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528

[헤테로토피아]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거부 “인간이란 무엇인가?”라는 질문의 거부 미셸 푸코, 『칸트의 인간학에 관하여-『실용적 관점에서 본 인간학』 서설』, 김광철 옮김, 2012, 문학과지성사. 푸코는 18세기 말 이전에는 인간이 존재하지 않았다고 말한다. 인간은 지식의 조물주가 고작 200년 전에 만들어 낸 아주 최근의 피조물이라는 것이다. 더군다나 그는 이제 그 인간이 사라지고 있다고 예언하고 있었다. 나는 그가 쓴 『말과 사물』 첫 줄부터 마지막 페이지 마지막 문장까지 하나도 빠짐없이 읽었지만, 푸코의 이 말들을 정확히 이해하지는 못했다. 굉장히 기묘한 일이다. 내게 ‘인간’이란 머리와 팔과 다리, 그리고 몸통으로 움직이는 생물이고, 세상 고민을 다 뒤집어쓰고 우울해하거나 기뻐하는 존재이다. 이런 존재가 18세기 이전에는 없었다고 하고,.. 2022. 1. 21.
인문학 책을 읽고 쓰는 데 관심 있는 분들, 출판과 편집에 대해 관심 있는 분들은 북에디터스쿨로 오셔요~! 인문학 책을 읽고 쓰는 데 관심 있는 분들, 출판과 편집에 대해 관심 있는 분들은 북에디터스쿨로 오셔요~! “그러므로 좋은 독서는 본질적으로 감정적 활동이나 도덕적 활동이나 지적 활동이 아니면서도 세 가지 모두와 공통점이 있습니다. 사랑 안에서 우리는 자신의 자아에서 벗어나 다른 자아 속으로 들어갑니다. 정의롭거나 자비로운 모든 행동은 도덕적 영역에서 우리 자신을 다른 사람의 입장에 놓게 하고 그럼으로써 우리 자신의 경쟁적 특수성을 넘어서게 합니다. 무엇이건 이해하게 될 때, 우리는 보이는 사실을 거부하고 있는 그대로의 사실을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각 사람의 주된 충동은 자신을 보존하고 확대하는 것입니다. 두 번째 충동은 자아에서 빠져나와 그 편협성을 바로잡고 외로움을 치유하고자 하는 마음입니다. 우리는.. 2022. 1. 20.
니체와 만난 북드라망의 책들! 니체와 만난 북드라망의 책들! 니체는 수많은 서양철학자 가운데 가장 유명한 사람입니다. ‘망치를 든 철학자’였기 때문인지, ‘명랑철학’을 했던 때문인지, 단순히 “신은 죽었다”는 그 말 때문인지 알 수 없지만, 그의 유명함은 그의 영향력을 말하고 있다고 해도 지나치지 않다고 저는 생각합니다. 어떤 영향력이냐에 대해서는 여러 이야기들이 있을 수 있겠지만요. 좋은 텍스트란 한 사람이 열 번을 읽어도 열 번을 다르게 만날 수 있고, 열 사람이 같이 읽어도 열 가지의 색깔을 주는 글이라고 생각합니다. 니체는 그런 의미에서 좋은 텍스트이고요, 다행히 북드라망에서도 이 텍스트를 만난 저자 선생님들의 글을 책으로 낼 수 있었습니다. 가장 최근에 나온 『니체 사용설명서』는 ‘재미없는 남자’가 명랑성을 회복하기까지 니체.. 2022. 1. 19.
니체를 통한 명랑성 회복 프로젝트, 『니체 사용설명서』 북트레일러! 니체를 통한 명랑성 회복 프로젝트, 『니체 사용설명서』 북트레일러! 『니체 사용설명서』의 저자 안상헌 선생님은 책표지 앞날개에 실린 저자 소개에서 이렇게 말씀하십니다. “그동안 『나는 왜 이 고전을』(48인 공저), 『내 인생의 주역』(8인 공저)을 함께 썼다. 그리고 오늘 『니체 사용설명서』를 세상에 내놓는다. 이 세 권의 책과 함께 그동안 또 다른 나의 이름이었던 ‘박사’, ‘교수’, ‘입학사정관’이라는 허명과 기쁘게 이별한다―Thank you and good bye!―나는 이제 ‘감이당 연구원’으로 살아간다. 무엇을 하면서? 넓게는 ‘세상의 모든 고전’을, 좁게는 ‘니체’와 ‘주역’을 읽고 쓰는 일을 하면서. 언제까지? 고전을 읽고 쓸 힘이 남아 있을 때까지. 누구랑? 가까이는 남산자락 필동 깨봉빌.. 2022. 1.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