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불교가 좋다86

[정화스님 멘토링] 각자의 삶을 살아가자 각자의 삶을 살아가자 질문 1. 남편과 아이들이 주말이거나 방학이어서 집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면 하루 종일 집안 일로 시간을 보내게 되고 나를 위한 시간, 즉 공부할 시간이 없다보니 가족들과 같이 있는 것이 부담스럽고 싫은 마음이 생깁니다. 그러면서 또 한편으로는 내가 할 도리를 다 하지 않는 것 같아 자책 하는 마음이 반복됩니다. 어떻게 하면 가족들에게도 할 도리를 하고 내 공부를 하는 것과 균형을 잡을 수 있을까요? 스님: 대부분의 어머니나 아내들이 정확히 무엇이 ‘현모양처’인지 모르면서 현모양처로 살아가려고 합니다. 이때의 현모양처라는 것은 답습된 지식입니다. 답습된 지식이 얼마나 엉터리인지를 먼저 알아야 합니다. 원숭이 실험으로 그것의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원숭이 2마리를 우리 안에 가두어 두고.. 2017. 1. 4.
새로운 감각을 여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기 새로운 감각을 여는 것에서부터 시작하기 단풍이 물들기 시작하는 10월. 남산강학원과 감이당에서는 곰댄스 마감 날짜가 코앞으로 다가오면서 여기저기 모임이 만들어지고 본격적인 글쓰기가 시작되었다. 그래서일까? 이번 녹취 중 제일 귀에 솔깃하게 들려오던 이야기들은 글쓰기에 관한 질문들이었다. 질문 1. 글을 쓰려고 문제를 생각하다 보면 굉장히 많은 생각들을 한 것 같은데 그게 뭔지를 잘 모르겠어요. 그러다 보면 나중에는 길이 없는 것 같은 생각에 빠지게 되는데 어떻게 해야 하나요? 스님: 글을 쓴다는 것은 집을 짓는 일과 똑같습니다. 그래서 설계도가 필요하죠. 그냥 ‘내가 이런 생각을 하고 있다’라고 할 때는 그것이 방법처럼 생각 됩니다. 이때 그냥 생각으로만 끝나는 것이 아니라 그 생각에 대한 설계도를 그려.. 2016. 12. 9.
[정화스님 멘토링] 불안, 인류가 선택한 조건 불안, 인류가 선택한 조건 1. 조울증은 생명이 선택한 조건 질문 : 일을 벌이는 데 번다하고, 붕 떠 있는 것 같은 느낌이 듭니다. 그런지 몰라도 불안이 조울증처럼 심하게 찾아오기도 합니다. 스님: 우리 신체는 지금까지 6~10억 년 동안 지구 상에서 동물, 식물, 균류 세 가지로 변화해왔습니다. 그 기간 동안 살아오면서 우리는 상을 받은 것과 벌을 받는 느낌 두 가지를 선택했습니다. 이렇게 하는 것은 자기 생존에 좋은 것을 구분하지 못하면 죽기 때문입니다. 우울한 느낌이 드는 일은 하지 말라는 것이고, 상을 받는 느낌이 드는 일은 추진하도록 하는 것입니다. 생명체들이 적당한 상과 벌을 선택할 때 조증과 울증이 생기게 됩니다. 삶이 좋은 때도 있고 좋지 않은 때도 있는 것은 이상한 게 아니고 자연스러운.. 2016. 11. 11.
[정화스님 멘토링] 저는 거절을 못하는 성격입니다 조건없이 주고 받는 관계는 없습니다 ❙ 거절을 못해요 질문: 결단력이 없어서 꾸준하게 밀고 나가지를 못해요. 그래서 인간관계에서도 거절을 잘 못 하고 끌려가는 경우가 많아요. 어떻게 해야 거절을 잘할 수 있을까요? 스님: 왜 거절을 못 하나요? 질문: 내가 거절을 하면 상대방은 내 의사를 받아들이지 않고 나를 설득하려 들어요. 그리고 내가 거절했을 때 ‘상대방이 기분이 나쁘거나 실망하면 어떡하지?’ 라는 마음이 들어요. 스님: 상대방이 실망하거나 기분 나빠하는 것은 상대방의 문제예요. 그것은 내가 고민할 문제가 아니에요. 상대방의 감정까지 고민하면 내가 힘들어요. 내가 싫으면 그 사건에 대해 분명히 싫다고 이야기하고 그 이유까지 설명해 주면 좋아요. 그 다음 문제는 상대의 문제지 내가 고려할 문제가 아니.. 2016. 10. 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