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561 활기(animacy) 가득한 생명력의 일상―오선민 샘의 『미야자키 하야오와 일상의 애니미즘』이 출간되었습니다! 활기(animacy) 가득한 생명력의 일상―오선민 샘의 『미야자키 하야오와 일상의 애니미즘』이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11월의 신간은 북드라망 올해의 마지막 신간입니다. 2024년을 마무리하는 책은, 벌써 5년째 꾸준히 해마다 우리에게 새로운 사유를 보여 주고 계신 ‘인문공간 세종’ 오선민 선생님의 『미야자키 하야오와 일상의 애니미즘』입니다! 이 책은 에서부터 까지, 미야자키 하야오의 장편 전작(11편)을 애니미즘의 시각으로 보고, 쓰고, 말하는 책입니다. 장편 제목을 따라 총 11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그래서 어디에서부터 펼쳐 보아도 상관 없는데요. 저는 최근에 아이랑 함께 본 를 먼저 펼쳐 볼 것 같고요, 함께 사는 어떤 분이라면 자신이 가장 좋아하는 편부터 펼쳐 볼 것.. 2024. 11. 8. [나의 석기 시대] 연필과 석기 연필과 석기 “가장 널리 퍼져 있는 편견의 하나는 문화가 진보한다고 단정하는 것이다. ‘문명의 진보’라는 표현은 너무 자주 들어서 진부하기조차 하다. 소박하고 원시적인 사람들에 대해서는 ‘진보적이지 않다’는 딱지를 붙인다. 여기에는 끊임없이 앞으로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 좋다는 암시가 들어 있다. 실제로, 진보라는 발상 자체는 흥미로운 문화적 현상이다. 이상하게 들릴 수도 있지만, 인류의 대다수는 역사의 대부분을 통해 진보라는 발상에 물들지 않았다. 기본적으로 정적인 세계, 변화가 없는 인간은 당연한 것이었다. 설사 변경의 관념이 있었다 해도, 그것은 초기 황금시대로부터의 타락이라고 치부되는 경우가 많았다.”(알프레드 Kroeber(1923), 프란스 드 발, 박성규 옮김,『원숭이와 초밥 요리사』.. 2024. 11. 7. [내가 만난 융] 꿈을 통해 삶의 길을 명상하다!(2) 꿈을 통해 삶의 길을 명상하다!(2) 글_지산씨(사이재) 나는 나의 꿈 해석이 옳다는 것-꽤 가망이 없는 모험-을 증명할 필요가 없고 다만 환자와 함께 ‘작용을 일으키는 것’-‘실재적인 것’이라는 말을 쓰고 싶을 정도이다-을 찾아야 한다. (『정신 요법의 기본 문제』, 48-49쪽) 1. 왜 꿈을 해석하는가? 꿈이, 꿈의 강렬함이, 그리고 현실 또는 의지에 반하는 꿈의 현상이, 융의 삶을 이끌었다. 꿈을 통해 자신의 앞날을 정^^하거나 현재 살고 있는 삶이 무엇인지, 이후 나아가야 하는 삶은 어떤 것인지를 통찰했다. 꿈에 관한 한, 아니 꿈에서의 융은 지혜로운 노인, 노성한 현자와 같았다. 살아 본 적 없는 삶을 살고, 상상한 적 없는 상태를 경험하고, 가야할 길을 내다봤으니 앞을 깨우쳐주는 .. 2024. 11. 6. [아스퍼거는 귀여워] 감자 팬클럽 감자 팬클럽 그 날은 평범한 오후였다. 감자가 한 50일쯤이었을까. 분유 냄새가 폴폴 나는 뽀시래기 시절, 남편은 출근하고 나는 감자랑 하루 종일 붙어있으면서 젖을 먹이고, 기저귀를 갈고를 반복하고 있었다. 거실 소파 위에 앉아 다리 위에 아이를 끼워놓고는, 좌우로 살랑살랑 흔들었다. 배부른 아이는 나른하게 누워있고, 모처럼의 평화로운 분위기. 그때 감자는 내 눈을 정확하게 바라보며 방긋 웃었다. 등줄기부터 짜르르 행복감이 느껴졌다. “아…. 이게 행복이구나” 감자를 낳고 밤낮으로 잠도 못 자고, 회복이 늦어서 제대로 앉지도 서지도 못했던 나날들이었다. 내 배에서 나왔지만, 처음에는 실감이 안 났고, 나중에는 정신이 없었고, 씻지도 먹지도 못해 사랑스러움을 느낄 새도 없었다. 하지만 그 날 처음 눈이 .. 2024. 11. 5. 이전 1 ··· 46 47 48 49 50 51 52 ··· 89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