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 책하고 인사하실래요 ▽/씨앗문장258

삶이 다 기적이므로 다시 만날 수 있다고 삶이 다 기적이므로 다시 만날 수 있다고 이 세상만 아니라면 어디라도 가자, 해서 오아시스에서 만난 해바라기 어디서 날아왔는지 모르겠으나 딱 한 송이로 백만 송이의 정원에 맞서는 존재감 사막 전체를 후광(後光)으로 지닌 꽃 앞발로 수맥을 짚어가는 낙타처럼 죄 없이 태어난 생명에 대해 무한 책임을 지는 성모(聖母) 같다 검은 망사 쓴 얼굴 속에 속울음이 있다 너는 살아 있으시라 살아 있기 힘들면 다시 태어나시라 약속하기 어려우나 삶이 다 기적이므로 다시 만날 수 있다고 사막 끝까지 배웅하는 해바라기 _김중식, 「다시 해바라기」, 『울지도 못했다』, 문학과지성사, 2018, 88쪽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하지 않게 된 것이 언제부터였는지 가물가물해질 즈음, 하나의 사건을 겪었다. 아니 사건이 닥쳐왔다. 이제.. 2018. 9. 28.
루소, 『사회계약론』 - "루소와 더불어 하나의 세계가 시작되었다" 루소, 『사회계약론』- "루소와 더불어 하나의 세계가 시작되었다" "루소와 더불어 하나의 세계가 시작되었다"는 괴테의 말은 책의 뒷표지에 적혀있는 말이다. 어디에서 어떻게 한 말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정말 적절한 말이다. 주권의 근거를 '신'에게서 찾던 시대를 이론적으로 끝장낸 저작 『사회계약론』에 관한 이야기다. 그러니까, '사회'는, 근대사회는 '계약'에 근거해 있다. 우리가 너에게 (주권에 근거한) '집행권'을 부여할테니, 너는 우리를 보호하고, 우리의 소유를 관리하라는 것이 '계약'의 내용이다. 그렇게 근대에 들어서 '국가'는 누구의 소유도 아니게 되었다. 다시 말하지만, '근대'에 국가는 누구의 것도 아니다. 지금이야 말로 『사회계약론』을 읽기에 딱 좋은 시기가 아닌가? 말하자면, 이 종잡을 수 .. 2018. 9. 17.
선택의 가능성 ― 오래전 글이 불러온 바람 선택의 가능성 ― 오래전 글이 불러온 바람 오래전 내가 쓰고 잊었던 나의 글 한 편을 어느날 친구가 프린트하여 편지와 함께 보내주었다. 프린트된 그 글은 분명 내가 썼던 글이었지만, 내가 쓴 것 같지 않았다. 적지 않은 시간이 흘렀고, 그 시간 동안 내 가치관을 바꿀 만한 사건을 맞았기 때문이다. 어쩐지 마음이 아파져 그 글을 덮어 두었다. 그 글은 그 ‘사건’과 전혀 상관없지만, 그 ‘사건’을 둘러싼 배경과 사람들을 선명히 떠올리게 했던 것이다. 그리고 얼마 전 그 글을 어쩌다 다시 보게 되었다. 이번에는 여전히 아득하긴 하지만, 내 글 같은 느낌이 들었다. 비로소 그 ‘사건’을 ‘상처’로 받아들이지 않고 떠올릴 수 있게 되었기 때문일까. 아니면 전에 쓴 그 글에서 내가 ‘더 좋아했던 것들’을 ‘여전히.. 2018. 9. 14.
『소설가의 일』- 소설을 가장 재미있게 읽는 방법 『소설가의 일』- 소설을 가장 재미있게 읽는 방법 기타를 배울 때, (콩글리시로) '카피'라는 걸 한다. 기타를 들고 앉아 유명한 곡을 들으며 리프를 '따거나', 솔로를 '따거나' 하는데, 바로 이 '딴다'는 것이 바로 '카피'다. 내 품의 기타를 가지고 나오는 소리를 재현하는 작업인데, 악보도 볼 줄 알고, 청음도 할 줄 알면 당연히 훨씬 잘할 수 있겠지만, 잘 몰라도 약간의 기본기와 노가다를 감수할 '강력한 의지'가 있다면, …꽤 괴롭기는 해도, 할 수는 있다. 그렇게 해서, 곡 하나를 조금씩 완성해 간다. 정확하게는 그 곡의 플레이를 손에 익혀가는 것인데, 어느 정도 능숙해지면, 이게 참 재미있다. 뭐라고 해야 할까, 마치 그 곡의 리프와 솔로들을 완성해낸 기타리스트와 대화를 하는 기분이라고 해야할.. 2018. 9.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