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495

월간 '덮은 책도 다시보자' 9월!!『18세기 조선의 백수 지성 탐사』 월간 '덮은 책도 다시보자' 9월!!『18세기 조선의 백수 지성 탐사』 빈칸 채우기!! 8월 정답과 담첨자입니다! 1. 이광수2. 연암 박지원3. 우두법4. 신형장부도5. 푸코 없습니다. (무심이2님 안타깝게도 1번 정답이 '이광수'였습니다. ㅠㅠ) 이번달 문제입니다! 『18세기 조선 백수 지성 탐사』각 장에서 뽑았습니다. 아래 빈칸에 들어갈 말을 비밀 댓글로 달아주세요!! 1 2 3 4 5 2018. 9. 3.
리 호이나키, 『아미쿠스 모르티스』 - 최신식은 가장 좋은 것? 리 호이나키, 『아미쿠스 모르티스』 - 최신식은 가장 좋은 것? 바로 이어지는 문장이 기가 막힌다. "하지만 나는 무엇인가 끔찍하게 잘못되고 있다는 기분이 든다." 그렇다. 우리는 대체로 '점점 나아질 것'이라고 생각할 뿐만 아니라, '가장 최신의 것이 가장 좋은 것'이라는 관념도 함께 가지고 있다. 따라서 역사적인 관점에서 보자면, 현대 인류는 가장 행복한 인류임에 틀림없다고 '알게 모르게' 생각한다. 다행스럽게도, 우리 대통령께서 '역사'를 바라보는 많은 사람들의 관점을 바꿔주신 덕분에 요즘은 조금 덜하기는 하다.^^ 그런데 정말, 조금만 생각해보면 '그럴리가 없다'. 역사는 더 나은 방향으로 전진하지도 않고, 더 나쁜 쪽으로 후진하지도 않는다. 오히려 역사는 인간의 의지 따위와는 무관하게 제 갈길을.. 2018. 8. 31.
8월에 눈에 띈 책들 8월에 눈에 띈 책들* 표지 이미지를 클릭하면 책 소개 페이지로 이동합니다 『로봇도 사랑을 할까』, 로랑 알렉상드르, 장 미셸 베스니에, 양영란 옮김, 갈라파고스 과학과 기술을 이용하여 사람의 능력을 향상시키고 인류를 개선하자고 주장하는 트랜스휴머니즘은 4차 산업혁명 덕에 가까운 미래로 다가왔다. 기술을 이용해 신체적?지적 역량이 향상된 증강 인류가 꼭 탄생해야 할 이유가 있을까? 유전자 조작을 통해 우수하고 똑똑한 아이들이 만들어지게 된다면 우생학의 유령이 다시 나타나지 않을까? 인간이 천 살까지 살 수 있게 된다면 과연 행복하기만 할까? 로봇이 인간처럼 행동하게 된다면 우리는 로봇과도 사랑에 빠질까? 트랜스휴머니스트인 로랑 알렉상드르와 철학자 장 미셸 베스니에는 12가지의 흥미로운 주제를 통해 트랜스.. 2018. 8. 30.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옳다』 지은이 인터뷰 『존재하는 것은 무엇이든 옳다』 지은이 정철현 인터뷰 1. 선생님께서는 왜 수많은 생물학자들 중 ‘스티븐 제이 굴드’의 생명론을 소개하고 싶으셨던 건가요? 스티븐 제이 굴드는 개인적으로 제가 가장 좋아하고 존경하는 과학자이자 작가입니다. 그의 생명론을 소개하고 싶었던 첫 번째 이유는 아마 이 때문일 겁니다. 어떤 사람을 좋아하면 그의 사소한 모든 것을 좋아하게 되는데요. 무언가를 열렬히 좋아하는 그의 열정, 재치있는 유머와 위트, 그의 진정성과 진솔함, 본질을 파고드는 날카롭게 파고드는 급진성, 학문적 깊이에서 나오는 간결함과 명확성, 엄청난 글쟁이, 뉴욕 양키스의 열렬한 팬인 야구 마니아, 아마추어 합창단원, 왠지 모를 수다스러움, 27년 동안 에세이를 연재한 끈기 있는 에세이스트, 달팽이 연구자 등등.. 2018. 8. 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