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96 [한문이예술] 한자의 바다에서 작고小 약한 것弱을 길어올리기 한자의 바다에서 작고小 약한 것弱을 길어올리기 수많은 한자들 중에서 오늘날 일상에서 사용되고 있는 한자는 2천자에서 5천자 정도 된다. 3천자 정도의 간극이 있긴 하지만 이미 30개 남짓 되는 한글이나 알파벳에 비하면 과하게 많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한자가 사용된 6000년이 넘는 시간동안 만들어졌다가 사라진 문자만 해도 5만자(!)가 넘고, 같은 뜻을 가졌지만 형태가 다른 한자들까지 더하면 8만자(!!)가 넘는다고 한다. 이쯤되면 한자를 만든 사람도 무슨 한자가 있는지 절대 모를 수준이다. 게다가 새로운 형태의 갑골문이 계속해서 발견되고 있다고 하니 한자의 갯수는 계속해서 늘어나고 있는 것이나 마찬가지다. 정말이지 한자에 대해서 알면 알수록 어떻게 지금까지 계속 사용되는지 신기할 따름이다. 그런데 .. 2024. 2. 23. <미야자키 하야오-일상의 애니미즘>치히로 – 이름이 많은 모험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③ 캐릭터 치히로 – 이름이 많은 모험가 표정이 멋진 아이 미야자키 하야오가 《센과 치히로의 행방불명》에서 가장 공들인 것은 아마 치히로 표정의 변화일 것이다. 우리는 《붉은 돼지》의 썬글라스에서 시작해 《모노노케 히메》에 나오는 애매한 얼굴들까지, 미야자키가 캐릭터의 얼굴 변화에 대단히 신경을 쓴다는 것을 보았다. 치히로 얼굴이 당당하고 침착하게 바뀌는 과정을 보고 있으면 표정이 풍부한 인간이 된다는 것이 어떤 일인지를 어렴풋이 알게 된다. 크고 반짝이는 예쁜 눈이라든가 오똑한 코나 갸름한 볼살 같은 것, 그가 입고 두른 값나가는 것, 이보다 만들기 어려운 것이 바로 매력적인 표정이다. 미야자키 하야오는 낯선 세계에 떨어져, 전에 없던 문제에 부딪혀 분투하는 주인공의 이야기를 .. 2024. 2. 22. [내인생의주역시즌3] 따름의 자유, 나의 천리를 따른다는 것(2) 따름의 자유, 나의 천리를 따른다는 것(2) 기원전 11세기, 중국에선 주(周)무왕 희발이 상(商)나라를 무너뜨리고 새로운 왕조 주(周)나라를 건국했다. 하지만 무왕은 건국 후 2년만에 사망했고 그 아들 성왕이 아홉살의 나이로 왕위에 올랐다. 당시는 아직 새로운 왕조의 건국 열기가 식지 않았을 무렵이었고, 주무왕과 함께 주나라 건국의 일등공신이었던 주공(周公)은 가장 유력한 잠재적인 최고 권력 후보였다. 더구나 주공은 향후 수천 년간 중국 정치 제도의 근간이 되는 봉건제도를 설계한 인물이었을 뿐 아니라, 크고 작은 나라들을 직접 주나라에 편입시키며 명실상부한 제국의 건설을 주도했다. 요컨대 주공의 업적은 아버지인 주문왕이나 형인 주무왕에 비추어 결코 적다고 할 수 없다. 사실 시세를 따른다는 명분을 따른.. 2024. 2. 21. [북-포토로그] 아빠도 쓰고 딸도 쓰고 아빠도 쓰고 딸도 쓰고 지난 1월 말 발간된 『세미나를 위한 읽기책』은 아이의 아빠가 쓴 책이다. 아빠가 책 쓰기를 마치고, 곧 책이 나온다는 사실을 딸은 유치원 선생님, 피아노 선생님, 친한 친구 등에게 알렸다.^^; 아빠는 글을 쓰고, 엄마는 책을 만드는 직업이라는 걸 어렸을 때부터 보고 듣고 하여 아는 아이는 서너 살 때는 크면 편집자가 될 거라고 하더니, 조금 더 있다가는 작가도 하고 편집자도 하겠다고 하더니, 우리 나이로 만 여섯 살이 된 이후 ‘크면 되고 싶은 것 목록’이 꽤나 길건만(카페 주인부터 발레리나, 소아과의사, 마트 캐셔, 화가 등등) 거기에는 작가도 편집자도 없다. ^^;; 하지만 아이 주변에 자주 보고 친한 어른들은 다 글을 쓰거나 책 읽고 강의하거나 책을 만들거나 책 만들고 알.. 2024. 2. 20. 이전 1 ··· 73 74 75 76 77 78 79 ··· 8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