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114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미니강의 : 허클베리 핀의 모험 - "그래, 지옥에 가자"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미니강의 : 허클베리 핀의 모험 탈주는 계속된다! 안녕하세요,『고미숙의 로드클래식』 미니강의. 두번째 ‘로드클래식’은 바로바로! 『허클베리 핀의 모험』입니다. (‘허클베리’를 줄여서 ‘허크’ 혹은 ‘헉’이라고 부릅니다) 읽어보신 독자님들은 아시겠지만, 헉은 ‘학교도 교회도 갈 필요가 없고 낚시질이든 수영이든 맘대로 할 수 있’으며, ‘목욕을 할 필요도 없고 욕지거리를 해도 말리는 이가 없’는 소년입니다. 세인트피터스에 사는, 엄마 아빠의 말을 잘 듣는 얌전한 어린이들의 부러움을 사는 자유로운 아이였지요. 그런 헉임에도 한 가지 사로잡혀 있는 규율이 있었으니, 바로 “노예”에 관한 것이었습니다. 함께 여행은 하고 있지만 짐은 ‘깜둥이’고 ‘노예’입니다. 자기가 짐을 ‘자유롭게 해주는.. 2015. 6. 23. 평범한 일반인이 아닌, '비범하고 특별한' 사람이 되는 방법! 세상에서 가장 '특별'해지는 법 손오공은 어째서 석가여래의 손바닥을 벗어나지 못했을까? 간단히 말하면, 이 대결은 유위법과 무위법의 대결이라 할 수 있다. 손오공은 철저히 물질과 문명, 곧 유위법의 화신이다. 변신을 하고 불멸을 쟁취하고 하늘을 지배하고…, 이것은 자아의 무한증식을 의미한다. 이 유위의 회로를 밟는 순간 누구도 멈추지 못한다. 인류 역사가 그 산 증거다. 진시황을 비롯하여 모든 제왕들은 제국을 정복, 통일한 이후 불로장생을 갈망했다. 모두가 실패했지만 이 욕망은 결코 사그라지지 않았다. 그래서 자연을 탐구하고 과학을 발전시켜 온 것이다. 그걸 활용해서 무기를 만들고 다시 세계를 정복하고, 그 다음엔 또 불멸을 시도하고. 할리우드 영화가 주구장창 반복하는 패턴이 이것 아닌가. 세상을 내 손.. 2015. 6. 16. 고미숙샘 '로드클래식' 인터뷰 : 길 위에서 결국 우리는 사람을 만나게 될 것이다 일부러 맞춘 것은 아닌데 『고미숙의 로드클래식, 길 위에서 길 찾기』가 나온 날, 경기도 수지 '문탁네트워크'에서 고미숙 선생님의 강의가 시작되었습니다(해서 뜻 깊게도 ‘로드클래식’을 수강하러 오신 분들이 가장 먼저 『고미숙의 로드클래식』을 만나 보실 수 있었지요.^^). 문탁의 강좌반장 지원과 고은, 웹진팀의 봄날 기자님은 너무나 훌륭하게도 수강생들의 예습을 위해(서라고 저는 생각합니다^^;;) 곰샘과 인터뷰를 했다고 합니다(문탁네트워크 홈페이지에 실려 있구요, 꼭 문탁에서 보시고 싶으신 분들은 요기를 눌러주셔요). 예습은 『고미숙의 로드클래식』을 읽으실 저희 북드라망 독자님들도 하시면 좋겠지요? 그래서 같이 보시자고 얻어 왔습니다.^^(예습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건 수업 시간에 충실한 것이겠지요?.. 2015. 6. 15. 〈고전 낭송Q 페스티벌〉 마지막 영상 大방출!! 제 1회 고전 낭송Q 페스티벌 본선 진출작 영상 낭송, 더할 나위 없었다! 이번이 제1회 고전낭송Q 페스티벌(이후 낭댄스) 본선 진출작을 소개해드리는 마지막 포스팅입니다. 특별히 마지막 포스팅이 아쉽지 않도록 엄선(^^)한 분들이니 즐겁게 보실 수 있었으면 좋겠네요. 오늘 소개시켜 드릴 분들은 제1회 낭댄스에서 1등상을 수상한 와 2등을 수상한 , 그리고 특별공연 중 님과 입니다. 그럼 자세한 이야기는 영상과 함께! ① 〈리틀 해인네〉& 〈길 위의 친구들〉 『낭송 서유기』 첫번째로 보여드릴 분들은 청주에서 함께 공부하고 있는 해인네에서 출전한 와 문탁, 남산강학원, 인문서당 강원의 청년들이 모인 걸벗 프로젝트의 입니다. 이 두 팀은 모두『낭송 서유기』를 낭송했습니다. 낭송한 구절도 살짝 겹치는 부분이 있.. 2015. 6. 12. 이전 1 ··· 8 9 10 11 12 13 14 ··· 2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