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가 좋다86 [정화스님 멘토링] 불안은 병이 아니다 불안은 병이 아니다 1. 불안한 마음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질문 : 저는 기억도 잘 못하면서 해야 할 일을 꼼꼼하게 적어놓지도 않아 실수가 많았습니다. 특히 연구실에서는 많은 사람들과 다양한 활동을 하다 보니 그런 것들이 더 잘 보였습니다. 그래서 수첩에 적으면서 확인했습니다. 그런데 한편으로는 계속 불안한 마음이 드는 겁니다. 뭔가를 하고 있으면서도 계속 또 ‘뭔가 놓치고 있는 게 없나’ 이러면서 몸이 경직되고 긴장이 됩니다. 공부를 하기 전보다 훨씬 긴장이 되는 겁니다. 그리고 다른 사람들이 뭐라고 하면 “내가 도대체 왜 이럴까” 자책합니다. 스님 : 불안은 마음의 상태가 아닙니다. 그것은 몸의 부조화 상태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입니다. 하지만 병은 아닙니다. 태어나기를 비위가 약하게 태어난 겁니다. .. 2017. 5. 12. [정화스님 멘토링] 적게먹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적게먹는 방법을 알려드립니다! 1. 소식(小食)하는 방법이 궁금합니다. 질문1. 소식(小食)을 해야 하는데, 소식을 잘 하지 못하고 어느 순간 폭식하게 됩니다. 그래서 폭식을 하다가 다시 절식하는 패턴을 반복하게 됩니다. 꾸준히 소식할 수 있는 방법이 없을까요? 스님 : ‘소식-폭식-절식’하는 패턴이 계속되면 별 효과가 없을 것입니다. 그래서 음식을 맛없게 만들어야 합니다. 맛없게 만든다는 것은 요리를 하지 않는 것입니다. 모든 것을 전부 날 것으로 먹는다는 뜻입니다. 그 중 밥은 예외입니다. 밥은 여러 잡곡을 넣어서 해야 합니다. 그렇게 밥을 해서 김치하나만 놓고 나머지 반찬은 전부 요리하지 않은 것들로 계속 씹어 먹되, 오래 씹는 연습을 해야 합니다.우리가 먹을 때에는 우리의 위장에서 뇌로 신호를 .. 2017. 4. 7. [정화스님 멘토링] 몸과 마음이 바쁜 당신, 제발 쉬어라 몸과 마음이 바쁜 당신, 제발 쉬어라 멍 때리고 쉬는 것도 공부글은 마감이 있으니까 써진다고들 한다. 하지만 반대로 마감에 쫓기게 되어 집중력이 흐트러지기도 한다. 곰 댄스 페스티벌 원고 마감일을 앞두고 있었던 어느 날, 한 학인이 스님께 여쭤봤다. 질문 1. 곰 댄스 원고를 쓰면서, 마음만 분주하고 잘 안 써져요.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어요. 마감일이 다가오니 얼른 써야 하는데, 어떻게 하죠? 스님: 공부를 하다 보면 많은 정보와 지식을 접하게 됩니다. 그것을 자기 나름의 패턴으로 만들지 못하면 머리가 혼란스러워져요. 당연히 집중이 잘 안되겠죠. 그럴 때, 한 두 질문만 가지고 잠자듯 멍하니 있으면, 분별을 하는 뇌가 휴식을 취할 수 있어요. 마음을 쉬라는 말 들어봤죠? 아기들이 잠을 많이 자는 .. 2017. 3. 10. [정화스님 멘토링] 공부도 결국엔 '몸'으로 하는 것! [정화스님 멘토링] 공부도 결국엔 '몸'으로 하는 것! 질문 1. 제가 뭔가를 바꾸고 싶어서 공부를 하러 왔는데요. 힘들어요. 공부하려면 생활패턴도 바꾸고 그래야 하는데 그게 잘 안돼서 속상하고 힘들어요. 그리고 여기서 하는 공부에 제가 못 미치는 것도 같고요. 열심히 살고, 열심히 공부를 하려면 어떤 마음가짐이 필요할까요? 스님: 우선 열심히 하지 마세요. (일동 웃음) 우선 기본적으로 노는 것 비슷하게 해야 합니다. 열심히 하려는 생각으로 몸과 마음에 스트레스를 주어 가면서 하면 뭔가 될 것처럼 보여도, 그것 자체가 신체적으로 별로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칩니다. 공부를 한다는 건 현재 내 몸과 마음이 즐겁고 편하려고 하는 건데 적당한 스트레스를 주어가면서 해야죠. 그런데 스스로가 설정한 목표라든가 주변.. 2017. 2. 17. 이전 1 ··· 13 14 15 16 17 18 19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