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486

[북드라망리뷰대회당선작] 다른 이십대들이 보여준 ‘마주침’의 공부 다른 이십대들이 보여준 ‘마주침’의 공부 - 2등 구혜원 청년 인문학 스타트업 ‘길드다’는 인문학 공부를 함께 하는 청년 단체다. 이들이 하는 인문학 공부는 그 스펙트럼이 무척 다채롭다. ‘길드다’에서 주도한 ‘비학술적 학술제’에 참가한 적이 있는데, 당시 각종 인문학 단체의 청년들을 규합하고 뭔가 결과물을 만들어보기 위해 ‘길드다’ 멤버들이 다방면으로 노력하던 모습이 떠오른다. 최근 들려오는 소식에 의하면 을 주제로 한 전시 기획을 했다고 한다. 그 와중에 책을 읽고 세미나를 하고, 매달 웹진을 내고, 그러면서도 다른 공동체와의 네트워크를 조직하기 위한 ‘비학술적 학술제’를 계속해서 고민한다. 이들의 소식을 들을 때면 내가 ‘인문학 공부’라는 것을 너무 협소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은 아닌가 자문하게 된다.. 2021. 6. 9.
[북드라망리뷰대회당선작] 청년, 연암에게 길(道)을 묻다 청년, 연암에게 길(道)을 묻다 - 2등 이소민 재작년이었던가. 남산 강학원 한 켠에 앉아있을 때, 두꺼운 『연암집』을 손에 든 이들이 돌아다니곤 했다. 그들은 화장실에 갈 때도, 산책을 갈 때도 텍스트를 놓지 않았다. 매주 돌아오는 글쓰기 마감일 때문에 정신없어 보였다. 그러던 어느 날, 이렇게 세상에 책으로 나오게 되었다! 『청년, 연암을 만나다』라는 이름으로. 공동체 생활을 같이해온 나도 저자들과 친하지 않았던 건 아니다. 하지만 매번 공부의 현장이 엇갈렸다. 그들은 어떤 공부를 하고 있나? 연암과의 만남이, 또 저자들의 배움이 궁금해졌다. 질문하는 청년 남다영, 이윤하, 원자연. 이 세 저자는 ‘남산 강학원’이라는 공부 공동체에서 생활한다. 대학을 졸업하고 취직하지도 않았고,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 2021. 6. 8.
[북드라망리뷰대회당선작] 이슈메일이라는, 긍정과 극복의 삶 얼마 전에 (링크)가, 무려 62편의 응모작이 모였을만큼 '성황리'에 열렸습니다. 당선(링크)되신 분들께 다시 한번 축하의 말씀을 전합니다. ^^ 이제 오늘부터 (업무일 기준) 약 8일간 리뷰대회 당선작들을 포스팅할 예정입니다. 대망의 1위 성민호님의 글부터 시작되니까요. 많은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이슈메일이라는, 긍정과 극복의 삶 - 1등 성민호 왜 굳이 제목을 ‘두 개의 항해로’라고 붙였을까? 왜 ‘이슈메일의 항 해로’가 아닐까? 책을 다 읽고 놀라움이 가라앉자 내게 찾아든 생각이다. 저자는 두 개의 극복을 경험했고, 이 책은 두 번째 극복에 대한 기록 같았다. 첫 번째 극복은 무척 강렬한 것이었다. ‘YES’로 순종하는 기독교도에서 ‘NO’로 의심하는 철학도로의 변화. 교회도, 가족.. 2021. 6. 7.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11) 시인, 보는 사람(見者, Seer) ② - 세상을 보다 노자의 목소리, 시인의 언어와 철학자의 언어(11) 시인, 보는 사람(見者, Seer) ② - 세상을 보다 천지는 인하지 않다 앞의 글에서 통찰력 이야기를 했는데, 통찰력이라고 하니 다른 글 하나가 떠오른다. 5장이다. “천지는 어질지 않다. 만물을 짚으로 만든 개로 여긴다.”[天地不仁, 以萬物爲芻狗.] ‘어질다’는 말은 무슨 뜻일까. 유가에서는 생생지인(生生之仁)이라 해서 주어를 천지로 두고 만물을 탄생시키는 생명력을 말하기도 한다. 이때 말한 인(仁)을 인간세계에 적용해 만물을 살리는 정치로 해석해 인(仁)을 재정의한다. 유가의 정치철학으로서, 천지를 본받는 정치의 통합적 관점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인용한 노자의 말은 이러한 유가의 세계관을 정면으로 부정한다. 노자는 단언한다. “천지는 어질지 않다.. 2021. 6.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