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인생의주역2] 덜어냄의 도리에서 본 ‘착함’과 ‘자비심’
덜어냄의 도리에서 본 ‘착함’과 ‘자비심’ 山澤 損 ䷨ 損, 有孚, 元吉, 无咎, 可貞, 利有攸往. 曷之用? 二簋可用享. 손괘는 진실한 믿음이 있으면 크게 길하고 허물이 없어서 올바르게 할 수 있으니 나아가는 것이 이롭다. 어떻게 쓰겠는가? 대그릇 두 개만으로도 제사를 받들 수 있다. 初九, 已事遄往, 无咎, 酌損之. 초구효, 일을 마치거든 빨리 떠나가야 허물이 없으니 적절히 헤아려서 덜어 내야 한다. 九二, 利貞, 征凶, 弗損益之. 구이효, 올바름을 굳게 지키는 것이 이롭고 함부로 나아가면 흉하니 (자신의 중도를) 덜어 내지 않아야 (육오의 군주에게) 더해 줄 수 있다. 六三, 三人行, 則損一人, 一人行, 則得其友. 육삼효, 세 사람이 갈 때에는 한 사람을 덜어 내고 한 사람이 갈 때에는 그 벗을 얻는..
2021. 5. 2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