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씨앗문장258

카프카×블랑쇼, '시는 기도로 향한다' 카프카×블랑쇼, '시는 기도로 향한다' 책을 읽고, 공부를 하는 일은, 그것은 말하자면 '기도'와 비슷한 것일지도 모르겠다. 전지전능한 절대적 존재에 원하는 바를 비는 것만 기도는 아닐 것이다. '신'이 없다고 생각하는 사람에게도 영성은 얼마든지 있을 수 있다. 아니, '있을 수 있다'는 정도가 아니라, 깨우치고 느끼는 일에 영성이 없을 수는 없다. 나는 대부분 '재미' 삼아 책을 읽곤 하지만, 가끔, 그저 재미로 읽는 중에도 간절하게 바랄 때가 있다. 오늘 낮에 있었던 기분 나쁜 일이 잊혀지기를 바라기도 하고, 쉽게 잊어버릴 수 있는 능력을 얻기를 바란다. 나아가, 그런 일들을 너끈히 감당할 수 있는 상태가 되기를 바란다. 책(『문학의 공간』에서 블랑쇼는 카프카를 축으로 삼아 '글쓰기의 즐거움'이랄지,.. 2019. 4. 1.
이 실패에도 불구하고 다시 살아가야만 해 이 실패에도 불구하고 다시 살아가야만 해 오월의 바람을 타고영어 낭독이 들려온다뒷집 대학생 목소리곧이어 일본어 번역이 뒤따른다발표를 준비하는 듯격식을 차린 목소리로영어와 일본어를 교차로 구성했다 그 젊음에 잠시 일손을 멈추고들어보는데 이 실패에도 불구하고……이 실패에도 불구하고……거기서 불쑥 침묵이 흘렀다왜 그래? 그 다음은 갑작스레 실연의 상처가 찾아든 것일까혹은 깊은 사색의 늪으로끌려들어간 걸까바람이 불어와도두 번 다시 그의 목소리는 들리지 않고 남은 것은 라일락 향기뿐 원문은 모르지만 그 뒤는 내가 이어볼게그래이 실패에도 불구하고나는 다시 살아가야만 해이유는 모르지만살아 있는 한 살아 있는 것들의 편이 되어 _이바라기 노리코, 「이 실패에도 불구하고」, 『처음 가는 마을』, 봄날의책, 2019, 1.. 2019. 3. 21.
벤야민,『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예외상태…, 진보의 이념 벤야민,『역사의 개념에 대하여』- 예외상태…, 진보의 이념 대략 2009, 10년 이래로, 살아가는 일에 '계획'을 세우는 것이 거의 불가능에 가까워진 다음부터, 전보다 훨씬 더 유명해진 말이다. 말하자면 '예외 상태'가 '일상'을 이루고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생각해 보면, 이전에는 괜찮았는데, 지금은 나빠졌다는 말과는 다르다. 언제나 '삶'은 비상사태 아래에 있다는 말이다. 쉬운 말로 사는 게 힘들지 않았던 적이 없다는 말이다. 말하자면, 예외적인 비상사태가 삶의 조건이다. 호불호, 윤리적 규범이라는 잣대를 떠나서 그게 '조건'이라는 걸 받아들이지 않으면 아무것도 시작할 수가 없다. 사실 위의 문장에서 내가 가장 좋아하는 것은 유명한 앞부분에 비해 상대적으로 덜 알려진 뒷부분이다. 파시즘의 적들이 '.. 2019. 3. 15.
마르틴 하이데거, 『근본개념들』 - '잊어버린 앎'을 깨닫는 일 마르틴 하이데거, 『근본개념들』 - '잊어버린 앎'을 깨닫는 일 요즘 들어 부쩍 자주 생각하는 주제다. 무언가를 '안다'는 것은 어떤 의미일까. 사실 인류 역사 전체를 볼 때, 현재처럼 보관된 지식의 양이나 증가속도, 이동속도 등이 폭발한 적은 없었다. 현대는 그야말로 '지식의 낙원'이라 할 만하다. 다만 문제는 그렇게 지식이 빠르게 늘어나고, 빠르게 이동하는 중에 무언가 한가지 끊임없이 잊혀지고 있는 게 있는 것 같다. 하이데거의 문제설정이 출발하는 곳도 바로 그 지점이다. '잊혀지고 있는 것'은 무엇일까? '인간성'일 수도 있을 테고, '본질'이라고 부를 수도 있겠지. 그리고 하이데거라면 아마도 '존재'라고 불렀을 것이다. 그렇지만 나는 눈에 보이고, 들을 수 있고, 만질 수도 있는 현상 아래에 감춰.. 2019. 3.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