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99 『마션』 - 살아 돌아와줘서 고마워 / or 사람의 소용 『마션』 - 살아 돌아와줘서 고마워 / or 사람의 소용 마크 와트니, 엄격히 선발되어 치열하게 훈련받은 우주비행사. 식물학 및 기계공학의 학위가 있으며, 시카고 어딘가 있을 미국식 유머 학원 졸업생 명부에도 틀림없이 이름이 올라가 있을 것 같은 사람. 낙천주의자. 디스코혐오자. 70년대 TV드라마 강제시청자. 화성탐사 도중 모래폭풍에 날려 복부에 막대형 안테나가 꽂힌 채 홀로 남겨져버린, 아마도 태양계 생성 이래 유래가 없을 역대급 불운아. 이것은 아마도 본 중 가장 극단적인 재난 스토리일 것이다. 로빈슨 크루소는 최소한 멀쩡히 두 발로 선 채 호흡곤란으로 죽을 걸 걱정하지는 않았다. 와트니는, 마실 물은커녕 공기마저도 호락호락 얻기 힘든 곳, 반경 5,460만 km 이내에 다른 생명체라고는 없는 곳에.. 2017. 7. 26. 왕양명의 『전습록』 - 양지, 내 마음의 온당쾌락처 왕양명의 『전습록』 - 양지, 내 마음의 온당쾌락처 중국 명나라 왕가에는 환관이 끊이지 않았다. 왕양명(王陽明)이 삼수 끝에 들어간 조정에도 곧 어린 황제가 들어서고, 환관들이 그 틈을 타 어김없이 날뛰었다. 그 중 가장 대표적인 인물은 유근(劉瑾). 그는 뇌물의 액수에 따라 마음대로 인사를 결정했다. 당연히 간관(諫官, 군주의 과실을 직언하여 바로잡는 관리)들이 상소문을 들고 나섰다. 그러나 상소가 받아들여지기는커녕 바로 투옥되고 만다. 이런 상황을 두고 볼 수 없었던 열혈강호 양명, 가만있을 리 없다. 간언이 직무인 간관들을 투옥한 것은 지나친 일이며, 인심(人心)에도 나쁜 영향을 끼친다고 상소를 했다. 그러나 통할 리 없었다. 오히려 유근에게 미움을 받고 양명도 곧 투옥되고 만다. 더군다나 ‘정장(.. 2017. 7. 25. 7월에 눈에 띈 책들 7월에 눈에 띈 책들* 표지 이미지를 클릭하면 책 소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나의 1960년대』, 야마모토 요시타카 지음, 임경화 옮김, 돌베개 책소개전공투라 하면, 한국에서는 전공투는 이후 ‘적군파’로 이어지는 과격한 극좌 학생운동의 대명사로, 또 무라카미 하루키 등의 작품들에서 묘사되는 특정 시대의 사회문화적 상징 같은 것으로 연상되곤 한다. 60년대의 일본 대학생들이 학원 민주화를 요구하며 격렬한 시위를 벌이는 과정에서 도쿄대에서는 학생들이 야스다강당 건물을 점거하고 약 7개월에 걸쳐 학교와 대치하며 농성을 벌인 일이 특히 유명하다. 이에 대해 일본 내의 각종 매체는 진압과정 중계나 후대 세력의 폭력성에 초점을 맞춘 선정적인 보도로 일관해 왔고, 당사자들은 지난 세월 극히 말을 아껴 왔다. 그 자극.. 2017. 7. 24. 제임스 설터, 『어젯밤』- 어제, 밤 우리에게도 일어난 일들 제임스 설터, 『어젯밤』- 어제, 밤 우리에게도 일어난 일들 제임스 설터의 소설집 『어젯밤』을 읽었다. 이 이름이 낯선 이들이 많겠지만 설터는 이미 해외에서는 최고의 문장을 쓰는 작가로 인정받는 80대의 노작가다. 국내에 소개된 건 『어젯밤』과 『가벼운 나날』 단 두 권뿐인데 듣기로는 그의 다른 작품도 현재 번역 중이라고 한다. 미국의 단편 소설가. 이 말만으로 떠오르는 몇몇 이름들이 있을 것이다. 헤밍웨이, 카버, 존 치버와 같은 설터라는 이름을 그 계보 끝에 달아두는 게 그리 어색한 일은 아니다. 『어젯밤』에 실린 열 편의 단편을 보건대 그는 군더더기가 될 만한 것들을 다 거둬내고 오직 핵심만을 보여주는 데 있어 발군의 실력을 지녔다. 이는 하드보일드의 대가로 이름을 떨친 헤밍웨이나 미니멀리스트로 손.. 2017. 7. 21. 이전 1 ··· 486 487 488 489 490 491 492 ··· 87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