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506

프롤로그 - 아빠여서 읽은 책이라니? 프롤로그 - 아빠여서 읽은 책이라니? ‘책’으로 ‘육아’를 한다는, 이른바 ‘책육아’담론이 있다. 좋은 내용들이다. 그런데 나는 그런 담론들을 마주할 때마다 어딘지 모르게 불편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었다. 그 담론들이 향하고 있는 방향이 대부분 우리 아이의 ‘훌륭한 성장’에 맞춰져 있었기 때문이다. 여기서 ‘훌륭한 성장’이란, 사고력의 향상, 상상력의 확장, 끈기의 함양 같은 좋은 덕목들을 갖추며 자라는 것이다. 세상에 어느 부모가 아이에게 그러한 것들을 갖추게끔 해주고 싶지 않겠나. 그런데 문제는, 그런 좋은 덕목들 속에 숨은 욕망이다. 어떻게하면 내 아이를 경쟁에서 탈락하지 않게 해줄 수 있을까 하는 그 욕망 말이다. 이를테면 어릴 때부터 책을 읽어서 사고력을 키워놓으면 학교 공부를 잘 할 수 있을 .. 2020. 2. 24.
김연수, 『소설가의 일』 - 문장의 일 김연수, 『소설가의 일』 - 문장의 일 『소설가의 일』을 두번째 읽고 있다. 그냥 양量으로만 따져보자면, 서너번째일수도 있다. 여기저기 아무 곳이나 펼쳐서 읽기도 했으니까. 그만큼 좋아한다는 이야기인데, 어째서 그런가 생각해 보면, 문장 때문이 아닐까 싶다. "문장이 전부다"라는 맥락의 말이 있다. 그것도 이 책에서 본 말인데, 정말 그렇다. 흔히 생각하고, 그걸 정리한 내용을 글로 쓴다고 믿지만, 그건 사실 환상에 가깝다. '쓰기'가 먼저다. 좀 이상한 말이지만, '내용'은 '나'가 '생각' 하는 게 아니다. 내용은 '쓰기'가 생각하는 것이다. 내가 할 수 있는건 그저 그걸 새로운 문장으로 만드는 일 밖에 없다. 특별하다할 것이 없는 '내용'임에도, 새로운 '문장'으로 말하면 매력적으로 변한다. 그러니.. 2020. 2. 19.
페터 한트케,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 - 과거는 사라지지 않지만, 떠날 수는 있다 페터 한트케, 『긴 이별을 위한 짧은 편지』 - 과거는 사라지지 않지만, 떠날 수는 있다 ““여기 다시 온지 얼마 안 돼서 그래”하고 나는 그가 가고 난 뒤 혼잣말로 소리쳤다. 외투를 걸친 채 욕실로 들어가 나 자신보다는 거울을 더 들여다보았다.”(14쪽) ‘혼잣말’에는 전제가 있다. ‘말’이 사실은 ‘상호적’이라는 전제다. 그럴 것이 ‘말’은 ‘의미’의 묶음이다. 그래서, 나 아닌 다른 사람에게 전달되고, 전달 받는다. 이를 두고 ‘소통’이라 부르는데, 이 시도는 대개는 실패한다. 오죽하면 정치인이고 연예인이고, 세상 전부가 ‘소통하자’고 달려든다. 다시 ‘혼잣말’을 살펴보자. 1인칭 화자(이하 주인공)는 소설의 3/2, 그러니까 클레어와 베네딕틴 모녀를 만나기 전까지 끊임없이 혼자 말한다. ‘말’을 .. 2020. 2. 17.
『다른 이십대의 탄생』 - 항상 '관계'속에 있는 '나'에 관한 책 『다른 이십대의 탄생』- 항상 '관계'속에 있는 '나'에 관한 책 한자리에 오래 머물지 못하는 이십대 사람 세 명이 용인 수지에 있는 조그만 인문학 공동체에서 만날 가능성이 얼마나 될까? 각자의 고민들을 안고 이곳에 찾아왔다지만, 대학도 직장도 아닌 이 곳에서 몇 년간 함께 책을 읽고 글을 쓴다는 것은 또 얼마나 이상한 일인가? 무엇보다 앞서 늘어놓은 것과 같은, 이상한 세계를 살고 있는 우리 세 사람이 어떻게 서로를 차단하지 않을 수 있었을까?- 김고은, 김지원, 이동은, 『다른 이십대의 탄생』, 중에서 오늘, 우리가 사회적으로 겪는 대부분의 문제는 여기에서 온다. 서로 간의 '공통점' 내지는 '교집합'이 없는 가운데, 또는 그걸 찾아내지 못하는 가운데 생겨나는 문제들이다. 이를테면, 아무렇지도 않게 .. 2020. 2.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