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567

이희경, 『이반 일리치 강의』 - 자기 삶을 스스로 사유하고 창조하라 이희경, 『이반 일리치 강의』 - 자기 삶을 스스로 사유하고 창조하라 지금으로부터 약 10년 전, 인문학 공동체 생활을 처음 시작할 무렵 대학을 졸업하지 않은 친구들을 많이 만났다. 그때 알았다. ‘아 대학을 꼭 안 나와도 되는구나!’ 사실 내가 3,000만 원의 학자금 대출과 맞바꾸며 한 장의 졸업 증명서를 받았을 때는 꽤 허무했다. 대학교에서 배운 게 무엇이었던가? 그만한 가치가 있는 것이었던가? 어떤 삶의 기예나 배움이 아닌, 그저 취업을 위한 과정일 뿐이라는 생각을 떨칠 수가 없었다. 대학을 졸업해야 한다는 “사회적 명령”에 대해 그제야 의문이 들기 시작한 것이다. 사제 출신인 이반 일리치는 1970년대에 의무적으로 실시하는 학교 제도에 대해 질문을 던진다. “사람들을 구조적이고 체계적으로 탈락시.. 2022. 3. 31.
“담장을 마주하고 서 있는” 여러분들을, 『시경』을 읽는 저녁에 초대합니다 “담장을 마주하고 서 있는” 여러분들을, 『시경』을 읽는 저녁에 초대합니다 ― ZOOM으로 열리는 『시경 강의 1: 주남·소남』 저자 특강 날짜 및 시간 2022년 4월 26일 화요일 오후 7시 30분 신청방법 : 블로그(이 게시물)에 비밀 댓글로 신청. 신청 시 줌(ZOOM) 주소를 받으실 이메일이나 전화번호를 꼭 남겨 주세요. * 신청마감 : 4월 25일 오전 12시까지 준비물 [필수] 『시경 강의 1: 주남·소남』(우응순 강의│김영죽 정리, 북튜브, 2022) |악수(Shake Hands) 대신 책을 흔드는 ‘쉑북’(Shake Book) 시간과 인상 깊은 구절을 나누는 시간이 있습니다. 책을 꼭꼭꼭 지참해 주세요! [필수] ZOOM 연결 가능한 스마트기기 또는 컴퓨터 등등 [선택] 얼굴 가리기용 가.. 2022. 3. 30.
아인슈타인의 삶과 우주부터 『춘추좌전』 읽기까지, “어떤 세계에서 어떤 삶을 살고자 하는가”를 묻는 것부터 ‘나이듦과 자기 서사 쓰기’까지 ― 이번 봄, 우리가 꼭 들어야 할 강의들 아인슈타인의 삶과 우주부터 『춘추좌전』 읽기까지, “어떤 세계에서 어떤 삶을 살고자 하는가”를 묻는 것부터 ‘나이듦과 자기 서사 쓰기’까지 ― 이번 봄, 우리가 꼭 들어야 할 강의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독자님들. 지난 주 월요일, 벌써 낮과 밤의 길이가 같아지는 춘분이 지났습니다. 이제 낮이 점차 길어지는 만큼 공부하기(응?) 딱 좋은 때네요.>_< 그래서 오늘 준비했습니다! 과학, 역사, 문학, 철학, 글쓰기까지. 인문학의 전 분야를 망라하는 공동체의 강의들을요! 이 가운데 하나 아니면 둘, 아니 셋이면 더 좋죠.^^ 어느 것을 선택하시든 이득이실 겁니다! 그럼 렛츠고! ① [강의와 토크]『아인슈타인 삶과 우주』 독파(讀破)하기 (감이당+남산강학원) * 일정 : 2022. 4. 10 ~ 2022. 7.. 2022. 3. 29.
[지금동물병원에갑니다] 대칭성 치료학(上) 1편. 무기력한 치료-인간 대칭성 치료학(上) 1편. 무기력한 치료-인간 치료-인간, 치료에 대해 묻다 구글 검색창에 ‘수의사’, ‘직업’을 검색해 보자. 한창 미래 직업을 고민하는 친구들을 위해 수의사란 직업을 소개하는 블로그들이 넘쳐난다. 그들이 바라보는 수의사란 직업은 어떨까? 자격증을 따는 전문성 있는 직업이고, 내부 분야도 다양하고, 점점 커가는 반려동물 시장을 고려해 봤을 때 미래도 보장되어 있다. 고로 별 다섯 개, 땅땅땅. 이것만 들어서는 정말이지 완벽한 직업 같다. 그런 수의사 자격증을 6년 들어 힘들게 땄다고 치자. 대학을 졸업하고 나오면 20대 중후반, 남자의 경우 군대를 다녀오면 거의 30대가 된다. 20대 청춘을 갈아 넣어 얻은 자격증이니 다들 얼마나 열심히 일할까? 그런데 내 주위만 둘러봐도 마냥 그렇지만.. 2022. 3. 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