로 구성된 목차를 봐도 대학 2학년 스물한 살 봄에 류머티즘을 앓기 시작해서 명약을 찾아다니는 10년의 투병 생활, 인공관절 수술 후 병과의 동행을 인정한 10년의 삶, 그리고 자립을 위한 좌충우돌의 10년, 몸의 주인으로 거듭나는 10년을 보내고 있는 작가의 삶을 보여준다. 40년 동안 류머티즘과 고군분투한 저자의 삶이 무겁게 다가올 것 같은 느낌이 드는 책이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작가의 삶에 동반 출연한 어머니, 아버지, 형제들, 조카들, 외육촌 언니까지 확장되는 대가족의 서사가 있고, 작가를 건강한 삶의 주인.. 2022. 5. 26. 이전 1 ··· 178 179 180 181 182 183 184 ··· 8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