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3495 [인류학을 나눌레오] 먹는다, 세상과의 연결 먹는다, 세상과의 연결 진진(인문공간 세종) 우리는 매일 무언가를 먹는다. 먹지 않고는 살아가기가 어렵다. 물을 마셔야 체내에 수분을 공급할 수 있고 음식을 먹어야 에너지를 주입할 수 있다. 이렇게 먹는 일은 내 생명을 유지하고 나를 살게 하기 위한 일이다. 나 또한 먹는 일을 내 입으로, 몸으로 무언가를 넣는 일이라고 생각했다. 나는 먹는다는 행위를 이렇게 생각하며 먹거리를 고르고 음식을 먹었다. 달면 삼키고 쓰면 뱉는 식으로, 내 입맛에 맞는 것만을 골라 먹었다. 배가 불러 도저히 못 먹겠다 싶으면 음식을 남겼고, 내 몸에 좋은 것만 골라서 먹으려고 했다. 내 안에 들어와 불쾌하고 탈이 나느니, 버리는 게 더 합리적인 선택이라고 생각했다. 그래서였을까. 장바구니 한가득 먹을 것을 사 모으고, 쓰레기통.. 2025. 1. 3. [나의 석기 시대] 조개 가면 미스테리 조개 가면 미스테리 1. 하얀 얼굴 검은 구멍 조개는 먹기 위해서도 줍지만 꾸미기 위해서도 줍는다. 부산 《동삼동 패총 전시관》에 가면 동삼동의 선사인들이 조개로 얼마나 멋지게 꾸미고 살았을지를 재구한 재현물이 있다. 전시 벽면 중앙에 한 여성이 단정히 귀걸이와 목걸이 팔찌를 하고 있는데, 흙을 구워 귓불 안에 끼워 넣은 귀걸이를 제외하면 전부가 조개껍데기로 만든 장신구다. 그 아래로 투박조개, 밤색무늬조개, 세꼬막, 피조개 등으로 만든 조개 장신구가 가지런히 전시되어 있다. 조개 팔찌의 경우 안지름이 4~7cm 정도이니 진짜 팔에 들어갈 수 있나 싶은데, 어릴 때 끼워놓고 자라는 동안 몸에서 뺄 수 없게 했을 수도 있겠다. 동삼동 패총에서는 조개 팔찌가 1500여 점이나 나왔다고 한다. 1500여.. 2025. 1. 2. 북드라망 2024년 정산해 봅니다!and 새해에는 부디 모든 면에서 다시 설 수 있기를 바라 봅니다 북드라망 2024년 정산해 봅니다! and 새해에는 부디 모든 면에서 다시 설 수 있기를 바라 봅니다 안녕하세요. 북드라망 and 북튜브 독자님들! 다사다난이라는 말로는 너무 부족하게 느껴질 정도로 사건과 사달과 난이… 많았던(그리고 진행 중인) 2024년이 드디어 저뭅니다(물론 다들 아시겠지만, 갑진년이 저물려면 아직 한 달여 더 남았습니다....). 원래 연말에 이렇게 인사드릴 때는 그래도 한 해를 정리하며 감사한 일들을 돌아보고, 내년을 계획하며, 감사의 말씀과 각오를 다지곤 했는데요, 올해는 정리를 할 수조차 없을 정도의 시간을 보내는 중이라… 2024년에 저희가 했던 활동을 한번 이 자리를 통해 기억을 더듬어 보며 독자님들께 마무리 인사를 드릴까 합니다. *북드라망-북튜브 2024년 초대.. 2024. 12. 31. [미야자키 하야오와 일상의 애니미즘 리뷰] ‘살아감’에 대한 생각 ‘살아감’에 대한 생각 이기헌(인문공간 세종) 잘 산다는 것은 무엇일까. 이번 오선민 선생님의 신간 『미야자키 하야오와 일상의 애니미즘』을 읽으면서 그런 질문을 여러 번 하게 되었다. 내가 생각하기에 이 책에서 가장 많이 등장하는 단어는 ‘관계’다. 작가는 시종일관 사람 그리고 물건들과의 관계 속에서 사는 방법을 생각해보라고 권한다. 매일 만나고 함께 일을 도모하는 사람들과 관계를 잘 해나가야 하는 건 많이 들어왔다. 그런데 평소 주의를 두지 않는 물건까지도 여기에 포함되다니. 작가는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11편의 애니메이션 작품에서 인물들의 관계 맺음, 또 그들 주변에 배치된 물건들을 섬세하게 포착한다. 나는 많은 사람 속에 뒤섞여 활동하는 것을 좋아하지만 조용히 혼자서 다른 존재들의 끄달림 없이 .. 2024. 12. 30. 이전 1 ··· 20 21 22 23 24 25 26 ··· 87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