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드라망1276 정동길에서 만난 근대 역사의 단편들 정동길에서 '근대성'을 만나다 어느날 문득, 집 근처에 근대에 관련된 건물이 많다는 것을 깨달았다. 서울역사박물관, 정동길, 독립문, 서대문형무소 등등. 그런데 의외로 그 건물에 관심을 가져본 적이 없다는 것도 새삼 알게 되었다. 근대라고 하면 대략 100년전에서 지금까지에 이르는 비교적 가까운 시기인데도 불구하고 말이다. 가끔 1920~30년대에 활동했던 문인이나 예술가의 사진을 보면서 '와~ 지금 사람이라고 해도 믿겠네'라고 생각했다. 그때와 지금이 다르다는 전제가 깔려있던 탓이다. 그런데 기원을 찾아 거슬러 올라가보면, 모던걸과 모던보이들이 활동했던 시기와 지금 삶의 스타일은 큰 차이가 없었다. 왜냐하면, 그들과 우리는 공통의 감각에서 생활하고 있기 때문이다. 다방에서 차를 마시던 모습이 별다방이나.. 2014. 4. 7. 나의 운명 네비게이션, 절기 달력과 함께하는 4월 나의 운명 네비게이션, 절기 달력 살펴보기 Step 1. 절기달력은 왜 필요한가요? ‘나의 운명’, 궁금하시지요? 나의 운명을 알고자 할 때 꼭 필요한 것이 바로 절기입니다. 왜냐구요? 우리는 누구나 절기의 기운, 즉 우주의 기운 안에서 태어나기 때문입니다. 엄마의 뱃속을 나와 처음 폐호흡을 시작할 때 우주의 기운이 내 몸에 바코드처럼 찍힌다. 존재와 우주의 마주침이 시작된 것이다. 이때 활용되는 역법은 태양력과 음력을 결합한 절기력이다. 절기력에선 태양이 지구와 어떤 각도를 이루고 있는가가 관건이다. 그때의 우주적 기운장이 사람의 운명에 깊이 개입한다고 보는 것이다. 연월일시의 간지(干支)를 사주(네 개의 기둥이라 하고) 그걸 글자로 헤아렸을 때 여덟 글자, 그래서 사주팔자다. ─고미숙 외, 『몸과 삶.. 2014. 4. 4. 공부+친구+밥이 보장되는, 고전평론가에 도전하라! “제2회 곰댄스 고전평론 페스티발” 발발발발발……! ‘왜 아무도 (고전평론가라는) 이 좋은 직업을 갖지 않는가!’ 하는 고미숙 선생님의 절규로부터 기획된 곰댄스 고전평론 페스티발(일명 ‘곰발’)은 신진 고전평론가를 발굴하기 위한 원고 공모전인데요, 벌써(!) 두번째 페스티발이 시작되었습니다. 지난 1회 곰댄스 페스티발 내용이 궁금하시다면 MVQ 블로그에 방문하셔서 그 결과를 확인해보세요. 심사과정과 결과 발표, 어떤 글들이 참여했는지 일부 소개되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2회의 장점 아닐까요? ^^ 단, 참가 자격에 약간의 제한이 있습니다. 공부하셔야 해요!! 곰발 공식협력단체인 감이당, 남산강학원, 문탁네트워크에서 장기프로그램을 이수 중인 학인분들(그러니 아직 학인이 아니시라면 지금도 늦지 않았습니다... 2014. 4. 2. 등용하려는 숙종, 거절하는 김창협 -노론 백수 1세대를 만나다 노론 백수 1세대! 18세기 노론 지성의 메카, 농암 김창협 1. 사직소 올리는 사나이! 농암 김창협의 문집(『농암집』)을 열어보면 유독 눈이 가는 글이 있다. 이름하여 사직소(辭職疏)! 즉 관직을 사양하기 위해 임금께 올리는 글이다. 무려 총 45편의 사직소가 ‘소차(疏箚: 상소문)’ 항목에 실려 있다. 이 사직소들은 농암의 나이 44살인 1694년(숙종 20년)부터 56살인 1706년(숙종 32년)까지 장장 13년 동안 올린 상소문으로, 자신의 관직임명을 거둬달라는 상소문이 38편, 형 김창집을 대신하여 올린 상소문이 7편이다. 13년 동안 거의 해마다 두 차례 이상 숙종은 관직을 제수했고, 농암은 이때마다 거절하는 상소문을 바쳤다. 농암이 1708년, 그의 나이 58살에 죽었으니 죽기 전까지 계속 .. 2014. 4. 1. 이전 1 ··· 175 176 177 178 179 180 181 ··· 31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