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장금46 주역 - 천지자연의 변화를 느껴라! 주역, 무궁한 변화의 시공간 나는 여전히 왕초보지만『주역』공부를 하면서 알게 된 것이 하나 있다. 세상엔 정답이 없다는 사실. 너무 쉽다고? 그렇지 않다. 우리의 가방끈은 은근히 길다. 공부를 잘하든 못하든 세상이 만들어 놓은 정답을 향해 달린 세월이 적어도 10년 이상은 되잖나. 우리는 불투명한 미래를 향해 앞만 보고 달려야 하는 경주마처럼 무미건조하고 고리타분한 삶에 답답해하고, 지금과 다르게 살기를 원한다. 나는 그렇게『주역』을 만난 것 같다.『주역』은 몰랐지만 다르게 살고 싶고, 자유롭고 싶다는 갈망이 나를 당겼다. 아니, 내가『주역』을 당겼는지 알 수 없다. 지금 이 글을 읽는 분들도 아마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렸는지 모른다. 『주역』은 하늘과 땅의 이치를 보고 그 사이에 존재하는 사람의 운명을.. 2013. 9. 27. 긴 겨울은 봄을 위한 필수 단계! -임수(壬水) 임수(壬水) 이제 드디어 금(金) 운동이 끝나고 수(水) 운동이 시작됩니다. 수 운동의 첫 단계를 표현한 것이 임수입니다. 이 시기엔 가을의 수렴 기운이 더 견고하게 응축됩니다. 사계절로 보면 겨울, 즉 쇠퇴의 단계이며 동시에 또 다른 시작을 준비하는 시기이기도 합니다. 내년을 준비하는 것이죠. 임수는 하강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돌아올 봄을 준비하기 위해 이것저것을 챙깁니다. 새로운 생명 활동을 준비하기 위해 부지런히 모으는 동작이 임수의 특징입니다. 그래서 자기 사주에 임자(壬字)가 있으면 부자가 될 가능성이 많다고 본 것입니다. 천간에 임자가 3개 이상 있으면 거부(巨富)사주로 보는데 임의 기질이 주워 담으려는 속성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수 운동, 즉 응축의 시간을 거쳐야.. 2012. 12. 15. 계산적이고 인간미 없다구? 정확하고 실리적일 뿐임! 신금(辛金) “난 걔네들이 도저히 이해가 안 돼. 그렇게 간단한 일을 왜 그렇게 어렵게 푸는 거야? 해봤자 시간만 낭비하고 도대체 남는 게 뭐야?” 신금인 친구의 하소연입니다. 결론도 없이 다투는 상황을 보고 이득 없는 일에 왜 저렇게 시간을 낭비하나 싶은 것입니다. 신금들은 금의 극단, 즉 가을의 끝자락에서 서릿발의 냉철한 기운장을 가지고 태어났습니다. 추상의 기운으로 굳어져서 나무와 한 몸이 된 열매를 단칼에 단절시킵니다. 풀을 마르게 하고 양의 기운을 완벽히 제압하는 시기로 명리적으로 고초살(枯焦煞)로 봅니다. 분리의 고통, 뾰족한 것으로 찌르는 아픔 등을 의미하지요. 신금이 있다는 것만으로도 고충이나 단절의 세월을 암시합니다. 모든 것을 살리고 성장시키는 시기를 지나 이제는 죽음의 시기로 완전히 .. 2012. 11. 17. 살릴 것이냐 죽일 것이냐, 자연의 선택 경금(庚金) 자연은 생성(목) → 발산(화)→ 매개(토) → 수렴(금) → 쇠퇴(수)의 과정을 거치면서 생명을 이어갑니다. 이런 운동을 표현한 것이 목화토금수, 오행이라고 앞서 언급했습니다. 음양으로는 발산운동이 목화이고, 본격적인 수렴이 시작되는 시기가 금입니다. 경(庚)은 수렴의 첫 단계를 의미합니다. 계절로는 가을이며, 본격적인 음운동(수렴)이 시작됩니다. 낙엽을 떠올려 보세요. 무성했던 잎이 떨어지고 수축, 분리, 하강운동이 일어납니다. 그 결과 나뭇가지의 표면은 딱딱하고 견고해집니다. 가을에 열매가 맺히고 굳어지는 이치를 생각하면 수렴 기운을 쉽게 짐작할 수 있습니다. 고전에 “숙살지기(肅殺之氣)”란 표현이 있습니다. 나무가 선택한 열매 외에 나머지는 추풍낙엽처럼 떨어트려 버리는 것입니다. 모든.. 2012. 10. 20. 이전 1 ··· 7 8 9 10 11 12 다음