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경열의 자기만의 고전 읽기46

칼과 바다, 정치사상가 한비자 읽기 (1) : 생애와 저작 ① - 한비, 전국시대 최후의 대사상가 칼과 바다, 정치사상가 한비자 읽기 (1) : 생애와 저작 ① 한비, 전국시대 최후의 대사상가 한비의 생애는 사마천의 『사기』 「열전」(列傳)에 기록되었다. 열전 제3편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이 우리가 읽을 수 있는 한비에 대한 최초의 전기다. 분량은 적지 않으나 객관적인 정보는 많지 않다. 한(韓) 나라 공자(公子) 가운데 한 명이라는 것, 형명법술지학(刑名法術之學, 까다로운 말이다. 뒤에 상술한다)을 좋아했다는 사실, 말더듬이라 말보다 글에 더 능했다는 점, 이사(李斯)와 함께 순자(荀子)에게서 배웠다는 기록이 보인다. 마지막에 그의 글을 보고 훗날 진시황이 되는 진왕(秦王)이 만나고 싶어해 한나라를 공격하자 한나라가 한비를 진나라에 사신으로 보내 왕을 만났다가 이사의 모함으로 죽었다는 얘기 .. 2022. 5. 6.
『손자병법』(12) _ 구체성에서 개념화로(3) _ 손자와 노자, 병가와 도가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12) _구체성에서 개념화로(3) _ 손자와 노자, 병가와 도가 항상성과 변화의 종합으로서의 『주역』, 『노자』, 『손자』 청나라 말의 유명한 학자 위원(魏源)은 「손자집주서」(孫子集注序)에서 말했다. “『주역』(周易)은 병법을 말한 글인가? (「문언전」文言傳에서 건괘乾卦의 상구효上九爻를 풀이하면서) ‘항(亢=끝極, 혹은 오만함)이란 말은 나아갈 줄만 알고 물러설 줄 모르며, 보존하는 것만 알고 망하는 것은 모르며, 얻는 것만 알고 잃는 것은 모르는 것이다.’ 이 때문에 움직이면 후회한다. 나는 이 말에서 병법의 실상을 본다. 『노자』(老子)는 병법을 말한 글인가? ‘천하에 물보다 부드럽고 약한 것은 없다. 그러나 견고한 것을 공격하는데 물보다 앞서는 것은 없.. 2022. 4. 8.
『손자병법』- 구체성에서 개념화로(2) _ 유동하는 개념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11) _ 구체성에서 개념화로(2) _ 유동하는 개념 전쟁과 ‘개념의 유동성’ 주석가들 절(節)에서, “삼군의 많은 군대가 반드시 적의 공격을 받게 되더라도 패하지 않는 것은 기정(奇正), 이것 때문이다”[三軍之衆, 可使必受敵而無敗者, 奇正是也./勢篇]라는 글에 장예는 이렇게 설명했다. 기정은 “서로 변하며 순환한다”[相變循環]. 장예의 정의는 기정을 정확히 포착했다. 비유를 거론할 때 형세를 설명하며 환기했던 말이다. 형세는 상보적이어서 배치되는 개념으로 혹은 실체로 고정된 개념으로 이해해서는 안 된다고. 기정도 마찬가지다. 장예가 서로 변하며 순환한다고 한 것은 손자가 쓰는 모든 개념이 고정된 실체로 각자 자기 의미망 안에서 거처한다는 뜻이 아님을 지적한 .. 2022. 3. 11.
『손자병법』- 체계적인 글쓰기와 비유 연재목록 바로가기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10) 구체성에서 개념화로(1) - 체계적인 글쓰기와 비유 『손자병법』의 글쓰기 방식 『손자병법』의 뛰어난 면을 두 가지로 압축해 볼 수 있다. 첫째는 글쓰기 방식에 관한 것이며 둘째는 비유를 어떻게 썼는가하는 문제다. 글쓰기 방식은 매요신을 설명하는 가운데 요체가 다 나왔다. 『손자』를 통독하고 나면 제일 먼저 받는 인상은 중국 역사상 가장 이른 시기에 속하는 글인데도 체제가 정연하다는 느낌이다. 시기로 보면 『손자』보다 『논어』가 늦는데 『논어』는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 『맹자』처럼 조리 있는 글조차 책 전체를 통괄하는 일관된 흐름을 감지하기 힘들다. 『손자병법』은 잘 짜여진 장편소설처럼 뚜렷한 테마가 저류하면서 책에 조직력을 부여한다. .. 2021. 12. 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