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506 어쩌다가 ‘인문학 세미나’를 하게 되었을까? 어쩌다가 ‘인문학 세미나’를 하게 되었을까? 세계를 뒤흔들지는 못했지만 내 인생은 뒤흔든 세미나 저의 ‘첫 세미나’는 ‘인문학 세미나’가 아니었습니다. 처음은 이른바 ‘운동권 세미나’였죠. 요즘은 어떨지 모르겠지만, 먼 옛날에 학교에서 정규수업을 하는 게 아닌데, ‘세미나’를 한다고 하면 대개 ‘운동권 세미나’를 말하는 것이었습니다. 저도 그런 시대는 경험해 보질 못했습니다. 제가 (여전히 졸업하지 못한) 대학 생활을 했던 시기는 2000년대 초반이었고, 그때는 이미 전교생 오천 명인 학교에서 ‘운동권’이라고 부를 법한 학생들을 정파 막론하고 모아봐야 오십 명도 장담하기 힘든 수준이었으니까요. ‘운동권’은 아니어도 그에 대해 꽤 우호적인 학생들까지 다 합해도 백 명이 채 되지 않았습니다. 운동권들이 대자.. 2021. 2. 1. 겉으로는 추워 떨고 속에서는 열이 나고 겉으로는 추워 떨고 속에서는 열이 나고 적열오한(積熱惡寒) 어떤 부인이 몸이 찬데도 오한(惡寒)이 나서 음력 6월에 갖옷까지 껴입고도 추위를 느끼며 설사가 멎지 않고 맥은 활줄같이 힘이 있었다. 그래서 내가 찬물에 적신 수건으로 가슴을 찜질하고 새로 길어온 물을 끼얹었다. 그러자 그가 아우성을 치며 사람을 잡는다고 외쳐댔다. 그래도 그치지 않고 연달아 30~40통의 물을 퍼부었더니 크게 떨면서도 땀이 나고는 1~2일 동안 정신이 혼곤해졌으나 고통스럽게 하던 것들은 다 없어졌다. 한(漢) 나라의 화타(華佗)와 북제(北齊)의 서문백(徐文伯) 역시 오래된 한증(寒證) 환자를 치료할 적에는 추운 겨울을 기다렸다가 찬물로 땀을 내주었는데 곧 이 방법을 쓴 것이다. - 『동의보감』, 「잡병편」, 火, 1187쪽 사.. 2021. 1. 19. 인문학 공부, ‘이해’보다 중요한 ‘통과’에 대하여 인문학 공부, ‘이해’보다 중요한 ‘통과’에 대하여 ‘이해’한다는 것 ‘이해’라는 말에는 두 가지 뜻이 함께 있습니다.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한다는 뜻과 ‘깨달아 알아듣는다’는 뜻입니다. 두 가지 의미 모두 어떤 ‘대상’을 가지고 있습니다. 사리를 분별하여 해석할 ‘대상’, ‘깨달아 알아들을 대상’이 있는 것이지요. 이 말은 곧, 그 ‘대상’의 내용을 재현하는 것과 연결됩니다. 책을 읽었다고 한다면 읽은 내용을 스스로에게 재현할 수 있는 것, 이게 바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이해’의 의미입니다.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공부’란 대개 그런 것이었습니다. 배운 내용을 얼마나 잘 재현해내느냐의 문제인 것입니다. 이런 식의 ‘이해’ 개념이 가진 문제점과 어쩌면 그러한 ‘이해’보다 더 중요한 것이 있다는.. 2021. 1. 18. [니체사용설명서] 나의 냉소주의를 고백합니다 나의 냉소주의를 고백합니다 예전에도 공부란 걸 했었다. 대학원에 진학하여 박사까지 되었으니 나의 공부 이력은 나름 길다. 대학원 과정 7년을 보내는 동안 내 삶의 모든 일상은 학교가 중심이었고, 무엇보다 이 과정이 재미있었다. 당연히 정해진 과정은 잘 완수했다. 이에 덧붙여 전공 내에서 때론 전공을 넘나들며 이런저런 세미나도 열심히 했고 학회 참석도 열심이었다. 내 공부를 완성할 수 있다면 무엇이든 다 했다. 이 과정에서 연구실에 들어온 예쁜(?) 후배와 연애도 했고, 결혼도 했으며, 아이도 낳고 기르며 지금까지 잘 살아왔으니 내 인생에서 많은 걸 얻었다. 또 주변 사람들에게 “쟤들은 별나다”는 소리를 들으면서까지 선후배들과 현장의 다양한 실천가들이 모여 학교 밖에 연구소도 만들어 운영했다. 이 과정에서.. 2021. 1. 12.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