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연재 ▽796 삼국사기, 이해할 수 없는 고대의 윤리, 오직 믿음 뿐! 이해할 수 없는 고대의 윤리, 오직 믿음 뿐! 안길과 차득공의 기묘한 관계 『삼국사기』 열전에는 오늘날의 윤리로는 도저히 납득하기 어려운 상황이 기술된다. 그 중 하나가 「차득공전」의 이야기이다. 차득공은 문무왕의 이복동생이다, 왕은 차득공을 재상으로기용하고자 했다. 차득공은 재상이 되기 전에 은밀히 민생을 살피겠다며 전국을 떠돌았다. 민간 부역의 과중과 세금의 경중, 관리의 청탁여부를 살핀 뒤 재상에 올라 나라를 다스리고자 했던 것이다. 왕이 윤허했고, 차득공은 검은 빛깔의 승복을 입고 비파를 메어 거사 차림을 하고서 서울을 떠났다. 여러 고을을 거쳐 무진주에 이르러 동네를 순행하는데, 그 고을의 아전 안길이 차득공을 보고 이인임을 알아보고 집으로 맞이해 정성껏 음식을 대접했다. 밤이 되어 안길은 자기.. 2016. 12. 14. 알랭 바디우 외, 『인민이란 무엇인가』 - "우리, 인민"이 형성되다 "우리, 인민"이 형성되다알랭 바디우 외, 『인민이란 무엇인가』 가끔은 소, 돼지를 도살하여 태연하게 그 고기를 구워 먹는 내 모습이 불가사의할 때가 있다. 그러면서도 지나가는 애완견을 보면 귀엽고, 생명이 참 아름답지, 라고 생각하는 내 모습은 우스운 걸 넘어 기이하기조차 하다. 물론 이것과 저것은 다르다고 할 수 있겠지만, 그런 모순이 떠오르는 것 자체가 무척이나 괴이한 것이다. 그런 생각이 들 때면 내가 딛고 있는 이곳이 매우 난해한 지형이란 느낌으로 가슴이 턱 막힌다. 이토록 난해한 곳에서 내가 무슨 감각으로 살고 있는 것일까 의심스러워지는 것이다. 그러나 살기 위해서 무언가 더러운 것을, 그리고 무언가 잘못된 것을 알아도 안다고 말하지 않고 살아간다. 아무 일도 없이 살아가기 위해서. 이를테면 .. 2016. 12. 6. 공자의 정치학② - 지도자의 인격도야 공자의 정치학② - 지도자의 인격도야 공자의 정치학은 당시의 정세와 무관치 않을 것이다. 어떤 정치이론이든 그 당시의 역사적 조건이나 정치적 상황과 무관할 수는 없기 때문이다. 기원전 1100년경 은나라를 멸망시킨 주(周)나라는 정복전쟁에 참여한 왕족들과 개국공신들, 그리고 힘을 합해준 여러 부족들에게 땅을 나누어 주고 제후로 봉했다. 무왕과 함께 정복전쟁에 나섰던 강태공에게는 제나라를 주었고 아우 주공단에게는 노나라를 주는 식이었다. 이처럼, 건국초기에 주나라는 결혼 동맹을 포함한 혈연관계를 통해 제후국들과 결속되어 있었다. 그러나 세대가 거듭될수록 피도 묽어지고 상호협력의 필요성도 줄어들었다. 그러니 천자로서 주(周)왕의 리더쉽도 초기만큼 유지 되지 않았고, 제후국끼리의 전쟁도 빈번하게 되었다. 공자.. 2016. 12. 1. 윤리 위의 윤리 : 언약과 맹서(盟誓)의 미학 윤리 위의 윤리 : 언약과 맹서(盟誓)의 미학 공주가 온달에게 간 까닭은? 『삼국사기』 열전에서 가장 유명한 이야기는 「온달전」이다. '현처우부(賢妻愚夫)'의 전형으로 일컬어지는 '바보온달'의 이야기는 동화로, 혹은 남자를 성공시키는 능력 있는 여성들의 신드롬으로 회자된다. 온달이야기는 '남성의 성공은 곧 여성의 성공'이라는 등식을 유포하며 여성의 내조를 강조하는 이야기로 우리의 뇌리에 콕 박혀있다. 그야말로 평강왕의 딸은 '내조의 여왕'의 원조이다. 부자에 능력 있는 여성을 만나 금시발복하는 남성들의 꿈이 노골적으로 드러나는 해석이라고 할까? 『삼국사기』의 「온달전」을 다시 읽어보자. 꼼꼼하게 읽어보면 강조점이 다르다. 동화로 읽었던, 혹은 이야기로 들었던 ‘평강공주와 온달’을 일단 기억 저편으로 보내.. 2016. 11. 29. 이전 1 ··· 110 111 112 113 114 115 116 ··· 19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