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81 [지금동물병원에갑니다] 2편. 심약한 동거-인간(上) 2편. 심약한 동거-인간(上) 동거-인간의 사랑, 병을 만들다 ‘개 팔자가 상팔자’라는 말이 있다. 옛날엔 자기 팔자가 너무 사나울 때 차라리 개 팔자가 낫겠다며 한탄하는 말로 자주 쓰였다고 한다. 그땐 어지간히 나쁜 팔자가 아니라면 그래도 개보단 사람 팔자가 낫다고 생각했었나 보다. 물론 이 말은 지금에도 많이 쓰인다. 옛날과는 사뭇 다른 의미로. 꼭 동물을 키우지 않는 사람이라도 요새 개 팔자가 어떤지는 한번쯤 들어봤을 거다. 유기농 식재료로 만든 반려동물 사료(거의 식사다)부터 해서 강아지 유치원(심지어 학년제다), 반려동물 전용 생일 케이크(수제다), 명품 브랜드에서 만든 개 옷(강아지는 프X다를 입는다) 등등등등등…. 이쯤 되면 다음 생엔 누구네 집 개, 고양이로 태어나고 싶다는 말이 왜 나오는.. 2022. 6. 15. [이우의다락방] 고유의 쓸모를 찾아서 고유의 쓸모를 찾아서 -이반 일리치, - 나를 쓸모없게 만든다니 예를 들어 동네에 살던 사람이 죽으면 무덤을 파던 이웃들은 전문가 집단의 일원이 아니었다. 그들은 장의사라는 호칭을 만들지도 않았고, 대학에서 자격증을 따지도 않았다. 관을 묻으면 돈을 받지도 않았다. 뿐만 아니라 자기들 직업에서 풍겨 나오는 죽음의 냄새를 없애기 위해 라이온 클럽에 외장을 배출하지도 않았다. 반면, 이 시대의 장의사는 전문가이다. 사회적 영향력을 행사하고 보통 사람을 무력하게 만드는 전문가가 되었다. 그들은 장의사가 방부 처리를 하여 시체를 관 속에 넣는 장례가 아니면 경찰을 불러 중단시킬 힘을 갖게 되었다. 이렇게 인간이 필요를 상상할 수 있는 모든 분야에서, 인간을 무력하게 만드는 현대의 전문가는 자신들이 공공 안녕을 .. 2022. 6. 14. [레비스트로스와함께하는신화탐구] 신화의 테마 - ① 불의 기원 식인의 불 신화의 테마 - ① 불의 기원 식인의 불 신화, 밥상머리 교육담 지난 시간까지 우리는 신화 제작의 논리를 살펴보았습니다. 레비 스트로스가 말하는 신화는 인간과 동물이 아직 구분되지 않던 시기의 이야기입니다. 무슨 원자 단위의 이야기를 한다는 것이 아니라, 인간과 동물이 자연의 온갖 힘들로부터 출현하는 대등한 존재라는 것이 줄기차게 자각되는 이야기라는 뜻입니다. ^^ 레비 스트로스는, 야생의 사고를 활발히 작동시키는 신화의 세계는 ① 보이는 것이 다가 아님을 주시하면서(卽非의 논리), ② 감각 기호를 통해 내가 세계와 접속하는 방식을 연구하며(구체성의 논리), ③ 자연과 인간이 어떻게 함께 조화를 이룰 것인가(전체성의 논리)라는 문제를 중심으로 기호들을 배열한다고 합니다. 신화의 바다에서는 그러한 제작 논.. 2022. 6. 13. 정화스님, 『나와 가족 그리고 가까운 이들을 그냥 좋아하기』 ‘기대’하는 습관 내려놓기 정화스님, 『나와 가족 그리고 가까운 이들을 그냥 좋아하기』 ‘기대’하는 습관 내려놓기 내려놓는 연습은 예측된 미래가 현상하더라도 그것을 탐하지 않고, 예측되지 않은 미래가 나타나더라도 그것으로 화내지 않는 마음흐름을 유지케 하여 불안한 현재를 만들지 않는 지혜를 체화하는 일입니다. 일어나는 일들이 마음에 드느냐 안드느냐를 가지고 힘들어하는 것은 사건들이 자신이 예측한 대로 흘러가기를 바라는 마음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일 것입니다. 이 마음은 사건의 흐름에 대한 무지를 상속받고 상속하는 마음입니다. 그러므로 그와 같은 바람과 판단이 삶을 괴롭게 한다는 것을 사무치게 알아차려야 집착을 내려놓을 수 있는 단초를 마련할 수 있습니다. (『나와 가족 그리고 가까운 이들을 그냥 좋아하기』, 중에서, 정화 지음, .. 2022. 6. 10. 이전 1 ···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87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