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548

『운명의 해석, 사주명리』의 저자 안도균 인터뷰 『운명의 해석, 사주명리』의 저자 안도균 인터뷰 1. 최근 사주명리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사주명리에 관한 책들이 많이 출간되었는데요. 이 책 『운명의 해석, 사주명리』가 여타의 명리학 책들과 다른 점은 무엇일까요? 사주명리를 운명에 개입하는 도구로 쓴다는 점입니다. 대개는 운명을 맞히기 위해서 사주를 봅니다. 그러나 사주명리는 운명을 정확하게 예측할 수 없습니다. 그 사람의 어떤 아우라 혹은 어렴풋한 성향을 짐작할 뿐이죠. 그건 운명이 결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오늘날의 사주명리학계에서도 대체로 결정된 운명은 없다는 쪽에 동조하긴 합니다. 그렇다면 운명을 정확하게 맞힐 수도 없지요. 운명이 결정되어 있지 않은데 어떻게 운명의 결과를 맞출 수 있습니까? 하지만 사주명리에 대한 사람들의 욕망은 여전.. 2017. 9. 18.
서른 일곱, 아빠가 되고 보니... 서른 일곱, 아빠가 되고 보니... 아, 오늘은 횡재한 날이었다. 마지막 수유를 마친 우리 딸이 평소와 다르게 ‘잠들기 과정’을 거치지 않고 트림 한번 ‘거억’한 후에 바로 잠이 들었기 때문이다. 평소라면 짧게는 20분, 길게는 1시간, 더 길게는 2시간 동안 엄마가 안고서 재워야 한다. 태어나서 오늘까지 대략 두어번 정도 이런 날이 있었는데, 엄마와 아빠는 어쩌다가 찾아온 이 횡재에 평일 TV시청을 하였다. 물론 글을 쓰고 있는 아빠는 지금 후회 중이다. 그대로 원고나 쓸걸. 당장 내일 낮에 딸과 함께 보낼 시간이 걱정이다. 요즘 우리 딸은 아빠와 눈이 마주치면 활짝, 아주 화알짝 웃곤 한다. 심지어 꺄르륵 소리를 내면서 웃기도 한다. 어찌나 예쁜지 아빠는 그냥 바보가 되고 마는데……. 아기의 발달 사.. 2017. 9. 15.
『운명의 해석, 사주명리』가 출간되었습니다. 『운명의 해석, 사주명리』가 출간되었습니다. 그러니까, 그게 언제였더라. 그것이 제가 감이당에서 를 하고 있었을 때였는지, 우응순 선생님의 를 듣고 있었을 때였는지 이제는 기억도 잘 나지 않는, 약간 까마득한 언젠가의 여름이었을 겁니다. 어쩌다 보니 그때 저는 강민혁 선생님(『자기배려의 인문학』의 저자이시자 북드라망 블로그의 철학관/도서관의 주인장이신 약선생님!)과 안도균 선생님과 함께 있었습니다. 아실랑가 모르겠지만 안도균 선생님으로 말씀드리자면 남산의 연구실에 명리학의 씨앗을 뿌리시고, 그때쯤에도 벌써 그 씨앗의 자손을 한 3대도 넘게 보신 그런 분이었습니다. 요컨대, 북드라망이 노리고(?) 있던 필자였다고나 할까요? 단연 그날의 대화의 주제는 ‘안도균 선생님은 (빨리) 책을 쓰셔야 한다’였고 아마도.. 2017. 9. 14.
카프카의 창, 카프카의 사랑 카프카의 창, 카프카의 사랑 1. 연애는 그의 힘 카프카는 1912년 9월부터 1912년 12월 사이에 중편 세 작품 「선고」(1912.9.22.~23.),「화부」(1912.9.25.), 「변신」(1912.11.18.~11.19, 1912.12.6. 탈고)을 완성했습니다. 카프카는 이 시기에 고쳐쓰고 있던 많은 단편들을 완성했으며, 새로운 형태로 단편집을 구상해보기도 했지요. 분량으로 보면 그가 생전에 ‘발표’했던 작품 중 반 정도가 이 시기에 쓰여졌다고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선고」는 카프카가 스스로 만족했던 몇 안되는 작품 중 하나였는데요, 그 탄생과정이 대단히 신비로웠습니다. ‘오늘도 못 썼다’, ‘써야만 한다’라는 카프카식 반성과 다짐 없이 단숨에 완성되었던 것이죠. 그의 특기인 문단, 문장, .. 2017.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