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495

[나의 석기 시대] 고기로 태어나서 고기로 태어나서1. 채식주의자는 어디에 있는가? 한강 작가가 2024년 노벨 문학상을 탔다. 세계 문학의 시류를 타기 위해 『채식주의자』를 집어 들었다. 그림 형제가 수집한 유럽의 민담들, 그리고 우리의 옛이야기 등에서 보면 늘 먹고 먹히는 이야기가 나오기 때문에 ‘풀을 먹는다’라는 테마에 관심이 갔다. 그런데 『채식주의자』는 먹고 먹히는 이야기가 아니었다. 오직 ‘먹는’ 문제밖에 나오지 않는다. 『채식주의자』는 「채식주의자」,「몽고반점」,「나무 불꽃」의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앞의 두 부분은 오직 ‘누가 먹을 것인가’를 두고 다툰다. 절대적 육식 거부에서 절대적 식사 거부로까지 나아가는 중심 인물의 행보가 산업 사회의 포악한 육식 문화를 비판하는 것 같지만, 실은 철저하게 ‘나는 나만 먹겠다!’를 고집.. 2024. 11. 28.
『한뼘 양생』 저자강연회 현장을 공개합니다! 『한뼘 양생』 저자강연회 현장을 공개합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 북튜브 독자 여러분! 지난 11월 12일 서울 정동 프란치스코 교육회관에서 열린 문탁 이희경 선생님의 『한뼘 양생』 강연회에 많은 분들이 참여해 주셨고, 그 현장을 문탁넷의 후유샘이 후기로도 남겨 주셨었는데요. 이희경 선생님의 강연을 영상으로도 담았습니다. 나이듦과 돌봄, 죽음, 그리고 공부가 어떻게 선생님의 화두가 되었는지, 그 모두를 겪고 고민하고 공부하는 일상은 어떤 것인지, 강연에 잘 담겨 있습니다. 지금, 잘 나이들고 싶은 모든 분들께 영상을 추천합니다. 2024. 11. 27.
[현민의 독국유학기] 어젯밤의 이야기 어젯밤의 이야기어제는 밤 늦게까지 글을 쓰다가 스스로에게 약간 실망하면서 초콜렛을 찾으러 부엌에 들어갔다. 부엌에는 레오가 있었다. 레오는 두 달 전쯤 이사 온 이탈리안이자 독일인이다. 내 윗방에 사는데 내가 늦게 자기 때문에 레오가 얼마나 늦게까지 안 자는지 그의 발소리로 확인할 수 있다. 레오는 늦은 밤에 꼭 담배를 한 대씩 피러 나온다. 문을 열어 인사를 하자마자 그가 쇼파 위에서 자고 있는, 우리 집에 자주 오는 고양이를 가리켰다. 레오는 그 고양이와 같이 찍은 셀카를 보여주었다. 나와 레오가 같은 물건을 산다면 나는 설명서를 아예 읽지도 않고 무작정 끼워보는 편인 반면에 레오는 침착하게 읽은 뒤 하나씩 맞춰보는 사람이라고 설명하겠다. 레오는 그런 식으로 나에게 물리적인 평안도, 마음의 평안도 주.. 2024. 11. 26.
[우.세.소] 인문세 ‘자연학 세미나’를 소개합니다 자연, 전략가들이 만드는 무대  이기헌(인문공간 세종)   나에게 자연은 산골에나 가야지만 볼 수 있는 거였다. 사계절을 느끼고 공기를 마시고 흙을 밟고 살면서도 왜 그런지 그게 어디 따로 있는 거라고 생각했던 것 같다. 그러다 2년 전 친구가 자연학을 공부하자며 권유했다. 꼭 알아둬야 할 훌륭한 지식이라니 끌려서 신청하게 되었다. 공지를 보니 선생님이 따로 없고 아는 만큼 발표해야 한다는데, 발표 울렁증이 있는 나로서는 걱정이 앞섰지만 글쓰기 숙제가 없으니 조금만 용기를 내보자고 생각했다. 같이 공부하자고 옆구리를 찔렀던 친구는 금요일이 바쁘다며 하차했고 나는 지금 반장이 되어 세미나를 이끌고 있다. 공부를 시작할 때와 다르게 지금은 내 주변의 자연이 전과는 다르게 다가온다. 그들이 더 잘 보이고, 더.. 2024. 11.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