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감이당382

몸 속 화열(火熱)을 식히는 물의 계곡, 통곡(通谷) 바람 맞은 날, 통곡(通谷)하자! 지금 이 시각, 나는 침을 꽂고 글을 쓴다. 글이 얼마나 써지지 않으면 저렇게 발악을 하는가 싶겠지만 그게 아니다. 이유가 있다. 나는 화요일마다 산에 간다. 그런데 이번 주 화요일, 청명(淸明:하늘이 점차로 맑아진다는 절기. 정말?)으로부터 사흘 뒤인 4월 9일. 이것이 정녕 봄바람인가 되묻고 싶은 바람과 마주했다. 아마도 이날 밖에 나가보신 분들은 기억하시리라. 마치 ‘폭풍(暴風)’을 연상시키듯 천지를 뒤흔드는 바람. 이 바람을 온몸으로 맞으면서 산을 탔다. 산정상은 바람으로 가만히 서 있기조차 힘들었다. 서둘러 산을 내려와 평소처럼 씻고 밥을 먹고 한숨자고 일어나자 머리를 바늘로 쑤시는 것 같은 통증이 찾아왔다. 얼마 지나지 않아 얼굴 쪽으로 열감이 느껴지더니 눈까.. 2013. 4. 11.
봄에 피고지는 부지런한 본초, 진통작용을 하는 현호색 아픔, 현호색과 함께 사라지다 약이 되지 않는 풀은 없다?! 옛날 옛적 깊은 산골에 약초를 공부하는 사람이 있었다. 어느 날 스승이 그에게 “이 산에서 약이 되지 않는 풀을 하나만 구해 오면 하산해도 좋다.”고 하자 그는 매우 쉬운 일이라 생각하고 풀을 구해왔지만 가지고 가는 것마다 퇴짜를 맞으며 십년이 흘렀다. 이제 그의 눈엔 약으로 쓰이지 않는 풀은 하나도 보이지 않았다. 낙담하여 “도저히 그런 풀을 구할 수가 없습니다.”라고 하자 그 말을 들은 스승은 “이제 하산 하여라~” 했다고 한다. 이 이야기에서 하고 싶은 말은 어떤 풀도 그 특성을 잘 알면 약이 될 수 있다는 것이다. 어째서 일까? 약은 모자라는 기운을 돋우거나 넘치는 기운을 덜어내어 몸이 균형을 이룰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몸 밖에서 취하는.. 2013. 4. 11.
무너지는 척추를 잡아주는 버팀목, 목기운을 가진 속골(束骨) 허물어진 중심에게, 속골(束骨)을! 희한한 진단법?! 내가 중학교 때 같은 반이었던 한 친구의 아버지는 한의사셨다. 메기수염을 길게 기르고 늘 한복을 입으셨는데, 가끔 학교에 와서 아이들을 무료로 진찰해주시곤 했다. 몸이 좋지 않아 아저씨한테 가면, 먼저 양 손목을 잡힌다. 손가락을 얹어 지그시 잡으시고는 눈을 감고 천천히 숨을 고르셨다. 침을 놓을 때는 눕힌 상태에서 배를 이리저리 눌러보기도 한다. 그렇다, 이것이 우리에게 익숙한 한의학의 진단법이다. 맥진(脈診)과 복진(腹診). 맥을 짚거나, 배를 눌러보거나, 환자의 안색을 관찰하는 것(망진). 맥과 손끝의 감각으로 균형이 무너진 곳을 찾아내는 아저씨의 기술은 실로 신기했지만, 누구든 하루아침에 그런 능력이 생길 수는 없다. 우선 맥을 짚을 촌, 관,.. 2013. 4. 4.
소변 작다고 무시하면 참변! 몸 속 수분대사를 관장하는 곤륜혈(崑崙血) 내 몸 속 선인(仙人)의 거처, 곤륜(崑崙) 『삼국유사』에 보면 이라는 재미난 설화가 있다. 김유신의 두 누이동생들의 이야기이다. 잠깐 한자락 들어보자. 설화는 언니 보희와 동생 문희 즉, 자매 관계에 있는 이들이 오줌 꿈을 팔고 사는 것으로 시작한다. 보희가 꿈에 서악에 올라가서 오줌을 누었더니 오줌이 서울에 가득 찼다. 이튿날 아침에 보희가 동생 문희에게 꿈 얘기를 하자, 문희가 이 말을 듣고서 비단 치마를 내고 꿈을 사겠다고 하였다. 언니는 동생에게 꿈을 팔았다. 열흘 뒤 유신이 춘추공과 함께 유신의 집 앞에서 공을 차다가, 일부러 춘추의 옷자락을 밟아서 그 옷고름을 찢어 뜨렷다. 보희에게 꿰매 드리라 하니 사양하였다. 문희가 꿰매어주자, 공은 유신의 뜻을 알고 드디어 문희를 사랑하였다. 이 춘추가.. 2013.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