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포토로그27

[북-포토로그] 봉숭아 물 들이는 데 한 마을이 필요하다? 봉숭아 물 들이는 데 한 마을이 필요하다?   참, 이상하다. 예전에는 여름이면 동네에 지천으로 피어 있던 봉숭아꽃이 딸아이 손톱을 물들여 주려고 마음먹은 2년 전부터 도통 잘 보이지가 않는다. 찾다 못해 재작년에는 인터넷으로 씨앗부터 부랴부랴 구입해서 꽃 피우기를 기다렸고 앙상한 줄기에 달린 가는 이파리와 꽃 한 송이로 완두콩만 한 아이 손톱을 겨우 몇 개 물들일 수 있었다. 작년에는 다행하게도 이런 사정을 아는 후배가 우연히 서울 근교의 식당에 갔다가 봉숭아꽃을 발견하고 따다 줘서 비교적 수월하게 들일 수 있었다. 초등학생이 된 올해는, 방학 때 하고 싶은 일에 ‘봉숭아 물 들이며 도란도란 이야기하기’를 체크했다며 환하게 웃는 모습에 속으로 ‘헉’ 하며 그날부터 봉숭아를 찾아 두리번거렸으나 역시 내가.. 2024. 8. 14.
[북-포토로그] 뭐… 뭐라도 되겠지요 뭐… 뭐라도 되겠지요 “낭랑하게 낭송하라! 필사적으로 필사하라!” 어디서 많이 들어 보셨지요? 북드라망의 낭송 Q시리즈 뒤표지마다 적혀 있는 ‘호모 큐라스의 세 가지 구호!’ 중 두 가지인데요. 이제야(라는 것은 그러니까 제가 북드라망의 [구] 정직원 [현] 전직원이 된 지도 꽤 오래된 지금입니다) 고백하는 것이지만 저는 그런 삶을 살아오지 못하였습니다, 흠흠. 하지만… 저 역시 ‘호모 큐라스’의 운명을 피해 갈 수는 없었던 것일까요? 아니, 어쩌면 사람은 해야 할 일을 언젠가는 반드시 하게 되고야 마는 것일지도 모르겠습니다. 아무튼 어쩌다 보니 제가 본의 아니게(응?) 낭송과 필사의 삶(이라고까지 하는 것은 좀 거창하긴 합니다만…)을 살게 되었지 뭡니까. 정말 생각지도 못했던 텍스트로요, 하하하하하하하.. 2024. 8. 6.
[북-포토로그] 소설을 읽고 있습니다 소설을 읽고 있습니다 밤 9시가 넘어가면 저희 집은 깜깜해집니다. 남편은 첫째 아이와, 그리고 저는 둘째 아이와 자기 위해 각자의 방으로 들어가거든요. 아이가 어릴 때는 수면의식(잠을 자기 전에 하는 행위)이 매우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뭐 여러분들이 상상하시는(?) 특별한 ‘의식’이 있다기보다 방을 좀 어둡게 하고 책을 읽고 뒹굴뒹굴 하는 등 잠이 오는 환경을 잘 만들어주는 작업이라고 보시면 된답니다. 그렇게 아이를 재우다보면 같이 잠이 들 때도 있고, 겨우 일어나 남은 집안일을 하거나 일을 하곤 합니다. 그런데 말입니다, 아이는 생각보다 빨리 잠들지 않더라고요. 수면의식만 하면 바로 꿈나라로 가느냐? 절대 아닙니다. 잠이 든 것 같아서 밖으로 나가려고 하면 (어떻게 알고) 엄마를 찾고, 다시 토닥토닥 .. 2024. 7. 23.
[북-포토로그] 나혜석과 김일엽의 자취가 서린 수덕여관 나혜석과 김일엽의 자취가 서린 수덕여관   충남 예산에는 수덕사가 있습니다. 백제 시대에 창건된 유서 깊은 사찰로, 수덕사의 대웅전은 고려시대에 지어진 가장 오래된 목조건물 중 하나라고 하네요.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과 함께 배흘림기둥으로도 잘 알려져 있는 건축물입니다.   그런데 수덕사 일주문 바로 왼쪽에는 특이하게도 여관이 하나 자리잡고 있습니다. ‘수덕여관’이라는 이름을 가진 여관인데요. 지금은 여관으로 쓰이지 않지만, 예전에는 절에 참배를 온 이들이 실제로 묵었던 곳입니다. 이곳에 묵었던 이들 중에는 이혼 후에 조선 사회의 이중성에 지쳐 친구 김일엽을 찾아온 나혜석도 있었습니다. 걸출한 작가이자 여성운동가였던 김일엽은 이미 출가하여 수덕사에서 수행을 하고 있었는데, 나혜석이 자신도 출가를 하겠다며 .. 2024. 7. 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