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공부214

『낭송 아함경』'씅'에 안차요? 집착을 버려요! 집착을 버리자고요 - 『낭송 아함경』 “눈은 언제나 사랑할 만한 빛깔을 구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빛깔은 싫어한다. 귀는 언제나 사랑할 만한 소리를 구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소리는 싫어한다. 코는 언제나 마음에 드는 냄새를 구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냄새는 싫어한다. 혀는 언제나 마음에 드는 맛을 구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맛은 싫어한다. 몸은 언제나 마음에 드는 감촉만을 구하고, 마음에 들지 않는 감촉은 싫어한다.” ― 최태람 풀어읽음, 『낭송 아함경』, 148쪽 참말이지 이 여섯 가지 감각이 주는 쾌락 덕분에 우리 몸은 바람 잘 날이 없습니다. 일례로 눈에 ‘좋은’ 것을 좇느라 여러 가지들을 놓치지 않습니까? 야구 동영상과 비슷하다는 뭐 그런 동영상을 보느라 정작 자기 마누라는 소 닭 보듯 한다든가.. 2014. 12. 1.
『낭송 열자』 씨앗문장 : "사해 밖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떠나기는 어딜 떠나? - 『낭송 열자』에서 읽는 지혜 “사해 밖에는 무엇이 있습니까?” “우리가 살고 있는 이곳과 같겠지요.” “그대는 어떻게 그것을 압니까?” “저는 동쪽으로 영주까지 가 보았는데 그곳 사람들은 여기와 같았습니다. 영주의 동쪽을 물었더니 다시 또 영주와 같다는 겁니다. 빈 땅의 서쪽을 물었더니 역시 빈 땅과 같다는 것입니다. 저는 이것으로써 사해와 그 바깥의 사황 또 그 바깥의 사극이 여기와 다르지 않음을 압니다. 큰 것과 작은 것은 서로를 품고 있으므로 끝이 없는 것입니다.” ― 열자 지음, 홍숙연 풀어읽음, 『낭송 열자』, 23쪽 잘 풀리지 않는 인생의 문제를 만나면 어디론가 훌쩍 떠나버리고 싶다. 실제로 떠나 보기도 했지만, 돌아와 다시 보면 그 문제는 한 발자국도 움직이지 않고 .. 2014. 11. 24.
공부의 목적을 찾다, 호모 쿵푸스의 '실전지침서' 모든 고전은 낭송을 염원한다 책을 그저 내용과 의미로 간주하는 것처럼 어리석은 일도 없다. 책에는 말들이 흘러가고 흘러오면서 만들어진 수많은 소리와 파동의 결들이 있다. 그것은 때에 따라, 또 주체의 신체적 상태에 따라 끊임없이 변이한다. 그 속에서 전혀 예기치 못한 의미의 생성이 일어난다. 그것이 곧 삶의 창조다! 하여, 책은 소리내어 읽어야 한다. 그러므로 ‘북book-소리’는 원초적으로 찰떡궁합이다.- 고미숙, 『낭송의 달인, 호모 큐라스』, 90쪽 ‘모든 고전은 낭송을 염원한다’, ‘고전에는 소리가 내장되어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고미숙 선생님이 인터뷰에서 하신 말씀입니다. ^^) 출판사에 다니다보니 저도 책 좀 읽는 그런 사람이었습니다. 그런데, ‘낭송’을 한 적은 거의, 아니 한 번도 없습니.. 2014. 11. 19.
낭송, 호흡을 가라앉히는 새로운 휴식법! 낭송, 호흡을 가라앉히고 쉽시다 에이 뭘 그렇게 복잡하게 생각해? 그리고 그게 무슨 휴식이야? 일단 스트레스가 확 풀려야지. 보통은 이렇게 생각할 것이다. 그러니까 현대인들에게 휴식은 노동할 때 보다 더 에너제틱한 행동을 의미한다. 고래고래 질러 대는 노래나 격렬한 댄스 아니면 폭탄주, 혹은 화려한 해외 유람 아니면 럭셔리한 쇼핑 등등. 하지만 그건 결단코 휴식이 아니다. 도덕적 차원이 아니라 양생적 차원에서 하는 소리다. 노동할 때 보다 더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는데 어떻게 휴식일 수 있는가. 거듭 말하지만, 휴식은 무엇보다 호흡이 평온해져야 한다.- 고미숙, 『낭송의 달인, 호모 큐라스』, 135쪽 하늘과 바람과 땅은 제 자신의 리듬에 맞춰 곡식과 열매를 내고, 사람은 그 옆에 달라붙어 더 내놓으라고 .. 2014. 11.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