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3484

[청년주역을만나다] 돌아오려는 마음 ‘빈복(頻復)’ 돌아오려는 마음 ‘빈복(頻復)’ 요즘 들어 통 공부에 집중하지 못한다. 유튜브나 sns를 시도 때도 없이 보고, 사지도 않을 물건들을 아이쇼핑을 한다. 지금 당장 이 글을 쓰고 있는 순간에도 핸드폰과 글쓰기 사이에서 사투를 벌이고 있다.^^ 이런 딴짓들은 mvq글을 쓸 때 많이 그런다. 주역을 해석할 때 막히고, 나의 일상을 묘사하려고 할 때 막히고, 제목을 정할 때 막히고……. 머리는 꽉 막힌 채 돌아가지 않고 과열된 엔진처럼 증기가 난다. 차라리 근육통으로 끙끙거리는 게 나은 것 같다.^^ 이럴 때 의욕이 사라지고 핸드폰에 손이 간다. 지금은 글 몇 줄 쓰고 딴짓하고, 책 한 챕터 읽고 딴짓을 하고 있다. ‘아 이제 진짜 공부하자’라고 얼마나 많이 생각(만)했는지! 물론 처음부터 딴짓을 한 건 아니다.. 2021. 12. 23.
[왕양명마이너리티리포트] 군자의 군자 되기 - 지행합일 vs 지행일치(2) 군자의 군자 되기 - 지행합일 vs 지행일치(2) 양명을 만나 석서가 깨달았다는 성인의 학설이란 무엇이었을까요? 양명의 그 깨달음은 용장과 어떤 관계가 있을까요? 거칠게 말해보자면, 양명의 삶은 용장 생활 이전과 이후로 나뉩니다. 그것은 승승장구하는 사대부 관료의 삶에서 멀고 낯선 야만의 땅으로 추방당했기 때문이 아니라, 그의 삶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깨달음의 현장이었기 때문입니다. 양명학의 역사에서 ‘용장’은 현장이고, 깨달음입니다. 그런데 용장 생활의 깨달음을 중앙 관료로서의 격무와 바쁜 일상에서 벗어나 한가하고 전원적인 변방 생활을 하게 됨으로써 오히려 연구에 매진할 시간과 여유를 가질 수 있었기 때문…. 이라고 이해해서는 안 됩니다. 오히려 그 반대라고 말씀드렸죠. 진부한 표현이지만 일상은 눈 .. 2021. 12. 22.
[내인생의주역시즌2] 소인의 개과천선 소인의 개과천선 山地 剝 ䷖ 剝, 不利有攸往. 박괘는 가는 바를 두는 것이 이롭지 않다. 初六, 剝牀以足, 蔑貞, 凶. 초육효, 깎기를 침상 다리에서부터 하니, 올바름을 없애서 흉하다. 六二, 剝牀以辨, 蔑貞, 凶. 육이효, 침상을 깎아 상판에 이르니, 올바름을 없애서 흉하다. 六三, 剝之无咎. 육삼효, 박의 시대에 허물이 없다. 六四, 剝牀以膚, 凶. 육사효, 침상을 깎아 피부에까지 미치니 흉하다. 六五, 貫魚, 以宮人寵, 无不利. 육오효, 물고기를 꿰어서 궁인이 총애를 받듯이 하면 이롭지 않음이 없다. 上九, 碩果不食, 君子得輿, 小人剝廬 상구효, 큰 과실은 먹히지 않음이니, 군자는 수레를 얻고 소인은 초가지붕을 벗겨낸다. 요즘 주택가격 상승이 무섭다. 그에 따라 ‘벼락거지’라는 신조어도 회자되고 있.. 2021. 12. 21.
[불교가좋다] 무언가를 하되 원하지 않기 무언가를 하되 원하지 않기 질문자: 부처님이 깨달으신 그 내용이 어떤 부분인가요? 공부하다 보면 좀 마음이 편해지기도 하지만, 최근에는 공부하다보니깐 뭔가 공부도 하나의 집착이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게 해결이 되면 좀 더 재미있어질 것 같은데요. 부처님의 생애를 이렇게 보다 보면, 출가하신 후에 6년 정도의 고행과 수행 기간에 있어서 “이 방법이면 안 되겠다.”하시면서 무언가 궁극적인 깨달음을 얻게 되셨다는 걸 알고 그 길지 않은 기간 동안에 그 깨달음을 얻고 나서 세상의 모든 진리에 대해서 알게 되는 그런 이야기들을 접하게 되었습니다. 그 부분이 어떻게 보면 제일 핵심 되는 부분이라고 생각하는 저의 마음에서 이런 집착이 생긴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알고 싶어서 책도 찾아보게 됐는데요. 틱낫한.. 2021. 12.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