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95 [나의 은퇴 이야기] 마땅한 삶의 길로 한 발씩 내딛기 마땅한 삶의 길로 한 발씩 내딛기권순정(사이재)1. 은퇴를 했다 “권순정 선생님, 명예퇴직을 축하합니다.” 2025년 1월 10일, 교감선생님으로부터 받은 ‘청천벽력’같은 메시지였다. 그날은 이미 제주도에 가 있던 사이재 식구들과 합류한 제주 여행의 첫날이었다. 하필 애써 고른 잠녀식당이라는 맛집에서 점심을 막 시켜 놓은 터였다. 나의 명예퇴직을 바란 사이재 식구들은 환호하며 축하해 주었지만 문자를 확인한 순간, 나는 숨이 멎고 가슴이 조여드는 듯한 압박감으로 숨이 잘 쉬어지지 않았다. 입이 바짝바짝 마르고 온 몸에 힘이 쫙 빠졌다. 다들 맛있게 밥을 먹는데 나는 밥알이 목구멍에 걸려 잘 넘어가지 않았다. 일주일간의 제주 여행 내내 마음이 무거웠다. 이 감정이 대체 뭔지 그림자처럼 계속 나를 따라다니며 .. 2025. 4. 28. [허남린 선생님의 임진왜란 이야기] 단조로움과 즐거움의 역설 허남린 선생님께서 들려주시는 임진왜란 연구의 경험, 쟁점, 즐거움 등에 대한 산문 연재를 시작합니다.(이 연재는 홈페이지에 '임돌이가 들려주는 임진왜란'이라는 코너로 먼저 연재되고 있습니다.) 허남린 선생님은 캐나다 UBC(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아시아학과에서 일본사를 가르치고 계시며, 쓰신 책으로는 『조선시대 속의 일본』, 『처음 읽는 정유재란 1597』, 『두 조선의 여성:신체·언어·심성』, 『Prayer and Play in Late Tokugawa Japan』, 『Death and Social Order in Tokugawa Japan』 등이 있습니다. 단조로움과 즐거움의 역설허남린 선생님(캐나다 UBC 아시아학과 교수)임진왜란, 한 우물을 파란 말이 있지만,.. 2025. 4. 25. [북토크 후기] ‘동네 병원’ 이내과의원에서 열린 『동네 병원 인문학』 북토크 [북토크 후기] ‘동네 병원’ 이내과의원에서 열린 『동네 병원 인문학』 북토크 지난 주 목요일인 4월 17일 서울 대방동의 한 동네 병원에서 북토크가 열렸습니다. 대방역과 보라매역 사이 서울지방병무청 부근에는 연륜이 쌓인 건물이 여럿 있는데, 그 가운데 4층짜리 건물 하나에 파란색의 ‘이내과의원’ 간판이 눈에 띕니다. 오래된 건물의 닳은 계단을 따라 3층으로 올라가면 그곳이 바로 전공의를 마치고 이여민 선생님께서 30여 년간 진료해 오신 곳, 이내과의원입니다. 이여민 선생님은 3년 전에 출간하신 『대중지성, 금강경과 만나다』를 통해 불교 신자가 아니라도 한번은 들어보았을 유명한 경전인 『금강경』을 인문학적으로 설명해 주신바 있는데요, 이번에는 바로 이곳 진료실에서 만난 환자와 질병에 대한 이야기를.. 2025. 4. 24. [북-포토로그] 일요일 나들이 + 해골 산 + 뜻밖의 왕들 일요일 나들이 + 해골 산 + 뜻밖의 왕들 지난 일요일, 화창한 날씨에 미술관도 가고 경복궁 산책이나 하자는 마음에 국립현대미술관을 찾았습니다. 전시중인 론 뮤익(Ron Mueck)의 작품들은 인상적이었습니다. 인물에 대한 정밀하고 사실적인 묘사가 오히려 기괴한 느낌을 불러일으키는 색다른 전시였습니다. 산처럼 쌓인거대한 해골들도 눈길을 끌었지요. 얼마 남지 않은 벚꽃이 흩날리는 계절에 묘하게 잘 어울리는 전시였습니다^^ 론 뮤익, 론 뮤익, 국립현대미술관에서 경복궁으로 향하는 길에서는 생각지도 못한 행사를 마주쳤습니다. 155년만에 열린다고 하는 종로 환안제(還安祭)! 종묘를 보수공사하느라 창덕궁에 임시로 모셔 놓았던 조선 왕들의 신위를 다시 종묘로 옮겨오는 행사입니다. 고종 때 이후로 처음 열.. 2025. 4. 23. 이전 1 2 3 4 5 6 7 ··· 8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