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씨앗문장258 『청년, 니체를 만나다』 - 익숙한 것들 속에서 낯설게 『청년, 니체를 만나다』 - 익숙한 것들 속에서 낯설게 누구도 자기 자신과 무관한 것을 관찰할 수 없으며 자신이 아닌 것에 대해서 쓸 수 없다. 아니, 무언가를 관찰하고 무언가에 대해 쓴다는 것은 이미 그것과 자신이 무관하지 않음을 뜻한다. 관찰은 자신을 빼놓고 이루어지는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관찰한다는 것은 대상과 나 사이의 익숙한 고요함을 뒤흔들어 놓는 일이라는 점에서 대상과의, 동시에 자기 자신과의 불화와 투쟁을 함축한다. 쓴다는 것은, 그 투쟁을 통해 자기 자신으로부터의 은밀한 탈주를 감행하는 일이다. 요컨대 쓴다는 것은, 무엇을 쓰든 간에 결국 자기 자신에 관한 일이며, 자신으로부터 떠나는 일이다. 그것은 한때 자신이었던, 그리고 여전히 자신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는 어떤 것과의 투쟁과 결별을 .. 2018. 11. 29.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충분하다』 - 유머와 자비 비스와바 쉼보르스카, 『충분하다』 - 유머와 자비 비스와바 쉼보르스카는 내가 가장 좋아하는 시인이다. 『끝과 시작』은 사실상 '경전'이나 다름없을 정도다. 사실 나는 '시'詩를 그다지 즐겨읽는 편이 아니었다. 정서적으로는 어쩐지 간지럽기도 하고, 이성적으로는 늘 '과하다'는 느낌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 모든 것이 쉼보르스카를 읽으면서 바뀌었다. 『충분하다』에 실린 시들도 그렇게 좋을 수가 없다. 너무 과하지도 않고, 간지럽지도 않다. 제목 그대로 '충분하다'. 아슬아슬하게 유지되는 '적절함'이 주는 아름다움이 고스란히 베어있다.(적절하기란 얼마나 어려운 것인지!) 「유머와 자비」는 시인의 유고 중에 있던 미완성 시다. 거의 단점만 가지고 있는 인간이라는 종種이 거의 유일하게 가지고 있는 특유의 장점으로 .. 2018. 11. 19.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 '앎'은 노예가 아니다 플라톤, 『프로타고라스』 - '앎'은 노예가 아니다 '앎'은 요소라기 보다는 특정한 체계에 가깝다. 따라서 무언가 '안다'는 것은 체계가 바뀐다는 뜻이다. 이를테면, 어떤 상황을 겪을 때, 지금까지는 매번 기분이 좋지 않았지만 어떤 앎을 체득한 후부터는 더이상 그렇지 않게 된다. 앎이란 그런 것이다. 비슷한 예로, 예술작품의 감상 같은 걸 생각해 볼 수도 있다. 매번 보면서 아무 감흥도 느끼지 못했던 그림을 보고 이전과는 다른 감정을 느낄 수 있게 된다거나 할 때, 그때가 바로 '앎'이 작동하는 순간이다. 다시 말해서 '앎'은 조각난 정보들의 집적물 같은 것이 아니다. 다시 말해 관념의 노예들과는 무관하다. 그렇게 '체계'가 바뀌는 문제이기 때문에 '앎'은 '자유'와 관계된다. 내가 분노의 노예가 될 때.. 2018. 11. 13. 롤랑 바르트, 『사랑의 단상』 - 말 속에 내장된… 롤랑 바르트, 『사랑의 단상』 - 말 속에 내장된… '말'이 없으면 어디에도 닿을 수 없지만, 또한 역설적으로 '말'로는 어디에도 닿을 수 없다. 모든 것이면서 동시에 아무것도 아닌 것, 언어는 늘 그렇게 양면적이다. 바르트의 말들이 여전히 아름다운 이유는 그의 말들이 언어가 가진 그런 속성을 더도, 덜도 없이 고스란히 드러내는 데 있다. 말하자면, 그의 언어는 (일부러) 오해를 불러 일으키려는 듯 하다. '오해'는 결국 '말' 속에 내장된 폭탄과 같은 것인데, 그게 터질 때 비로소 말은 섬광처럼 진실에 가서 닿는다. 터지지 않는 말, 폭탄이 내장되지 않은 말들은 결국 흩어져 사라질 뿐인 말들이다. 정치인들의 말들처럼. 그러나 애초에 흩어지고 말 운명을 가지고 태어나는 말들이야 말로, 어떤 증거가 아닐까.. 2018. 10. 22.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6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