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78 [북-포토로그] 귀인을 찾습니다! 귀인을 찾습니다! TV를 보다가 책장을 배경으로 하는 인터뷰 장면이 나오면 마음이 바빠집니다. 길어 봐야 2분도 안 될 시간에 인터뷰이 뒤 책장을 빠르게 스캔해야 하거든요. 이때 복병은 생각보다 훨씬 짧은 인터뷰 시간이 아닙니다. 예를 들면 에 자주 나오시는 박지선 교수님의 책장. 무슨 책이 꽂혀 있나 빨리 보고 싶은데 (심지어 이라면 인터뷰 시간도 뉴스에 비하면 꽤 긴데 말입니다) 한 번도 제대로 볼 수가 없었죠. 왜냐하면 박지선 교수님 책장에는 책장에는 책보다 먼저 눈이 가는 것들이 너무 많거든요. 어느 날 새롭게 나타나는 카카오 굿즈를 캐치하려면 책장의 책을 볼 시간이 없지요(흠흠). 아무튼 박지선 교수님 같은 책장은 정말 드물기 때문에 저는 어느 책장 인터뷰(?) 장면에서든 우선 우리 (출판사에서.. 2024. 2. 27. [호모쿵푸스, 만나러 갑니다] 토마스 머튼을 만나다 : 믿지 말고 공부할 것 토마스 머튼을 만나다 : 믿지 말고 공부할 것 경아 쌤을 처음 만난 건 감이당의 살림 멤버들을 인터뷰하면서였다. 토마스 머튼(Thomas Merton, 1915~1968)이라는 가톨릭교의 수도사를 공부하고 계신다고 했다. 시간상 그에 대한 이야기를 조금 듣다가 끊었더니 갈증이 났다. 분명 저기에 커다랗고 아름다운 호수가 있다는 게 느껴지는데, 물장구를 쳐보기는 커녕 발가락만 담근 기분이었다. 나는 토마스 머튼이 쓴 베스트셀러 『칠층산』이나 '20세기 가톨릭의 영적 스승'이라고 불린다는 것을 몰랐다. 그럼에도 묘하게 끌렸던 건 토마스 머튼이 생전에 방대한 양의 책을 집필했다는 말을 들었기 때문이었을까? 평생 신앙을 가지고 살았던 경아 쌤에게 들을 이야기가 많을 것 같다는 느낌 때문이었을까? 아마 둘 다일 .. 2024. 2. 26. [한문이예술] 한자의 바다에서 작고小 약한 것弱을 길어올리기 한자의 바다에서 작고小 약한 것弱을 길어올리기 수많은 한자들 중에서 오늘날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는 2천자에서 5천자 정도 된다. 3천자 정도의 간극이 있긴 하지만 이미 30개 남짓 되는 한글이나 알파벳에 비하면 과하게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자가 사용된 6000년이 넘는 시간동안 만들어졌다가 사라진 문자만 해도 5만자(!)가 넘고, 같은 뜻을 가졌지만 형태가 다른 한자들까지 더하면 8만자(!!)가 넘는다고 한다. 이쯤되면 한자를 만든 사람도 무슨 한자가 있는지 절대 모를 수준이다. 게다가 새로운 형태의 갑골문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고 하니 한자의 갯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정말이지 한자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어떻게 지금까지 계속 사용되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그런데 .. 2024. 2. 23. <미야자키 하야오-일상의 애니미즘>치히로 – 이름이 많은 모험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③ 캐릭터 치히로 – 이름이 많은 모험가 표정이 멋진 아이 미야자키 하야오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가장 공들인 것은 아마 치히로 표정의 변화일 것이다. 우리는 《붉은 돼지》의 썬글라스에서 시작해 《모노노케 히메》에 나오는 애매한 얼굴들까지, 미야자키가 캐릭터의 얼굴 변화에 대단히 신경을 쓴다는 것을 보았다. 치히로 얼굴이 당당하고 침착하게 바뀌는 과정을 보고 있으면 표정이 풍부한 인간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일인지를 어렴풋이 알게 된다. 크고 반짝이는 예쁜 눈이라든가 오똑한 코나 갸름한 볼살 같은 것, 그가 입고 두른 값나가는 것, 이보다 만들기 어려운 것이 바로 매력적인 표정이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낯선 세계에 떨어져, 전에 없던 문제에 부딪혀 분투하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 2024. 2. 22. 이전 1 ··· 68 69 70 71 72 73 74 ··· 87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