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506

"부처님은 상황에 따라 한 말씀씩 하셨을 뿐이다" 『낭송 선어록』부처님은 상황에 따라 한 말씀씩 하셨을 뿐이다 한 스님이 운문화상에게 물었다. “부처님이 일생토록 펼친 가르침은 어떤 것입니까?” 운문화상이 말했다. “상황에 따라 한 말씀씩 하셨을 뿐이다.” ― 문성환 풀어 읽음, 『낭송 선어록』, 91쪽 불경뿐 아니라 스승과 제자 사이에 오고간 이야기들을 풀어놓은 동양고전들을 읽어보면 ‘스승님’들이 여기서는 이러셨다가 저기서는 저러셨다가 하는 듯한 느낌을 자주 받습니다.(『논어』에는 아주 콕 집어서 그걸 문제 삼는 제자와 공자님께서 나눈 문답이 있습니다.) 그래서 어쩔 때는 ‘뭐 어쩌라는 거야’하는 불손한 마음이 들기도 하지요. ^^; 그런데 그게 바로 이른바 서양철학과는 다른 동양철학(사상)의 독특한 점입니다. 상황과 조건에 따라 대응하는 유연함이 사.. 2015. 2. 11.
미리보는 '서백호'편 - 생존의 지혜를 익히는 『손자병법』 낭송Q 서백호 『낭송 손자병법/오자병법』 생존의 지혜를 익히자! “군사를 쓸 때의 기본 원칙은 다음과 같다. 아군의 수가 적보다 열 배 많으면 포위하고, 다섯 배가 많으면 공격하고, 두 배가 많으면 분산시킨다. 적과 비슷하면 힘써 싸우되, 적보다 수가 적으면 도망치고 대적할 수 없으면 과감히 퇴각한다. 군사력이 부족한데도 버티고 있어 봤자 강한 적에게 사로잡힐 뿐이다.” ― 손무 지음, 손영달 풀어 읽음, 『낭송 손자병법/오자병법』, 36쪽 낭송Q시리즈의 3차분! 서백호 7권이 드디어 내일 나옵니다. 신간 출간 소식도 알려드릴 겸 해서 씨앗문장을 골라 보았는데요. 저에게는 8090 드라마 『TV 손자병법』으로 더 익숙한 『손자병법』입니다.(『TV 손자병법』을 모르시는 분은 요기로! 요즘으로 치면 『미생』.. 2015. 2. 3.
지금 하는 일에 집중하기, 머물러 行하는 법을 연습하기 더 아는 것이 두렵다 (오래 쉬었네요. 기다리시는 분은 없으시겠지만, 그래도 어쨌든 한 편에 한 문장씩 뽑아서 글을 써가며 『논어』를 다 읽겠다고 마음먹었으니 저는 쓰겠어요. 흑) 작년 연말에 김연수의 『소설가의 일』을 읽었다. 접다 보면 모든 페이지를 다 접어야 할 만큼 좋은 글들로 가득한 책이었다.(저는 인상적인 구절이 있으면 귀퉁이를 접어 두는 버릇이 있어요) 하지만 그 중에서도 가장 인상적이었던 것은 『북회귀선』의 작가 헨리 밀러의 ‘11계명’이었는데, 11계명 중에서도 ‘새 소설을 구상하거나 『검은 봄』(헨리 밀러의 두번째 소설)에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지 마라’라는 두번째 계명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자로의 이야기나 헨리 밀러의 계명이나 가리키는 것은 같다. 지금 하는 것에 집중하라는 것이다. .. 2015. 1. 23.
'완벽'이라는 욕심을 줄이는 삶에 관하여 『낭송 장자』욕심을 줄이는 삶에 관하여 “우리 삶에는 끝이 있지만 지식에는 끝이 없습니다. 끝이 있는 것으로 끝이 없는 것을 좇는 일은 위험합니다. 그러니 지식을 좇는다면 삶이 위태로워질 뿐입니다.”― 『낭송 장자』, 이희경 풀어읽음, 북드라망, 78쪽 죽지 않는 사람은 없죠. 그래서 삶에는 언제나 끝이 있게 마련입니다. 그래서 살 만할 수도 있습니다. 살아 있는 동안 어떤 심한 괴로움을 겪더라도 언젠가는, 어떻게든 ‘끝’이 있으니까요. ‘희망’이라는 감정이 작동할 수 있는 것도 그 때문이 아닐까 생각하곤 합니다. 그런데 그렇게 끝이 있는 생애 내내 공부를 하고, 기술을 습득하고 한다 한들 완벽한 지식을 얻을 수 있겠습니까? 죽음을 피하는 것이 불가능한 것처럼 그 또한 불가능합니다. 어쩌면 완전한 침묵으.. 2015. 1.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