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드라망 이야기 ▽765 『삼국사기』가 보여 주는 통치자의 자격 『삼국사기』가 보여 주는 통치자의 자격― 바보야, 문제는 영토 확장이 아니라니까! 고구려, 하면 가장 먼저 떠오르는 왕은… 대개 광개토대왕일 것입니다. 저 광활한 만주 벌판까지 고구려의 국경을 넓혀 ‘광개토’라는 이름값을 제대로 했던 왕이니만큼 그 활약으로 인한 이야기들이 얼마나 다이내믹할까 싶지만…, “『삼국사기』에 기술된 광개토왕의 사적은 예상 외로 초라하다”(길진숙, 『삼국사기, 역사를 배반하는 역사』, 106쪽)고 합니다. “연나라로부터 요동 일대를 지켜 내고, 백제에 맞서 승리했다는 사실을 뼈대만 간추려 앙상하게 기록”했을 뿐, “정복 전쟁의 기사임에도 위대함이나 훌륭함과 같은 어떤 의미망의 외피도 입지 않은 채 그저 담담하고 단순한 문체로”(106쪽)만 쓰여 있다고 하네요. 김부식의 문체가 원.. 2017. 11. 28. 『삼국사기, 역사를 배반하는 역사』 지은이 길진숙 인터뷰 『삼국사기, 역사를 배반하는 역사』 지은이 길진숙 인터뷰 1. 『삼국사기』는 고구려·백제·신라의 역사를 다룬 ‘역사책’입니다. 문학을 전공하신 선생님께서 ‘역사책’인 『삼국사기』에 관심을 갖고, 읽게 되신 계기가 궁금합니다. 왜, 『삼국사기』였나요? 『삼국사기』를 읽은 계기는 아주 단순합니다. 천지귀신을 움직인 이야기를 기술한 야사(野史) 『삼국유사』를 읽고 난 뒤, 삼국역사 기술의 라이벌인 정사(正史) 『삼국사기』도 봐야 하는 게 아닌가 싶어서 읽었습니다. 『삼국사기』라는 고전의 가치나 사료적 가치에 크게 의미를 두었다기보다는 우리의 가장 오래된 역사책이고, 『삼국유사』만 읽으면 불교의 역사, 신이한 기적의 역사만 알게 되는 것 같아 또 다른 시선의 역사를 알고 싶었습니다. 뭔가를 의도한 것은 아니고 .. 2017. 11. 27. 『삼국사기, 역사를 배반하는 역사』가 출간되었습니다! 『삼국사기, 역사를 배반하는 역사』가 출간되었습니다! 지난 주 목요일의 수능을 앞두고 그런 예상을 했습니다. 2018학년도 수능 한국사 과목에서 반드시 『삼국사기』에 관한 문제가 나올 것이라고요(웬만하면 다들 하시겠지요;;). 그럼, 그 문제를 따다가(?) 『삼국사기, 역사를 배반하는 역사: N개의 키워드로 읽는 역사‘책’』의 출간을 알리는 이 글에 어떻게든 써먹어 보겠다고도 궁리를 하고 있었는데…, 지진으로 인해 수능 시험이 연기되고 말았지요. 다치신 분들도 계시고 불안해하시는 분들 많으신데, 모쪼록 속히 회복하실 수 있기를 바라겠습니다. 수능 시험 문제 얘기도 했지만 중고등학교 시절에 ‘삼국사기-삼국유사’, ‘김부식-일연’의 차이점을 달달달 외우고 시험을 보지 않았었습니까? 그래서 『삼국사기』고 『삼.. 2017. 11. 23. 낭송 조선왕조실록 풀어 읽은이 인터뷰2 - 세종, 성종 실록 낭송 조선왕조실록 풀어 읽은이 인터뷰2『낭송 세종실록』 풀어 읽은이 홍세미 인터뷰 1. 조선왕조실록은 역사적 기록물인데, 낭송으로 읽는다는 것이 무척 새롭게 느껴집니다. 이번 낭송Q시리즈 조선왕조실록편에서 선생님께서는 어떤 인연으로 『세종실록』을 풀어 읽게 되셨는지 궁금합니다. 4년 전, 감이당 홈페이지에서 조선왕조실록 세미나 공지를 보았습니다. ‘항심과 하심을 길러주는 세미나’라는 소개글이 눈길을 끌었습니다. ‘500년의 기록이니 적어도 30년은 걸리는 세미나’라고 했습니다. 공부하면서 늘 뒷심이 부족하다고 느꼈던 터라, 세미나를 신청할 때는 역사에 대한 관심보다 ‘공부하는 끈기를 좀 길러보자’라는 심산이었지요. 솔직히 ‘누가 세미나를 30년이나 해? 길어야 1, 2년 정도겠지’라는 마음이었습니다. 그.. 2017. 10. 30. 이전 1 ··· 103 104 105 106 107 108 109 ··· 19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