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가 좋다86 [불교가좋다] 사유의 통로를 찾아서 사유의 통로를 찾아서 질문자1: 불필요한 욕망인지 필요한 욕망인지를 선별하는 사유의 통로는 어떻게 만들 수 있나요? 요즘 욕망이라는 단어가 자꾸 들려오더라고요. 근데 전 욕망을 원하지 않는 연습을 했거든요. 그게 살기가 편할 것 같아서. 근데 계속 “살아있는 존재는 욕망하는 거고 욕망을 통해서 존재함을 인식한다.” 이런 말이 들리는 거예요. 그래서 오늘 여기를 오게 됐거든요. 불필요한 욕망을 선별하는 게 사유의 통로라고 하셨는데 그러면 그 사유의 통로를 어떻게 만들어야 될지, 그리고 불필요한 욕망인지 필요한 욕망인지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을 알려주세요. 정화스님: 가장 중요한 것은 생물학에 대한 지식을 충분히 습득하는 것이 1번입니다. 생물학. 예를 들면, 여기 흰색이 있잖아요. 그런데 이 흰색을 여기 있.. 2021. 2. 4. [불교가좋다] 감정을 90초 동안 바라보기 감정을 90초 동안 바라보기 질문자: 제 마음에서 일어나는 어머니에 대한 분노를 어떻게 조절할 건가에 대해 여쭤보고 싶습니다. 정화스님: 우선 당신이 바라는 어머니상은 우주에서 존재하지 않아요. 당신이 만나는 어머니는 지금의 어머니인데 우리가 ‘어머니는 이랬으면 좋겠다.’라는 어머니상과 대비돼요. 내가 보는 어머니는 바로 내 앞에 있는 어머니예요. 내가 욕망하는 어머니와 현실에서 만나는 어머니와의 편차가 있는 것이에요. 내 욕망과 어긋나고 거슬리니까 분노가 일어나는 것이에요. 어릴 때는 어떻게 해볼 수 없다가 나이를 먹고 경험이 쌓여 싸울 수 있느니 분노를 표현하는 거예요. 여러분들이 원하는 엄마의 모습은 현실의 엄마가 아니고 이상의 엄마를 그리는 거예요. 우리가 ‘이상(理想)을 추구하는 것’이 불안과 .. 2021. 1. 7. [불교가 좋다] 자존감 있는 삶도 훈련을 해야 합니다 자존감 있는 삶도 훈련을 해야 합니다 질문자1 : 어떻게 하면 안 잃어버릴 수 있을까요? 저는 이번에 겨울에 잠깐 방학 동안에 여행을 다녀왔었는데요. 근데 평소에도 좀 많이 덜렁거리기는 하거든요. 이번 여행에서는 되게 유독 더 덜렁거려서, 되게 하루에 몇 가지씩 계속 잊어버리고, 잃어버리기도 하고 막 그러더라고요. 그래서 ‘어떻게 하면은 안 잃어버릴 수 있을까, 그런 거를 좀 줄일 순 없을까’ 하는 생각이 듭니다. 정화스님 : 우선 덜렁거리는 성격이 좋다 나쁘다라고 자신한테 말하지 않아야 돼요. 성격은 아주 오랜 과정을 거쳐서 형성된 거거든요. 그래서 한 25살 정도 되면 어느 정도 자기가 세상과 만나는 성격이 형성되어지는데. 그 성격을 형성하는 기초들이 전부 다 다 똑같지가 않는 거예요. 그래서.. 2020. 12. 23. [불교가좋다] 매 순간 선택이 곧 나입니다 매 순간 선택이 곧 나입니다 질문자1: 삶의 방향성과 즐거움을 이루려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정화스님: 삶은 이뤄가는 게 아니에요. 삶은 이뤄가는 게 아니고 지금 여기서 사는 것만이 자기 삶이에요. 내가 매 순간 선택을 하는 게 삶인 거예요. 이리 갈까, 저리 갈까 선택할 때 그 고민하는 것이 자기 삶이죠. 그 선택을 자기 삶의 힘으로 여기는 사람은 처음부터 끝까지가 자신의 삶을 살기가 수월해지는 것이죠. 만약 그 선택이 자기 삶의 힘이 되지 않으면 또다시 선택해서 가는 거예요. 다시 선택해서 가는 건 별로 큰 문제는 아니에요. 하지만 선택을 받아들이는 건 큰 문제예요. 어떤 선택을 하든지 간에 ‘선택한 것을 내가 어떻게 볼 것인가’라고 하는 내면의 자기 힘을 기르지 않으면 항상 무엇을 선택해놓고도 선택.. 2020. 12. 10.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