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93 [슬기로운 복학생활] 중간고사 견문록 중간고사 견문록 반(半)세속인의 시험 맞이 시험기간이 찾아왔고 나는 한숨이 푹푹 나온다. 규문에서의 공부만 해도 벅찬데 시험공부까지 해야 한다니. 시험 전날 벼락치기를 하면서 ‘이런 걸 배워서 뭐하나’ 하는 생각을 한다. 이 공식을 알아서 어디에 쓸까? 결국 시험 잘 봐 학점 따려고 하는 거 아닌가. 따지고 보면 대학공부라는 게 어차피 스펙과 취업 그 이상이 아니다. 그걸 다 알면서도 나는 왜 늦은 시간까지 도서관에 앉아있는 걸까. 언제부턴가 나는 세속(世俗)과 탈속(脫俗)이라는 영역을 나누기 시작했다. 규문에서 듣고 배우는 것들은 돈이나 스펙과는 무관한 탈속의 공부이고, 내가 대학에서 배우는 것들은 세속적인 것이라고. 그리고 세속적인 것만 따라가지 않고 ‘인문학적 소양’까지 기르고 있는 범상치 않은 놈.. 2019. 1. 16. 니체의 ‘아니오’ (4) 니체의 ‘아니오’ (4) 자유를 원하지 않는 사람이 있을까? 바보 같은 질문이다. 설령 예속을 원하는 사람이 있다고 해도, 그것은 예속이 그에게 자유의 감정을 느끼게 하기 때문이다. 혹은 예속된 상태인지도 모르고 살아가는 노예가 있을 수도 있겠다. 하지만 이 경우에도 노예는 예속되어 있다는 것을 모르기에 자신이 속박되어 있다고, 즉 자유롭지 않다고 느끼지 못한다. 자유는 인간으로 존재하는 한 가질 수밖에 없는 원초적 욕망이다.그렇다면 대체 이 자유의 정체는 뭘까? 어려운 질문이다. 우선 ‘자유’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부터 시작해보자. 자유라고 하면 어떤 상태가, 편안한 어떤 상태가 떠오른다. 이 편안한 상태는 내가 내 마음대로 행위 하는 데 있어 어떤 걸림돌이 없기 때문에 생기는 편안함이다. 아무런 제.. 2019. 1. 15. 관대함과 창조성의 별자리, 사자자리 관대함과 창조성의 별자리, 사자자리 화려한 조명의 무대, 수만 명의 관객들, 그 뜨거운 열기 속에서 땀을 뻘뻘 흘리며 춤추고 노래하는 스타들은 잠깐 쉬는 시간에 무대 뒤에서 죽을 듯이 숨을 몰아쉬거나 침을 맞으며 몸을 추스르고 다시 무대로 돌아와 공연을 합니다. 이들은 무대 위에서 자신을 온전히 믿고, 존재감을 과감하게 펼칩니다. 위풍당당한 백수의 왕 사자처럼 무리를 이끄는 리더십과 스타성을 가지고 태어난 사람들, 이들이 바로 사자자리입니다. 사자자리는 ‘대서’(양력 7월 23일 무렵)부터 ‘입추’를 지나 ‘처서’(양력 8월 23일 무렵) 전날 까지 태어난 사람들입니다. 이때는 찜통 같은 무더위(물더위)가 계속되고, 하늘엔 가을 기운이 왔지만 땅은 여전히 뜨거운 시기입니다. 습기는 몸에 달라붙어 찐득거리.. 2019. 1. 14. 바나나를 좋아합니다 바나나를 좋아합니다 우리 딸은 과일을 참 많이 먹는다. 매 끼니 때마다 밥을 다 먹고 나면 딸기도 먹고, 사과도 먹고, 배도 먹는다. 끼니와 끼니 사이 중간엔 간식으로 바나나를 자주 먹는데, 바나나는 아빠가 보기에 우리 딸이 가장 좋아하는 과일 top3에 들어가고도 남는다. (부동의 1위는 귤인데, 손발이 하도 노래져서 귤은 요즘 못 먹고 있다.) 가령 요즘 부쩍 자주 먹는 딸기의 경우 "딸기 먹을래?" 물어보면 간혹 고개를 도리도리 흔든다.(그래도 주면 먹기는 한다) 그러나 바나나와 귤의 경우엔 단 한 번도, 배가 아무리 빵빵해도 절대 고개를 흔드는 법이 없다. 언제나 긍정이다. 이것도 닮는 건가 싶기는 하다. 무슨 말인가 하니, 아빠도 바나나를 꽤나 즐겨먹는다는 이야기다. 사진은 수요일 아침에 찍힌 .. 2019. 1. 11. 이전 1 ··· 394 395 396 397 398 399 400 ··· 8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