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506 현자(賢者)의 삶과 죽음 현자(賢者)의 삶과 죽음 '죽음'을 떠올리면, 너무 아득하게 먼 듯하여 실감이 나질 않는다. 그러다가도 문득, 당장에라도 심장이 뛰기를 멈춰버리면 그대로 죽어버릴 텐데 하는 생각이 들어 움찔하기도 한다. 그러고 보면, 인간이 생명을 얻는다는 것은 결국 얇은 실에 매달려 절벽 아래로 던져지는 것이나 다름 없는 것 아닌가 싶기도 하다. 실이 끊어질 때 죽는 것이다. 오랫동안 당겨진 실이 낡아 끊어지거나, 매달린 채로 과하게 난동을 부리거나, 어쨌거나 언젠가는 끊어지게 되어 있다. 안간힘을 쓰며 실을 튼튼하게 만들려는 사람도 있을 것이고, 스스로 끊어버리는 사람도 있을 것이다. 정말로 신이 있어서 인간들이 그러고 있는 광경을 본다면 얼마나 우스울까. 인간으로서 몹시 자존심이 상하는 일이다. 도저히 어떻게 할 .. 2018. 4. 23. 우치다 타츠루, 『하루키씨를 조심하세요』 - 제자나 팬의 자세 우치다 타츠루, 『하루키씨를 조심하세요』- 제자나 팬의 자세 이건 그러니까 '텍스트'를 대하는 태도와 관련이 있다. 언제부터 그런 태도가 스며들었는지는 모를 일이다. 수준 높은 독서란 '비판적 독서'라는 태도다. (여전히 그러하지만) 의식의 어느 한구석도 성숙한 부분이 없던 시절부터 '암, 책은 비판적으로 읽어야지' 했다. 각종 연구서나 논문들은 물론이거니와 칸트나, 맑스나, 하이데거 같은 대가(大家)들의 텍스트를 대할 때도 마찬가지. 텍스트는 일단 '비판적'으로 읽어야 한다. 쉽게 말해 '헛점'을 찾기 위해 노력했다는 말인데, 지금 생각해 보면 꽤나 헛힘을 썼다는 느낌을 지울 수가 없다. 물론 그 노력들을 깡그리 무시하는 것은 아니다. 나름 도움이 된 것도 분명 있을테니까. 여하튼 지금으로서는 그렇다... 2018. 4. 16. '삶의 제작자'들은 어디로 갔을까? '삶의 제작자'들은 어디로 갔을까? 이반 일리치의 책, 『누가 나를 쓸모없게 하는가』를 읽다가, 위에 옮겨 놓은 문장을 보고서, 베르그손이 '삶의 제작자들'에 관하여 써놓은 문장과, 며칠 전에 겪었던 일이 함께 떠올랐다. 20년이 넘은 우리집은 어딘가가 툭하면 고장이 난다. 한동안 베란다 천장에 물이 새가지고, 업체 사람을 불러 고쳐놓았다. 그러더니 얼마 후에는 화장실 벽 한쪽으로 또 물이 새는 것이 아닌가. 베란다 문제를 해결해 주었던 곳에 전화를 했더니, 금방 기술자가 와서 진단을 내려주었다. 옥상 환기구를 통해서 빗물이 들어와 화장실로 흘러온 것이니 관리사무소에 이야기하면 된다고 하였다. 다시 관리사무소에 전화를 하여 문제를 이야기했더니, 알아서 하겠다고 한다. 그러더니 그 다음부터는 물이 새지 않.. 2018. 4. 9.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 - 이 아름다운 책 한권 발터 벤야민, 『일방통행로』 - 이 아름다운 책 한권 사실 이 책의 내용들은 그렇게 아름답지 않다. 현대 대도시의 풍경들 속에 감춰진, 아름답지 않은 많은 모습들이 그려지고 있으니까. 그러나 그 풍경들을 옮겨가는 벤야민의 글들, 그 글들이 모아져서 만들어진 한권의 책은 그렇게 아름다울 수가 없다. 나는 지금까지 위에 옮겨적어 놓은 것보다 더 멋진 상상력에 대한 정의를 본 적이 없다. 벤야민 스스로의 말 속에 『일방통행로』가 가진 미덕이 고스란히 들어가 있기도 하다. 책에서 벤야민은 '무한히 작은 것 속으로 파고'들어가고 있다. 그리고 도시의 사물-이미지들 속에 압축된 의미를 기가 막히게 펼쳐 보여준다. 짧은 '아포리즘'(또는 '이미지들') 속에 옮겨진 '풍경'들은 지금도 매일, 자주 보고 있는 것들이기도.. 2018. 4. 3. 이전 1 ··· 59 60 61 62 63 64 65 ··· 12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