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북드라망 이야기 ▽765

『아파서 살았다』 저자 & 지인 동영상 인터뷰 『아파서 살았다』 저자 동영상 & 사상 최초 저자 친구 인터뷰! 안녕하세요! 입춘 추위가 기승을 부리는데, 북드라망 독자님들 모두 감기 조심하시고, 설명절을 위한 몸 만들기(?) 소홀히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아파서 살았다』 출간기념, 아마도 한국 출판계 사상 최초의, 저자의 친구 인터뷰가 진행되었습니다! 물론, 저자 인터뷰도 있고요. 서면 인터뷰와는 내용도 다르고, 느낌도 다릅니다.(다...당연하겠죠? ^^;) 북드라망 블로그 운영자로서 말씀드리자면, 오창희 샘은 그저 뵙는 것만으로도, 뭐랄까요 '기운'이 나는 분이신데요, 실제로 뵙는 것보다는 좀 덜하겠지만, 보시는 여러분들도 어쩐지 힘들 것만 같은 설명절을 앞두고 으쌰~ 기운들 받으시면 좋겠습니다. ㅎㅎㅎ아, 그리고요, 설명절에 『아파서 살았다』와.. 2018. 2. 13.
“이래도 나는 사는 게 좋다”고 말하는 사람의 힘 『아파서 살았다』 책 만든 (뒤) 이야기- “이래도 나는 사는 게 좋다”고 말하는 사람의 힘 보통 한 권의 책을 만들 때 편집자는 교정을 세 번 본다. 초교, 재교, OK교(혹은 삼교, 최종교). 그런데 또 보통은 그 전에 원고를 한번 일별하는 과정을 거치므로 아무리 적게 보아도 한 책을 편집한다고 할 때는 그 원고를 4번은 정독해서 보게 된다. 물론 책에 따라 이것도 차이가 크긴 하지만 말이다. 예전에 내가 편집한 어떤 책은 거의 십교 가까이 보게 되었는데, 그러니까 교정만 10번을 진행했다는 거다. 젊을 때라 그쯤 되니, 몇 페이지에 어떤 내용이 나오는지까지 외워 버렸다(외워짐을 당한 것에 가깝다;;). 아무튼 그냥 독서를 하는 것과는 다르게 초집중 상태로 텍스트를 보아야 하다 보니, OK교에 가서도.. 2018. 2. 9.
『아파서 살았다』 저자 오창희 인터뷰 - 나는 지금의 삶이 즐겁다 『아파서 살았다』 저자 오창희 인터뷰 - 나는 지금의 삶이 즐겁다 1. 이 책 『아파서 살았다』는 오창희 선생님의 글과 삶으로는 처음으로 독자들을 만나는 책입니다. 이 책을 쓰게 되신 계기와 함께 독자들에게 선생님에 대한 소개를 부탁드립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이 저도 제 삶을 책으로 쓰겠다고 생각한 적은 없습니다. 간혹 일기장을 정리해서 책으로 내 보라고 하는 친구가 있긴 했어요. 그런데 아픈 시절 배설하듯 써 놓은 일기가 사람들 앞에 내 놓을 만한 가치가 있다는 생각을 하진 않았습니다. 그러다가 2012년 내 몸에 대해 알아야겠다는 생각으로 감이당에 와서 ‘마음세미나’라는 프로그램에 등록을 하고 그해 봄, 첫 에세이를 발표했습니다. 그때는 생각지도 못한 일이지만, 그게 이 책의 시작이 되었어요... 2018. 2. 8.
특별한 류머티즘 동행기, 『아파서 살았다』 출간 드디어! 『아파서 살았다 : 류머티즘과 함께한 40년의 이야기』가 출간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드디어 나왔습니다! 북드라망 블로그에서는 단 4회 연재가 되었지만, 폭발적인 댓글 수를 기록하며 “더 읽고 싶다” “만나보고 싶다” “위로가 된다”는 평이 끊이지 않았던 바로 그 글, 오창희 선생님의 ‘아파서 살았다’가 드디어 ‘책’이 되어 여러분께 선보입니다! 이 특별한 류머티즘 동행기는 류머티즘을 극복하거나 류머티즘 투병을 낭만적으로 묘사하는 ‘질병극복’ 에세이가 아닙니다. 그보다는 선생님께서 류머티즘과 ‘함께 살아오신’ 이야기입니다. 고치기 어려운 병을 앓는다고 매일이 불행하거나 힘겨운 건 아닙니다. 또 병을 앓지만 긍정적인 성격이라고 매일이 감사와 기쁨으로 채워지는 것도 아니지요. 우리의 삶이 그렇듯, .. 2018. 2.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