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이당385

봄에 피고지는 부지런한 본초, 진통작용을 하는 현호색 아픔, 현호색과 함께 사라지다 약이 되지 않는 풀은 없다?! 옛날 옛적 깊은 산골에 약초를 공부하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스승이 그에게 “이 산에서 약이 되지 않는 풀을 하나만 구해 오면 하산해도 좋다.”고 하자 그는 매우 쉬운 일이라 생각하고 풀을 구해왔지만 가지고 가는 것마다 퇴짜를 맞으며 십년이 흘렀다. 이제 그의 눈엔 약으로 쓰이지 않는 풀은 하나도 보이지 않았다. 낙담하여 “도저히 그런 풀을 구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하자 그 말을 들은 스승은 “이제 하산 하여라~” 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하고 싶은 말은 어떤 풀도 그 특성을 잘 알면 약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어째서 일까? 약은 모자라는 기운을 돋우거나 넘치는 기운을 덜어내어 몸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 밖에서 취하는.. 2013. 4. 11.
무너지는 척추를 잡아주는 버팀목, 목기운을 가진 속골(束骨) 허물어진 중심에게, 속골(束骨)을! 희한한 진단법?! 내가 중학교 때 같은 반이었던 한 친구의 아버지는 한의사셨다. 메기수염을 길게 기르고 늘 한복을 입으셨는데, 가끔 학교에 와서 아이들을 무료로 진찰해주시곤 했다. 몸이 좋지 않아 아저씨한테 가면, 먼저 양 손목을 잡힌다. 손가락을 얹어 지그시 잡으시고는 눈을 감고 천천히 숨을 고르셨다. 침을 놓을 때는 눕힌 상태에서 배를 이리저리 눌러보기도 한다. 그렇다, 이것이 우리에게 익숙한 한의학의 진단법이다. 맥진(脈診)과 복진(腹診). 맥을 짚거나, 배를 눌러보거나, 환자의 안색을 관찰하는 것(망진). 맥과 손끝의 감각으로 균형이 무너진 곳을 찾아내는 아저씨의 기술은 실로 신기했지만, 누구든 하루아침에 그런 능력이 생길 수는 없다. 우선 맥을 짚을 촌, 관,.. 2013. 4. 4.
소변 작다고 무시하면 참변! 몸 속 수분대사를 관장하는 곤륜혈(崑崙血) 내 몸 속 선인(仙人)의 거처, 곤륜(崑崙) 『삼국유사』에 보면 이라는 재미난 설화가 있다. 김유신의 두 누이동생들의 이야기이다. 잠깐 한자락 들어보자. 설화는 언니 보희와 동생 문희 즉, 자매 관계에 있는 이들이 오줌 꿈을 팔고 사는 것으로 시작한다. 보희가 꿈에 서악에 올라가서 오줌을 누었더니 오줌이 서울에 가득 찼다. 이튿날 아침에 보희가 동생 문희에게 꿈 얘기를 하자, 문희가 이 말을 듣고서 비단 치마를 내고 꿈을 사겠다고 하였다. 언니는 동생에게 꿈을 팔았다. 열흘 뒤 유신이 춘추공과 함께 유신의 집 앞에서 공을 차다가, 일부러 춘추의 옷자락을 밟아서 그 옷고름을 찢어 뜨렷다. 보희에게 꿰매 드리라 하니 사양하였다. 문희가 꿰매어주자, 공은 유신의 뜻을 알고 드디어 문희를 사랑하였다. 이 춘추가.. 2013. 3. 28.
봄을 닮은 앙증맞은 지지(地支), 묘월(卯月)의 이야기 꽃피는 춘삼월의 재간둥이 토끼 한 달 동안 잘 지내셨나요? 어느덧 3월의 마지막 주가 되었습니다. 3월은 지지로 치면 묘월(卯月)에 해당하는데요. 묘월은 겨울잠 자던 개구리가 천둥소리에 놀라 뛰어나온다는 경칩과 대지에 봄기운이 완연해지는 춘분이 자리잡고 있는 달입니다. 아직 일교차가 심하고 꽃샘추위도 기승을 부리지만 호랑이처럼 맹렬하던 인월의 추위에 비하면 토끼처럼 유순하고 따뜻한 날씨를 느낄 수 있죠. 이번 묘월은 꽃피는 춘삼월과 딱 어울리는 동물인 토끼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겠습니다. 꾀돌이 토끼야 토껴! 우리가 어릴 적 읽었던 동화책들은 동심에 자양분이 됨과 동시에 많은 교훈을 담고 있습니다. 하지만 동화를 자세히 살펴보면 어린 아이들에게는 심의가 불가한 상당히 잔혹한 내용이 많은 것을 알 수 있죠... 2013. 3.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