존재의 탈바꿈, 그 가능성에 대하여 #2
존재의 탈바꿈, 그 가능성에 대하여- 두 번째 수칙, 벗어나는 자만이 존재를 바꾼다 무-질서한 말하기! 장자가 다스림이라는 제도, 인의라는 규범을 버리는 이유는 자신의 본성을 해치지 않으며, 온전히 생명을 보존하기 위해서다. 물론 이 문제는 전편을 관통하는 주제지만, 내편을 시작하고 마무리하는 와 에서는 느닷없이 하나의 세계를 제시함으로써 우리를 흔들고 멈칫하게 하고 멍하게 만든다. 여기서 제시된 하나의 세계와 그 세계 내적 존재는 이 세상과는 사뭇 다르며, 한 번도 상상해 본 적이 없는, 그런 것이다. 그 세계는 유토피아(없는 공간)가 아니라 차라리 헤테로토피아(다른, 이질 공간)라 명명할 만한 세상이다. 우리의 질서를 교란하는 무-질서! 우리에겐 황당한 모습이요, 허튼소리로 느껴지지만, 장자에겐 그..
2017. 4. 20.
『논어』라는 텍스트 - 배움에 뜻을 둔 자들의 책②
『논어』라는 텍스트 - 배움에 뜻을 둔 자들의 책②바로 앞의 글은 여기, 연재글 전체는 여기를 클릭하세요!! 증거2; 배움에 꽂히면 밥 먹는 것을 잊고 葉公, 問孔子於子路, 子路不對.(섭공, 문공자어자로, 자로부대) 子曰, 女奚不曰, 其爲人也, 發憤忘食, 樂而忘憂, 不知老之將至云爾.(자왈, 여해불왈, 기위인야, 발분망식, 락이망우, 부지노지장지운이) 섭공이 공자에 대해 자로에게 묻자, 자로가 대답하지 못했다.선생님(공자)께서 말씀하셨다."너는 어찌 이렇게 말하지 못했는가? 그(공자) 사람됨은 한 번 꽂히면 먹는 것도 잊어버리고 그 즐거움에 근심 걱정도 잊으며, 장차 늙음이 이르는 것도 알지 못하는 위인이라고.“─『논어』, 「술이」 『논어』 「술이」편에 나오는 구절입니다. 하루는 자로(子路)가 거리에서 초..
2017. 4.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