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최경열의 자기만의 고전 읽기46

『손자병법』의 구성과 내용② 형(形)~군쟁(軍爭)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5) - 『손자병법』의 구성과 내용② 형(形)~군쟁(軍爭) 4) (군軍)형편(形篇): 병서를 분류한 「예문지」의 문장에서 형세를 논한 부분은 다음 편의 세勢와 함께 묶은 것으로 손자가 말을 가져와 표현한 뛰어난 정의다. 형과 세는 약간의 차이가 있다. 형은 형체, 혹은 형태로 눈으로 보고 파악할 수 있는 형식이다. 군사들의 진형(陣形)이나 제식훈련의 일정한 움직임을 생각하면 이해하기 쉬울 것이다. 그러나 이 형(刑=形)은 세(勢)를 위한 잠재력이기 때문에 정해진 격식으로만 생각해서는 안 된다. 형에 숙달해서 세를 만들고 상대방과 마주한 상황에서 예측하지 못하는 응용력을 발휘하기 위해 형은 존재한다. 그렇다고 세를 위한 단순한 준비나 예비단계는 아니다. 형을 완.. 2021. 9. 10.
[자기만의고전읽기] 『손자병법』(4) - 구성과 내용① 계편~모공편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4) 『손자병법』의 구성과 내용① 계편~모공편 왜 『손자병법』이 중요한지 간접적으로 설명이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분류방법에 보이는 네 가지 범주를 염두에 두고 『손자병법』을 읽어 보자. 『손자병법』 13편의 차례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시)계편([始]計篇): 송나라 때 『무경칠서』(武經七書)(『손자』·『오자』·『사마법』·『이위공문대』·『울료자』·『황석공삼략』(黃石公三略)·『육도』(六韜)를 말한다. 『이위공문대』는 송나라 때 처음 편찬된 병서로 당(唐) 태종이 위공(衛公)이라 불린 당나라의 명장 이정(李靖)에게 묻고 대답한 고서다. 황석공(黃石公)은 한나라를 통일한 유방의 유명한 참모 장량이 공부했다는 책으로 장량에게 병서를 전한 사람으로 알려졌다. 그 .. 2021. 9. 3.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3) _ 『한서』 「예문지」의 병서 분류 연재목록 보기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3) 『한서』 「예문지」의 병서 분류 본문의 구성과 내용을 살피기 전에 「예문지」에서 언급한 병서의 분류 방법과 의미를 파악해 『손자병법』의 위치를 가늠하는 일이 우선일 것 같다. 그런 이후에 『손자병법』을 얘기하면 책의 체계를 이해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앞서 언급한대로 「예문지」는 병서를 네 종류로 분류했다. 1) 병권모(兵權謀): 「예문지」의 정의를 보자. “권모는 올바름으로 나라를 지키고, 기이함으로 군사를 부리는 것이다. 계책을 먼저 세우고 전쟁은 그 뒤에 한다. 형세를 겸하고 음양을 포함하며 기교를 쓴다”[權謀者, 以正守國, 以奇用兵, 先計而後戰, 兼形勢, 包陰陽, 用技巧者也.] 권모를 정의하면서 정(正)에 상대되는 기(奇, 기이함.. 2021. 8. 27.
『손자병법』-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손자병법』(2) _ 군사의 기동성과 개념의 유동성 저자 손자 손무의 군사 훈련 서양에까지 널리 알려진 손자는 어떤 사람인가. 손자는 손무(孫武)로 제(齊)나라 사람이다. 제나라에는 두 명의 걸출한 병법가가 태어났다. 손무와 손빈(孫臏). 「예문지」에는 『오吳손자병법』과 『제齊손자병법』 두 권을 나란히 기록했는데 『오손자병법』이 현재의 『손자병법』이다. 손무가 한때 오나라에 가서 오나라 왕 합려(闔廬)를 섬긴 적이 있기 때문에 둘을 구분하기 위해 손무를 오손자라고 칭한 것이다. 사마천은 『사기』, 「손자오기열전」에서 손무와 손빈을 모두 소개하는데 손무의 전기는 손무가 오나라에서 군사를 훈련시키는 이야기만으로 간략하게 구성했다. 실제로 손무는 오왕 합려를 도와 노나라를 괴롭혔던 초나라를 공격해 초나라의 수.. 2021. 8.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