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597 “이래도 나는 사는 게 좋다”고 말하는 사람의 힘 『아파서 살았다』 책 만든 (뒤) 이야기- “이래도 나는 사는 게 좋다”고 말하는 사람의 힘 보통 한 권의 책을 만들 때 편집자는 교정을 세 번 본다. 초교, 재교, OK교(혹은 삼교, 최종교). 그런데 또 보통은 그 전에 원고를 한번 일별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아무리 적게 보아도 한 책을 편집한다고 할 때는 그 원고를 4번은 정독해서 보게 된다. 물론 책에 따라 이것도 차이가 크긴 하지만 말이다. 예전에 내가 편집한 어떤 책은 거의 십교 가까이 보게 되었는데, 그러니까 교정만 10번을 진행했다는 거다. 젊을 때라 그쯤 되니, 몇 페이지에 어떤 내용이 나오는지까지 외워 버렸다(외워짐을 당한 것에 가깝다;;). 아무튼 그냥 독서를 하는 것과는 다르게 초집중 상태로 텍스트를 보아야 하다 보니, OK교에 가서도.. 2018. 2. 9. 『아파서 살았다』 저자 오창희 인터뷰 - 나는 지금의 삶이 즐겁다 『아파서 살았다』 저자 오창희 인터뷰 - 나는 지금의 삶이 즐겁다 1. 이 책 『아파서 살았다』는 오창희 선생님의 글과 삶으로는 처음으로 독자들을 만나는 책입니다. 이 책을 쓰게 되신 계기와 함께 독자들에게 선생님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이 저도 제 삶을 책으로 쓰겠다고 생각한 적은 없습니다. 간혹 일기장을 정리해서 책으로 내 보라고 하는 친구가 있긴 했어요. 그런데 아픈 시절 배설하듯 써 놓은 일기가 사람들 앞에 내 놓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하진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2012년 내 몸에 대해 알아야겠다는 생각으로 감이당에 와서 ‘마음세미나’라는 프로그램에 등록을 하고 그해 봄, 첫 에세이를 발표했습니다. 그때는 생각지도 못한 일이지만, 그게 이 책의 시작이 되었어요... 2018. 2. 8. 특별한 류머티즘 동행기, 『아파서 살았다』 출간 드디어! 『아파서 살았다 : 류머티즘과 함께한 40년의 이야기』가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드디어 나왔습니다! 북드라망 블로그에서는 단 4회 연재가 되었지만, 폭발적인 댓글 수를 기록하며 “더 읽고 싶다” “만나보고 싶다” “위로가 된다”는 평이 끊이지 않았던 바로 그 글, 오창희 선생님의 ‘아파서 살았다’가 드디어 ‘책’이 되어 여러분께 선보입니다! 이 특별한 류머티즘 동행기는 류머티즘을 극복하거나 류머티즘 투병을 낭만적으로 묘사하는 ‘질병극복’ 에세이가 아닙니다. 그보다는 선생님께서 류머티즘과 ‘함께 살아오신’ 이야기입니다. 고치기 어려운 병을 앓는다고 매일이 불행하거나 힘겨운 건 아닙니다. 또 병을 앓지만 긍정적인 성격이라고 매일이 감사와 기쁨으로 채워지는 것도 아니지요. 우리의 삶이 그렇듯, .. 2018. 2. 7. 참을 수 없는 교양의 공허함 참을 수 없는 교양의 공허함 새로운 교양주의의 도래? “얼굴과 사지에 쉰 개나 되는 얼룩을 칠하고 거기 그렇게 앉아 나를 놀라게 했으니, 오늘을 살고 있는 자들이여!/ 너희가 연출한 색채의 놀이에 교태를 부리며 흉내를 내는, 쉰 개나 되는 거울을 주변에 두고 말이다!/ 오늘을 살고 있는 자들이여, 진정, 너희 자신의 얼굴보다 더 그럴싸한 탈을 너희는 쓸 수 없으리라! 그 누가 너희를 알아볼 수 있겠는가?/ 지난날의 기호들로 가득 쓰이고, 그것들을 새로운 기호로 덧칠한 채. 이렇게 너희는 기호를 해독해내는 모든 사람들로부터 너희 자신을 잘도 숨겨왔다!/ (…)/ 너희가 쓰고 있는 베일을 뚫고 온갖 시대와 민족이 다채롭게 내다보고 있구나. 온갖 습속과 신앙이 너희 자태 속에서 다채롭게 지껄여 대고 있는 것이.. 2018. 2. 6. 이전 1 ··· 477 478 479 480 481 482 483 ··· 90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